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시절 포스코의 2000억원 가까운 손실과 이명박·이상득 형제의 연결고리가 수면 위에 올랐다. 하지만 주요 포털에서는 포스코 홍보 기사들이 쏟아지고 있다.

MBC ‘PD수첩’은 지난 27일 ‘MB형제와 포스코의 시크릿’ 편에서 “포스코는 MB 자원외교의 시작과 끝”이었다는 정민우 전 포스코 대외협력팀장의 폭로를 전했다. PD수첩은 포스코가 수상한 거래로 약 2000억원을 사실상 탕진하는 과정에 이명박 전 대통령과 그의 형 이상득 전 의원이 개입했을 가능성에 집중했다.

포스코는 지난 2011년 인수금액이 100억원 정도로 추정되는 에콰도르의 ‘산토스CMI’를 800억원에 인수했다. 포스코건설 전직 간부는 “(앞서) 인수 거부를 했는데 어느 날 갑자기 부활해서 금액까지 800억원대로 올라왔다”고 고백했다.

산토스CMI 인수 당시 포스코는 영국 런던 소재의 EPC에쿼티스(EPC)를 함께 사들였다. 포스코 간부들조차 몰랐다고 밝힌 이 회사는 실체가 없는 ‘페이퍼 컴퍼니’였다. 포스코는 550억원을 들여 EPC를 인수해놓고 자본을 늘리면서 회사 가치는 떨어뜨리는 작업을 진행했다.

5년 뒤 포스코는 산토스CMI를 68억원, EPC를 0원에 소리 소문 없이 되팔았다. 매각 당시 포스코 직원들에게는 ‘함구령’이 내려졌다.

PD수첩은 포스코 내부 관계자들조차 동의하기 어려웠던 이 수상한 거래에 MB형제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정황에 집중했다.

▲ 사진=MBC PD수첩 갈무리
▲ 사진=MBC PD수첩 갈무리
▲ 사진=MBC PD수첩 갈무리
▲ 사진=MBC PD수첩 갈무리
포스코가 산토스CMI를 인수하기 전 MB의 ‘정치적 멘토’로 알려진 최시중 당시 방송통신위원장이 행사 차 에콰도르를 방문했다.

이상득 당시 의원도 대통령 특사 자격으로 두 차례 에콰도르를 다녀갔다. 에콰도르의 라파엘 코레아 대통령과 기업인들이 방한해 이명박 대통령을 만나고 난 뒤 포스코는 산토스CMI 인수를 결정했다. 에콰도르 현지 언론은 이를 “대통령과 기업인들이 한국을 방문한 성과”로 평가했다.

당시 에콰도르 교민 사회에는 “이상득 의원이 산토스CMI 매각과 관련해 포스코의 중간 역할을 했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PD수첩은 전했다. 또 “(정준양 당시 포스코 회장이) 상득(이상득 전 의원)에게 갔더라는 이야기가 있었다”는 증언도 담겼다.

권오준 현 포스코 회장은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시절부터 이 전 의원을 수행해 MB정부 자원외교를 주도했던 인물이다. 포스코에 막대한 손실을 안긴 정동화 사장 등 간부들은 오히려 승진했다.

정민우 전 포스코 대외협력팀장은 13조원에 달했던 포스코의 유동 자금이 정준양 회장 임기 말인 2013년엔 1조5000억원 밖에 남지 않았다고 폭로했다.

하지만 PD수첩 방영 다음날인 28일 주요 포털을 채운 것은 포스코 홍보 보도였다. 포스코가 화재 피해 및 저소득층 가정을 위해 스틸하우스를 무상 기부했다거나 포스코 광양제철소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퇴직 관련 프로그램이 호응을 얻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들이다.

▲ 28일 네이버 '포스코' 검색 결과.
▲ 28일 네이버 '포스코' 검색 결과.
▲ 28일 다음 '포스코' 검색 결과.
▲ 28일 다음 '포스코' 검색 결과.
앞서 ‘뉴스타파’도 지난 26일 “천억 원 인수 산토스, 60억 원대 땡처리” 보도를 통해 포스코가 산토스CMI를 ‘뻥튀기’로 인수해놓고 모든 자산을 날렸다고 밝힌 바 있다. 뉴스타파 보도 직후에도 포스코가 리튬광산 지분을 인수했다는 기사들이 쏟아졌다. 포스코와 MB형제의 수상한 관계가 조명될 때마다 포스코 발(發) 홍보 기사가 이를 가리고 있는 셈이다.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타사 보도의 경우 상업적 재미가 없다고 판단하면 보도하지 않는 언론계 관행이 지난 정부를 거치며 굳어졌다”며 “이슈가 사회를 뒤흔들 정도가 되려면 전반적으로 언론이 심층 보도를 하거나 단순 전달이라도 해줘야 하는데 현재 언론은 그런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논란을 홍보로 덮는 ‘언론 플레이’가 반복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 처장은 “(기업에) 불리한 내용을 다른 내용으로 덮어버리면 된다고 생각하고 주요 보도를 묻으려는 행태가 있고 언론사들은 이를 이용한다”며 “결국 피해자는 국민이다. 알아야 할 내용은 알지 못하게 되고, 뉴스가 아닌 홍보를 보게 되는 등 문제점이 심각하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