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보다 언론의 오보가 유해하다? 한국 언론에 대한 ‘불신’이 팽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3일 발표한 ‘언론 신뢰도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언론이 ‘시민의 편’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34.8%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에게 언론인에 대한 인식을 묻자 ‘사회적 영향력이 있다’(82.2%)는 점을 가장 많이 꼽았다. 반면 ‘시민의 편이다’(34.8%) ‘도덕성도 있다’(28.2%)는 응답은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보고서는 “언론인이 시민의 편이라는 인식에 낮은 동의를 보이고 있는 것은 우리 언론이 크게 반성해야할 대목”이라며 “언론인에게 도덕성이 있다고 하기 어렵다는 인식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 신뢰도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결과.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 신뢰도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결과.

이용자들은 ‘가짜뉴스’보다 언론사의 오보가 유해하다고 답했다. 여러 정보의 유해성을 비교한 결과 언론사 오보가 유해하다는 응답이 8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뉴스 형식을 사용한 거짓정보(‘가짜뉴스’)(86.8%), 한 쪽 의견만을 전달하는 편파적인 뉴스(85.0%), 선정적 제목 등을 통해 흥미를 끄는 낚시성 뉴스(84.3%), ‘찌라시’ 정보(83.0%), 광고임을 숨긴 뉴스(82.1%), 댓글에 제시되는 정보(76.7%)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과정에서 ‘가짜뉴스’의 실제 정의와 이용자들의 인식의 차이가 크다는 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가짜뉴스’는 언론사의 보도를 흉내낸 허위 정보를 말한다. 그러나 이용자들은 이 뿐 아니라 ‘찌라시’ 정보(86.1%), 언론사 오보(84.7%), 선정적 제목 등을 통해 흥미를 끄는 낚시성 뉴스(83.7%), 광고임을 숨긴 뉴스(80.6%), 한 쪽 의견만을 전달하는 편파적 뉴스(79.0%), 댓글에 제시되는 정보(77.5%) 등을 ‘가짜뉴스’라고 보는 견해가 다수였다.

보고서는 “시민들이 생각하는 ‘가짜뉴스’와 언론인 및 언론학자가 생각하는 ‘가짜뉴스’의 개념에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면서 “정확한 개념을 시민들에게 전파하든지, 아니면 언론현업이나 언론학계 등에서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가짜뉴스’에 대한 재개념화를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부르기 시작한 데는 정치인들의 영향이 컸다.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CNN 등 자신에게 비판적인 기성 매체를 ‘가짜뉴스’라고 불렀으며 국내에서도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등 정치인들이 비판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지칭했다. 정치권에서 비판 보도를 가짜뉴스라고 지목하는 점에 대해 응답자의 82.9%는 문제가 있다고 응답했다.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 신뢰도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결과.
▲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 신뢰도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결과.

같은 언론이라 하더라도 매체별로 신뢰도에 차이가 있었다. 전체 응답자들에게 매체별 신뢰도를 물은 결과 TV(77.3%), 포털(63.0%), 종이신문(58.5%), 인터넷신문(52.6%), 소셜미디어(35.1%) 순으로 나타났다. 포털이 신문, 인터넷신문보다 높은 신뢰를 받은 것이다.

반면 응답자 가운데 지난 일주일 동안 한 번이라도 해당 매체를 통해 뉴스를 본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자 TV(78.1%), 종이신문(70.7%), 포털(64.2%), 인터넷신문(56.1%), 소셜미디어(42.6%) 순으로 나타났다. 포털의 순위가 떨어졌고, 종이신문의 신뢰도가 크게 올랐다.

이번 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마켓링크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050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거주지역 등을 고려해 표본을 정한 후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실시했다. 조사는 2018년 3월 26~27일 이틀 동안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3.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 포인트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