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언론의 오보와 왜곡보도에 대해 적극 대응하라는 지시를 내렸던 것으로 확인됐다. 김의겸 2기 청와대 대변인이 ‘사실과 다르다’며 특정 언론 보도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청와대의 언론 대응 기조가 올해 들어 ‘핀셋’ 대응 방식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권 출범 초기 오보에 대해 공개석상에서 경고하고 입장을 밝히는데 그쳤다면 핀셋으로 짚고 건져 올리듯이 오보를 끝까지 바로 잡는 방식으로 변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 2일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외교부 청사에서 정부 부처 대변인 회의(대변인 협의회)를 개최한 자리에서 언론 대응 기조 변화를 예고했다. 이 자리에서 윤 수석은 언론의 오보나 왜곡 보도가 드러나면 바로 잡을 수 있도록 언론중재위원회까지 가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언론중재위원회는 신청인 측이 사실보도가 아니라며 정정 및 반론 보도를 청구하는 절차를 진행하면 이를 중재하는 기관이다.

청와대가 신청인으로, 특정 언론사가 피신청인으로 얼굴을 맞대고 갑론을박을 벌이면 언론중재위에서 중재를 시도하지만, 결렬됐을 경우 신청인 측은 ‘불성립’된 중재위 결과를 받아 안고 고소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법적 대응을 하기 전 중재를 타진할 수 있는 마지막 절차라고 보면 된다.

윤영찬 수석이 이같이 언론중재위원회를 거론하며 적극 대응을 주문한 것은 그만큼 잘못된 언론 보도에 대한 피해가 많고 정책 추진에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처 한 관계자는 “과거에는 언론에 오보가 났는데 덮고 넘어 간다던지, 아니면 청와대 입장이 이러이러하다고 사실 설명 자료를 내고 끝냈다고 한다면 이제는 오보가 바로 잡힐 수 있도록 적극 대처하고 필요하면 중재위까지 가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관계자는 또한 “지난해는 사실 정권이 출범하지 얼마 되지 않은 관계가 있었고, 지난해 말부터 오보나 가짜뉴스가 갑자기 늘었다고 판단한 것 같다”며 “일자리나 최저임금 같은 정책 이슈가 쏟아졌는데 이와 관련해서 오보나 왜곡보도가 많이 늘었다고 판단하고 그동안은 대응을 하지 않았지만 심하다고 판단해 적극 대응을 주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언론중재위 문의 결과 현재까지 청와대는 특정 언론사를 상대로 정정 및 반론 보도 요청을 하지 않았다. 중재위 관계자는 “지난해 5월 정권 출범부터 현재까지 대통령실, 경호처 등 청와대 이름으로 신청한 통계는 없다”고 전했다.

2기 김의겸 대변인도 언론 보도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김 대변인이 ‘잘못된’ 언론 보도에 대해 반박하는 브리핑 내용을 들여다보면 기사 문법을 꿰뚫고 대응하는 모습이다.

예를 들어 지난 6일 “최근 모종의 경로를 통해 북측의 메시지가 온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대화와 핵 동결을 할 용의가 있다는 것. 그 대가는 수십조 원에 달하는 현금이나 현물 지원이다. 이런 내용은 관계당국에 보고됐다”는 동아일보 칼럼에 대해 김의겸 대변인은 “생각은 다를 수 있다. 견해는 차이가 나기 마련이다. 그에 대해 문재인 정부는 아무런 불평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사실관계에 분명한 잘못이 있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면서 “동아일보에 정중하게 요청한다. 잘못된 사실관계를 바로잡아달라. 정부도 법에 기대는 상황을 결단코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해석 보도는 자유로울 수 있고, 충분히 수용 가능한 영역이라고 한 대목은 언론 보도의 생리를 잘 알고 있는 언론인 출신 김의겸 대변인이 쓸 수 있는 문장이다. 그러면서도 김 대변인은 사실관계에 대해서만큼은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겠다고 퇴로를 막는 어법을 사용했다.

또한 “오히려 묻고 싶다. 이걸 사실이라고 믿었다면 어찌 1면 머리기사로 싣지 않은 건가. 왜 칼럼 한 귀퉁이를 채우는 것으로 만족한 건가”라고 반문한 것도 언론인 경험에서 우러나온 대응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왜곡된 언론 보도에 대해 언론의 생리를 들어 재반박하는 형식이다.

