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가 재송신 수수료 협상을 시작했다. 경영난에 처한 OBS는 재송신 수수료 협상을 통해 활로를 찾겠다는 계획이다.

OBS는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IPTV, 위성방송, 케이블과 재송신 수수료 협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OBS는 “지난 6일 KT를 시작으로 7일 SK, 13일 스카이라이프, 20일 LG와 상견례를 겸한 첫 협상을 벌여 양측 협상 대표를 지정한데 이어 이번 주부터 재송신 대가 산정을 의제로 협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재송신수수료는 지상파방송을 IPTV, 케이블, 위성방송 등 유료방송 플랫폼에 내보낸 대가로 받는 돈을 말한다. 원래 지상파는 안테나를 통해 직접 수신했지만 유료방송이 활성화되고 직접 수신인구가 급감하면서 유료방송의 ‘재송신’에 의존해야 했다. 그런데 재송신 대가를 둘러싸고 지상파와 유료방송 간 첨예한 갈등이 이어졌고 협상이 결렬돼 TV에서 지상파 방송을 볼 수 없는 ‘블랙아웃’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 OBS 사옥.
▲ OBS 사옥.

개별 채널을 쓰고 자체 편성을 하는 OBS의 경우 SBS와 같은 채널을 쓰는 다른 지역 민영방송들과 달리 SBS와 패키지로 묶여 강력한 협상력을 발휘할 수 없었던 데다 협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지금까지 재송신 수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OBS 관계자는 “처음 재송신 협상이 시작될 때 우월적 지위를 가진 케이블쪽에서 채널을 뺀다거나 뒷번호로 밀리게 한다는 식으로 압박을 했다. 그때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시간을 끌게 됐다”면서 “모든 지상파 방송사가 재송신수수료를 받고, 유료방송채널(PP)들은 프로그램 사용료를 받는데 OBS만 대가를 못 받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 일러스트=권범철 만평작가.
▲ 일러스트=권범철 만평작가.

이번 협상은 방송통신위원회가 2016년 ‘지상파 재송신 가이드라인’을 제정한 이후 처음으로 시작되는 재송신 수수료(CPS) 협상이기도 하다.

‘블랙아웃’ 사태 이후 방통위는 재송신 수수료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재송신 협상의 원칙과 절차 △성실협상 의무 △정당한 사유 없는 협상 또는 계약체결 거부 행위 등을 규정했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협상 당사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재송신 대가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의 자문을 구할 수 있도록 했다.

가이드라인 제정 당시 방통위는 최대 쟁점인 ‘대가 산정 기준’을 명확히 드러내지 않아 ‘반쪽’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번 협상은 가이드라인이 실효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 볼 수 있는 시험대라고 할 수 있다. 주요 지상파 방송사들은 올해 하반기 재송신 수수료 협상을 앞두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