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한 여성이 자신을 성폭행하려 한 50대 남성의 혀를 깨물어 다치게 한 사건이 발생한다. 이 여성의 행위는 정당방위가 인정돼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이 판결이, 과거에는 당연하지 않았다. 이 판결은 수많은 여성인권운동가들이 쟁취해낸 것이었다.

1988년 2월26일 두 남성이 귀가 중이던 한 여성을 강간하려했다. 피해자 변씨는 자신을 강간하려는 신씨의 혀를 깨물었다. 그러자 신씨는 변씨에게 위자료 2000만 원을 요구했다. 경찰은 변씨를 구속수사했다. 변씨는 ‘과잉방어’를 이유로 9월7일 형사2차 공판에서 징역1년을 선고받았다. 여성단체들은 들고 일어났다. 여성신문 0호는 변씨의 이야기를 싣고 ‘이천만 여성이 분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9월21일 형사선고 공판에서 변씨는 징역 6개월, 집행유예1년으로 감행됐다. 여성단체들은 변씨의 무죄판결을 위해 싸웠고, 변씨는 결국 무죄판결을 받았다. 

여성운동의 역사를 그린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의 5화 내용이다. 이 만화들은 페이스북 페이지 ‘그때의 여성들’에 업데이트된다.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는 지금은 당연한 것들이 “처음부터 그랬던 건 아니었다”며 시작한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가 연재되는 페이스북 페이지 '그때의 여성들' 대표 사진.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가 연재되는 페이스북 페이지 '그때의 여성들' 대표 사진.
이 만화는 1983년 여성인권운동단체 ‘여성의 전화’가 만들어진 역사부터 시작한다. 이후 만화는 1984년 9월4일 청량리 경찰서 남경찰 2명이 전두환 대통령의 ‘매국적 방일 저지’시위에서 경희대 여학생 3명을 성추행한 사건, 1987년 8월 전남 고흥군의 남경찰이 임신 7개월의 여성을 성폭행한 사건, 1988년 12월 대구에서 경찰 2명이 귀가중인 여성을 성폭행한 사건, 1988년 온양 아동복지기관에서 일어난 전도사의 청소년 성추행 사건 등을 다룬다. 1993년 서울대 화학과에서 한 조교가 자신의 담당교수를 성희롱으로 고발한 사건도 자세히 다룬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 2화는 공권력에 의한 성범죄 사건을 다룬다. 해당 에피소드에는 1986년 6월6일 부천경찰서 문귀동 경장이 위장취업혐의로 조사받던 대학생 권인숙을 성고문한 사건을 다룬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 2화는 1986년 6월6일 부천경찰서 문귀동 경장이 위장취업혐의로 조사받던 대학생 권인숙을 성고문한 사건을 다룬다.
이 과정에서 여성운동은 성범죄에서의 친고죄 폐지를 이뤄냈고 남녀고용평등법에 ‘직장 내 성희롱’ 조항을 넣게 만들었다. 또한 이들의 싸움은 성폭력특별법 제정, ‘남녀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는 결과를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만화는 강조한다. 이러한 결과들이 당연한 것이 아니었고 여성인권운동 치열한 투쟁 역사의 결과라고 말이다.

미디어오늘은 페이스북에 ‘여성인권운동 역사 만화’를 연재하는 작가 ‘페미포터’를 서면으로 인터뷰했다. 작가 페미포터는 이 만화를 그리게 된 동기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한국에도 여성인권 운동이 오래전부터 있어왔는데,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느껴졌다. 여성인권이 시간이 흐르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건 줄 아는 분도 많고, 오직 부드러운 말로 설득해야 권리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 누리고 있는 크고 작은 권리들은 누군가의 희생과 선배 여성인권운동가 분들의 강렬한 투쟁으로 얻어진 것들이라는 걸 알리고 싶었다.”

작가는 작은 법 하나를 제정하는데도 수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인생을 포기하고 싸웠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다고 한다. 작가는 “이런 역사를 알지 못하면서 ‘한국 페미니즘은 하는 일이 없다’고 너무 쉽게 말하는 사람들 때문에 만화를 그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 5화. 성폭행을 당할뻔한 여성이 가해자의 혀를 물어 다치게했는데 징역형이 선고된 사건을 다룬다. 결국 여성단체들과의 연대로 정당방위 판례를 만들게 된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 5화. 성폭행을 당할뻔한 여성이 가해자의 혀를 물어 다치게했는데 징역형이 선고된 사건을 다룬다. 결국 여성단체들과의 연대로 정당방위 판례를 만들게 된다.
작가는 ‘성폭력을 다시 쓴다’(2016년), ‘한국 여성인권운동사’(2015년), ‘한국여성단체연합 30년의 역사’(2017년) 등의 책을 참고해 만화를 그린다고 한다. 작가는 “좋은 역사책들이 있긴 한데, 관심이 없는 사람들은 책까지 찾아서 보지 않을 것 같았다. 만화로 간략하게 그리면 주제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도 보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서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작가는 가장 그리기 힘들었던 에피소드로 7화 ‘성폭력 피해자들의 고통’편을 꼽았다. 해당 에피소드는 1970년 전북 남원에서 일어난 성폭행 사건을 다룬다. 피해자 여성 김씨는 가해자 남성 송씨에게 성폭행을 당한다. 이후 김씨는 트라우마에 시달려 정신분열증 진단을 받는다. 

두 번째 결혼도 유지하지 못하게된 김씨는 경찰을 찾아가지만 공소시효가 지나 가해자를 처벌하지 못하게 됐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후 김씨는 송씨를 살해한다. 전북지역 11개 여성단체와 인권단체, 대학교 여학생회는 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성폭력특별법 제정 촉구 활동을 펼친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 7화. 성폭행을 당하고 트라우마에 시달리다가 가해자를 살해한 사건을 다룬다.
▲ '여성인권운동 역사만화' 7화. 성폭행을 당하고 트라우마에 시달리다가 가해자를 살해한 사건을 다룬다.
이 에피소드를 그리며 작가는 자신 역시 초등학생때 성폭행을 당한 경험이 있었고 그 일이 떠올랐다고 한다. 작가는 “만화를 본 피해자들의 트라우마를 걱정하면서 그렸고, 김씨의 에피소드가 공감이 가서 그리면서도 억울하고 화가 났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만화는 10개의 에피소드가 업로드됐다. 작가는 에피소드의 수를 특별히 정해놓지는 않았다고 한다. 현재로서는 꾸준히 만화를 연재하겠다고 전했다.

“사람들이 만화를 읽고 지금은 과거에 비해 어떤 것들이 나아졌는지, 아직 나아지지 못한 부분들이 있다면 어떤 것들인지 생각해보셨으면 좋겠다. 역사 속 인물들이 그랬던 것처럼 우리도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조금 더 실천하고 더 행동해야겠다고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