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9호선 공영화를 주장하는 시민·노동자들이 서울시민 2천여 명의 설문지를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에게 전달하며 ‘9호선 공영화 공약화’를 요구했다.

9호선 안전과 공영화 시민사회대책위원회는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박원순 후보 사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9호선 공영화를 원하는 시민들에게 입장을 밝혀달라”고 촉구했다.

▲ 9호선 안전과 공영화 시민사회대책위원회는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박원순 후보 사무실 앞에서 '천개의 시민공약 전달 및 9호선 공영화 공약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손가영 기자
▲ 9호선 안전과 공영화 시민사회대책위원회는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박원순 후보 사무실 앞에서 '천개의 시민공약 전달 및 9호선 공영화 공약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손가영 기자

대책위가 지난 5월 한 달 여 간 서울시민 20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92%가 “9호선 문제해결을 위해 서울지하철 1~9호선 통합과 공영화에 동의한다”고 답했다.

대책위가 밝힌 9호선 문제는 △노동조건 악화 △승객 안전위협 및 불편 증대 △민영화에 따른 비용 발생이다. 대책위는 문제의 근본 원인을 민영화와 다단계 위탁 운영구조라고 주장한다. 대책위는 민영회사가 수익을 노리고 비용 절감을 우선시하고 인력·시설·설비에 투자를 제대로 않는다고 주장했다.

9호선 노조(공공운수노조 서울9호선운영노동조합) 조사결과 9호선 기관사는 서울지하철 1~8호선 기관사보다 달마다 3~4일씩 더 근무했다. 선로 1km 당 운영인력은 1~4호선 66명, 5~8호선 40명에 비해 25명으로 가장 낮다. 직원 1인당 수송실적은 26만 명으로, 1~4호선 16만 명, 5~8호선 15만 명에 비해 가장 높다. 인력 부족으로 1개역에 1명만 일하는 곳은 25개 역 중 최대 15개에 달한다.

▲ 대책위가 지난 5월 한 달 여 간 서울시민 205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 대책위가 지난 5월 한 달 여 간 서울시민 205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대책위는 이런 환경이 승객 안전 위협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했다. 2015년 9호선 혼잡도는 237%로 조사됐다. 열차 한 량 정원 158명 기준, 9호선 한 량엔 2.4배인 374명이 탄다는 소리다. 서울시에 따르면 혼잡도는 점점 개선돼 2017년 12월 기준 175%로 완화됐다.

시민도 9호선 이용 때 가장 불편한 점을 혼잡이라고 했다. 대책위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중 53%가 ‘복잡해서 불편하다’고 답했다. 17%는 ‘도움을 청하고 싶을 때 직원이 없다’고 답했고 15%는 ‘열차 지연’을 꼽았다.

절반 정도의 시민들이 문제 원인을 ‘투자 부족’에 돌렸다. 응답자 49%가 “인력, 차량, 시설에 대한 투자 부족 때문”이라고 답했다. ‘민간이 운영하는 다단계 하청구조가 원인’이라는 응답도 25%를 차지했다.

대책위는 공영화에서 들지 않았을 비용이 민간기업으로 빠져 나가는 점도 문제라고 밝혔다. 9호선 1단계 노선(개화~신논현) 운영을 위탁받은 ‘(주)서울9호선운영’ 대주주는 프랑스계 자본 ‘RDTA(RATP Dev Transdev Asia)’다. RDTA는 9호선 설립에 8억 원을 투자해 2009~2015년 동안 총 234억 원 가량을 배당금으로 가져갔다.

최근 6년 간 81여 억 원이 용역계약 대금으로 RDTA 관계회사 등 3곳에 지급됐다. 대책위는 ‘이들 회사가 9호선 운영에 어떤 용역을 제공했는지 명확히 파악이 되지 않지만 해마다 대금을 지급돼왔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책위는 “9호선 공영화는 정의당·민중당·녹색당 등 진보정당 5곳이 당론으로 채택했고 시민 92%가 원하는 데다, 혈세도 수백 억 원씩 낭비가 되고 있다”며 “시민·노동자들의 제안에 강력한 당선 후보인 박원순 후보는 답하지 않고 있다. 한 달 간 시민들이 작성한 설문지를 제출하면서 박 후보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