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 라디오 전담 직원이 2명 뿐이다.” 김정석 CBS 기술기획관리부장의 지적이다. 라디오 청취자는 꾸준히 존재하지만 한국 미디어 정책에서 라디오의 입지는 매우 좁다.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국회언론공정성실현모임(대표 김성수 의원)의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정부가 설립을 예고한 라디오정책자문기구가 라디오의 혁신을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정석 부장은 “방송정책이 지나치게 TV중심적”이라며 “라디오에 현안 문제가 생긴다 해도 이를 해결할 인력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방통위에 라디오 담당 조직이 없고 ‘지상파정책과’의 한 파트에 불과하다. 라디오를 전담하는 직원은 2명 뿐”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라디오 정책에 소극적인 사실은 관련 연구나 조사가 부족하다는 점에서도 드러난다. 발제를 맡은 정준희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겸임교수는 정부의 라디오 조사는 매체 전반 조사의 일환일 뿐이고 민간에서는 한국리서치가 설문방식으로 실시하는 수도권 청취율 조사가 유일무이하다고 지적했다.

▲ ⓒ gettyimagesbank
▲ ⓒ gettyimagesbank
정준희 교수는 “정부에서 1년에 한번 진행하는 조사가 라디오 데이터를 얼마나 확보할 수 있나. 주기적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생산하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뒤 “정책자문기구나 규제기관은 우리 라디오 시장이 어디에 도달해있고, 무엇이 부족한지 데이터를 생산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방통위는 올해 업무계획에 미디어 다양성 증진을 목적에 둔 라디오 정책 추진 방향을 발표하고 오는 9월 전문가 연구반을 구성한 뒤 11월 라디오 정책 자문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정준희 교수는 “라디오는 인기가 떨어졌지만 팟캐스트에서 보듯 음성 콘텐츠는 잠재적 경쟁력이 있다”며 ‘라디오 정책자문기구’가 △데이터 비용 부담을 없애는 디지털 라디오 전환 △주파수 정책 검토 △광고제도 개선을 비롯한 재정정책 검토 △혁신적 음향·음성 융합 서비스 방안 등을 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연구반 정도 수준으로 자문기구를 만든다면 의미가 없다. 자문기구에 라디오 현장을 아는 실무자가 들어가 적극 의견을 내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신승한 방통위 지상파방송정책과장은 토론회 내용에 공감하면서도 △라디오 정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로 이원화된 문제 △라디오 지원에 정부 개입 정당성 검토 필요 △재원 마련을 위해 지상파 중간광고 등 광고제도 개선과 연동해야 하는 현실 등을 언급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와 관련 신 과장은 “중간광고를 포함한 광고제도개선 논의가 4분기까지 마무리된다고 해당 부서로부터 자료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방통위 방송광고정책과 관계자는 “중간광고는 다양한 점을 살피며 꾸준히 검토하고 있지만 언제 결정이 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