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최근 이어지는 화재 참사를 두고 ‘세월호’를 인용한 정부 비판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세월호 관련 막말을 쏟아냈던 홍 대표가 세월호를 언급하며 정부를 비난할 자격이 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홍준표 대표는 지난 28일 경남 밀양 화재 참사를 두고 세월호 참사와 비교해 문재인 정부를 비판했다. 홍 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해난사고(세월호)를 정치에 이용해서 집권한 세력들이 100여명에 이르는 억울한 죽음이 있어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큰소리만 뻥뻥친다”고 썼다.

▲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페이스북.
▲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페이스북.
27일에도 홍 대표는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밀양 화재 참사의 책임을 전 경남도지사였던 자신에게 묻자 “(세월호 사고 관련) 사고해역 책임자인 이낙연 당시 전남도지사에게 책임을 물었나”라고 공격했다. 이에 국무총리실은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 4월, 이낙연 총리는 전남도지사가 아니라 경선에 출마한 후보자 신분이었다”며 “사실관계조차 파악 안된 궤변”이라고 반박했다.

지난해 제천 화재 참사 당시에도 홍 대표는 ‘세월호’를 인용해 정부를 비판했다. 지난해 12월23일 홍 대표는 페이스북에 “세월호 참사를 이용해 정권을 잡은 세력들이 세월호보다 더 잘못 대응해 사상자를 키운 제천 참사를 어떻게 책임지고 수습하는지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최근 이어지는 참사와 관련, 홍 대표가 계속해서 ‘세월호’를 인용해 정부 비판에 골몰하는 가운데 세월호와 관련해 막말을 해왔던 홍 대표가 자격이 있냐는 비판이 나온다. 우선 홍 대표는 문재인 정부가 세월호를 이용해 정권을 잡았다는 식의 막말을 몇 차례나 반복했다.

▲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진=민중의 소리.
▲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진=민중의 소리.
홍 대표는 2017년 3월26일 KBS 자유한국당 대선 후보 경선 토론회에서 “좌파들이 해난사고를 정치에 이용한 지 3년이 지났다”고 주장했다.

홍 대표는 또 같은 해 4월16일 세월호 참사 3년 기억식에 원내 5당 대선 후보 중 유일하게 참석하지 않았다. 이날 홍 대표는 서울의 대표적 대형교회인 명성교회 부활절 예배에 참석했다. 홍 대표는 이날 세월호 추모식에 불참하는 이유에 대해 “세월호 사건을 정치권에서 얼마나 많이 울궈(우려)먹었습니까”라며 “더 이상 정치인들이 거기에 가서 얼쩡거리면서 정치에 이용하는 것을 안 했으면 한다. 저는 그래서 안 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홍 대표는 “세월호 가지고 3년을 해먹었으면 됐지, 이제 더 이상은 안 된다”고 기자들에게 말하기도 했다.

홍준표 대표는 같은 해 4월29일에도 트위터에 “부모님 상도 3년이 지나면 탈상을 하는데 아직도 세월호 배지를 달고 억울한 죽음을 대선에 이용하고 있다”고 썼다. 당시 세월호가 인양되기 시작해 선체조사위원회가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는 중이어서, ‘3년 탈상’을 주장하는 것은 진실 규명을 방해하는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뿐만이 아니다. 2017년 11월23일에 홍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재인 정권은) 세월호 의혹 7시간을 확대 재생산해서 집권했는데 (세월호) 유골 은폐 5일이면 얼마나 중차대한 범죄냐. 그들 주장대로라면 정권을 내어놓아야 할 범죄”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유경근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뉴스 퍼블리카’ 기고글에서 “요즘 자유한국당은 걸핏하면 세월호 참사를 빗대 이야기한다”며 “홍준표, 김성태, 장제원 의원 등도 현 정부가 세월호 참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해 정권을 잡았다는 발언을 이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위원장은 “많은 사람들이 자유한국당을 비판하는 것은 이들이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 피해자들에게 자행했던 폭력 그리고 여전히 반성하지 않는 파렴치함 때문일 것”이라며 “세월호 참사의 진실을 덮기 위해 온갖 짓들을 다했던 자유한국당은 제천과 밀양 화재참사 앞에서 세월호 참사를 빗대가며 현 정부를 비판할 자격이 없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유 위원장은 “제천과 밀양 화재참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정치공방 속에 정작 참사의 희생자들과 유가족들 그리고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생존자들이 보이지 않는다”며 “사회적 참사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피해자들의 요구를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정책, 메뉴얼, 법률에 반영하고 실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