지역케이블방송 딜라이브 노동자들이 SKT·KT·LGU플러스 등 IPTV 대기업의 딜라이브 인수가 노동자들 고용 안정과 방송 공공성을 해쳐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서울본부 희망연대노동조합 딜라이브지부와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는 26일 오전 서울 KT 광화문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방송 공공성과 고용보장을 전제하지 않은 매각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딜라이브지부는 “유료방송 합산규제가 시한 종료된 상황에서, 딜라이브 측에서 SKT·KT·LGU플러스 등에 인수 의사를 묻는 편지를 보냈다고 알고 있다”며 “어느 때보다 매각이 유력하다”고 주장했다.

▲ 26일 서울 KT광화문사옥 앞에서 열린 ‘케이블방송 딜라이브 매각에 대한 노동조합 입장 기자회견’에서 서광순 희망연대노조 딜라이브지부 지부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 26일 서울 KT광화문사옥 앞에서 열린 ‘케이블방송 딜라이브 매각에 대한 노동조합 입장 기자회견’에서 서광순 희망연대노조 딜라이브지부 지부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유료방송 합산규제는 IPTV(인터넷TV)·케이블TV·위성방송 시장 독과점을 막기 위해 특정 사업자의 전체 점유율이 3분의1(33%)을 넘지 못하도록 한 제도다. 현재 가입자 점유율 30.54%로 유료방송 1위 사업자인 KT의 경우 점유율 6.5%인 딜라이브를 인수할 수 없었지만, 합산규제가 풀리면서 매각을 시도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15년 6월 도입된 유료방송 합산규제는 국회 공전으로 연장 논의가 이뤄지지 않아 지난달 27일로 시한이 종료됐다. 다음날인 28일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합산규제를 2년 연장하는 법안을 대표발의했다.

케이블방송 노동자들은 매각 과정에서 구조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황건주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 지부장은 “협력업체에 근무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불안감은 훨씬 더 크다”고 호소했다. 실제 합산규제가 도입되기 전인 지난 2014년 딜라이브(당시 명칭 씨앤앰)는 매각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케이블 설치·수리 협력업체 비정규직 노동자 109명을 해고했다. 해고 노동자들은 6개월의 노숙농성과 50일 고공농성 끝에 복직했다.

▲ 2014년 11월21일 케이블방송업체 딜라이브의 당시 명칭 씨앤앰(C&M) 하청업체 비정규직 노동자 2명이 당시 12일째 고공농성을 벌이는 모습. 사진=민중의 소리
▲ 2014년 11월21일 케이블방송업체 딜라이브의 당시 명칭 씨앤앰(C&M) 하청업체 비정규직 노동자 2명이 당시 12일째 고공농성을 벌이는 모습. 사진=민중의 소리

서광순 딜라이브지부장은 “(노동자들은) 해마다 매각설에 가슴 조이며 공포에 떨어야 했다”며 “케이블 방송 공공성 강화와 노동권이 보장된다면 우리 노조도 반대할 이유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힌다”고 말했다.

황 지부장은 이어 “지역케이블의 가장 큰 장점은 지역과 소통하고 지역 공공성에 이바지해왔다 점”이라며 “대형 통신업계에 매각되면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구조 속에서 이 부분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고 말했다.

딜라이브지부와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는 이밖에 △케이블방송을 파편화하는 ‘쪼개기’ 매각 △반노동기업의 딜라이브 인수를 반대한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산업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 및 공적 책무 강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 마련도 촉구했다.

▲ 민주노총 서울본부 희망연대노조 딜라이브지부와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 조합원들이 26일 서울 KT광화문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 민주노총 서울본부 희망연대노조 딜라이브지부와 케이블방송비정규직지부 조합원들이 26일 서울 KT광화문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김예리 기자


딜라이브 홍보팀 관계자는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매각 절차는 매각 주관사가 담당하는 까닭에 딜라이브도 어느 기업이 인수를 시도했는지 알지 못한다”며 “다만 KT는 매각 시도가 사실 무근이라고 주장했다고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