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의 포털뉴스 댓글조작사건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포털 뉴스서비스 및 댓글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성인남녀 1075명을 대상으로 지난 24~28일까지 온라인 설문한 이번 조사에 따르면 ‘포털사이트에서 자체 뉴스 서비스를 중단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은 33.5%, ‘반대’는 56.7%,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9.9%였다. 언론계가 포털의 뉴스서비스를 강하게 비판했지만, 일반 뉴스수용자들은 3명중 1명만포털의 뉴스서비스 중단에 동의했다.

33333.JPG

▲ 디자인=이우림 기자.
▲ 디자인=이우림 기자.
포털사이트에서 뉴스서비스가 중단될 경우 뉴스 이용계획을 묻는 질문엔 “언론사 사이트를 더 방문 하겠다”는 응답이 33.3%, “TV를 더 이용 하겠다”는 응답이 31.8%로 나타났다. “소셜 미디어를 더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11.9%로 뒤를 이었고, “뉴스 이용 자체를 줄이겠다”는 답은 11.3%로 나타났다. “종이신문을 더 이용하겠다”는 응답은 6%에 불과했다. 이 같은 여론에 비춰보면 포털이 뉴스서비스를 중단해도 언론사의 직접방문비율 상승폭은 언론사가 기대하는 것 만큼 높진 않을 걸로 보인다.

그러나 연구진은 “포털의 자체 뉴스 서비스 중단 시 기존 언론 이용을 더 하겠다는 응답률이 71.1%에 달한 것”이라고 통계에 의미를 부여하며 “포털 뉴스 서비스 중단은 기존 언론의 이용을 늘리는 효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 포털 뉴스 서비스를 중단해도 뉴스이용자체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며 언론계에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222222.JPG
인터넷뉴스 소비 행태와 관련해선 “의도적으로 뉴스를 찾아서 본다”는 응답이 48.4%로 나타났다. “우연히 뉴스를 보게 된다”는 응답은 20.5%, “반반이다”라는 응답은 31.2%였다. 이는 포털에서 뉴스서비스가 사라질 경우 뉴스소비가 절반가량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대목이다. 뉴스소비에 있어서 포털은 절대적이다. 지난 일주일 기준 인터넷뉴스 이용 의존 통로를 묻는 질문에 ‘네이버’가 65.4%, ‘다음’이 25.5%로 나타났다. 두 포털을 합치면 90%가 넘는다. 이에 반해 언론사 사이트 직접방문은 2.4%로 유튜브(2.4%)와 같은 비율이었다.

포털 사이트의 뉴스 댓글과 관련해선 지난 일주일 동안 댓글을 읽은 사람이은 70.2%였으며 댓글을 작성한 사람은 21.1%로 나타났다. 댓글에 공감 혹은 비 공감을 표시한 응답자는 30.9%였다. 응답자의 40.4%는 댓글을 읽을 경우 상위 댓글 10개 정도까지 본다고 답했고, 35.4%는 최상위 댓글 2~3개만 본다고 답했다. 국민의 60% 가량은 기사당 10개 정도까지 댓글을 읽는 것이다.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연구진은 “포털 사이트에 상위노출 되는 댓글의 영향력이 강력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며, 상위 노출 댓글 정책의 정교한 설계가 필요한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30대 36.8% “뉴스보다 댓글 신뢰한다”

포털사이트에서 뉴스와 댓글 중 더 열심히 읽는 것을 묻는 질문에는 45%가 “뉴스를 더 열심히 읽었다”고 응답한 반면 “댓글을 더 열심히 읽었다”는 응답도 22.4%로 나타났다. 특히 30대는 “댓글을 더 열심히 읽었다”는 응답률이 29.8%로 다른 세대보다 높았다. ‘포털 사이트에서 뉴스보다 댓글을 신뢰한다’는 의견에는 30%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뉴스보다 뉴스에 달리는 피드백이 객관적이고 공정할 것이란 기대와 ‘기레기’로 상징되는 기존 언론에 불신이 더해진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30대에서 댓글을 더 신뢰한다는 의견이 36.8%로 가장 높았다. 30대가 뉴스 불신이 가장 높은 세대로 보인다.

11.JPG
포털사이트 뉴스 댓글에 대한 평가는 어떨까. “조작이 의심된다”는 의견은 55.7%, “일반시민의 의견이다”라는 의견은 44.3%였다. “기사의 내용과 연관성이 별로 없다”는 의견은 54%로 “기사의 내용과 연관성이 깊다”는 의견 46%보다 높았다. 댓글이 “소수의견에 불과하다”는 의견은 55.8%로 “전체 여론을 짐작할 수 있다”는 의견 44.2%보다 높았다. 이를 두고 연구진은 “응답자들이 포털사이트 댓글에 대해 대체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인식은 ‘드루킹’사건으로 심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4444.JPG
뉴스수용자들이 생각하는 대안은 무엇일까. 응답자의 무려 83.3%가 “조작된 댓글에 포털도 책임이 있다”는 의견에 동의했다. 포털 책임론은 피할 수 없다. 포털은 뭘 해야 할까. 향후 포털의 뉴스 댓글 정책과 관련, “댓글란을 실명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 78.5%, 반대 18%가 나타났다. 댓글실명제 여론이 높은 것. 하지만 이번 설문과정에선 인터넷실명제가 위헌 판결을 받았다는 내용을 고지하지 않아서 질문의 편향이 있다. “댓글란을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찬성 45.5%, 반대 44.1%로 양쪽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설문조사업체 마켓링크에 의뢰해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3.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0%포인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