아사히신문이 지난해 11월 이후 연말까지 두 차례에 걸쳐 우리 정부 측이 북과 평양에서 접촉해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건을 협의했다는 내용을 보도하자 김의겸 대변인은 “첫 대목(접촉설)이 잘못되었기에 이어진 기사는 모두 허상 위에 세워진 탑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팩트가 아닌 부분을 지적하면서 언론보도의 허구성을 꼬집는 방식인데 사전 접촉설과 무관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과 북한 김영남 상임위원장의 발언을 끄집어내면서 반박의 근거로 삼고 있는 것도 언론인 출신 특유의 어법에 해당한다.

정부 부처 관계자는 “대변인의 발언을 보면 세심하게 언론 문법을 따르는 걸 볼 수 있다”며 “김의겸 대변인을 최종 선택한 것도 언론에 대한 적극 대응 주문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초대 박수현 대변인이 언론과 네트워크를 내세워 스킨십에 치중했다면 “자꾸 늘고 있는 언론의 오보나 왜곡보도에 대응할 수 있는 논리와 메시지를 낼 수 있는 대변인”으로 김의겸 대변인을 낙점했다는 것이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 뿐 아니라 고민정 부대변인이 진행하는 <11:50 청와대입니다>에서도 오보나 왜곡 보도에 대해 반박하는 내용으로 채워지는 횟수가 많아지고 있다.

지난달 24일 고민정 대변인은 <“玄(현) 단장 불편해 하신다”… 訪南(방남) 뒤집기엔 한마디 못하는 정부>라는 기사의 제목을 들면서 정부가 북한에 제대로 말을 못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는데 사실 현 단장의 발언은 몰려드는 취재진 때문에 경호상의 안전 문제로 나온 내용이라고 반박했다. 고민정 대변인은 특정 언론사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지만 기사 제목으로 보면 조선일보 보도 내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고 대변인은 기사를 논평하면서 “이런 제목은 좀 더 조심해야 되지 않겠나”, “이런 것은 좀 아니지 않나”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고민정 부대변인 역시 언론인 출신으로 언론 오보 및 왜곡 보도를 수시 때때로 반박하는 역할을 맡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 고민정 부대변인이 지난 13일 <11:50 청와대입니다></div></div>
                                <figcaption>▲ 고민정 부대변인이 지난 13일 <11:50 청와대입니다>에서 특정 언론사의 기사를 들어 왜곡보도라며 반박하고 있다.</figcaption>
                                </figure>
                                </div><br><p></p><p>지난 13일 고민정 대변인은 <김여정엔 식사 대접 네번, 펜스엔 한번, 아베는 0>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들어 같은 언론이 지난 문재인 대통령 방중 때는 <10끼 중 2끼만 중국 지도부와 식사…문 대통령 혼밥 논란>의 기사를 보도했다면서 이중 잣대를 들이대고 있다고 꼬집었다.</p><p>고 대변인은 “평창 올림픽에 많은 정상들이 왔고 회담이 이어지고 있다”며 “이분들의 서민적 행보가 눈에 띈다. 독일 대통령은 평범한 식당에서 불고기 덮밥을 드셨다”고 말했다.</p><p>이어 고 대변인은 “(보도 내용의 논리라면)문재인 대통령이 중국 순방 때 혼자 식사하는 서민 행보를 할 때 우리를 탓할 게 아니라 홀대한 그 나라를 탓하는 게  맞다. 같은 잣대를 들이댔을 때 그렇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고 대변인이 말한 언론은 중앙일보다. </p><p>고민정 대변인은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오보에 대한 대응이 두드러져 보이지만 계속적으로 해온 것이긴 하다. 온라인 플랫폼이 정착되면서 눈에 띄는  것”이라면서 “잘못된 보도에 대해서는 해당 언론사에만 연락해서 수정 조치가 이뤄지기도 하지만 다른 일반 국민들은 잘못된 보도를 보고 그쳐버린 경우가 많다. 잘못된 것에 대한 사실을 짚고 알리는 것도 필요하겠다고 느낀 것”이라고 말했다.</p>
<script>
	$('#rel-more-btn').click(function(){
				$('#rel-list').append( '' );
		$('#rel-more-btn').css(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