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최기화 전 기획본부장 해임을 결의했다. 이로써 김장겸 전 사장 시절 MBC 본사 경영진이 모두 물러나게 됐다.

방문진은 15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방문진 회의실에서 임시이사회를 열고 MBC 이사 해임을 결의했다. 지난 4일 해임결의안을 논의하기로 했던 이사진 5명 중 4명이 이미 사임서를 제출한 관계로 이날은 최기화 전 기획본부장에 대한 해임결의만 이뤄졌다.

지난 4일 해임에 대한 소명서를 제출했던 김도인 전 편성제작본부장은 이사회 사흘 전(12일) 사임서를 제출했다. 윤동열 전 미디어사업본부장은 지난 1일, 김성근 전 방송인프라본부장과 이은우 전 경영본부장은 지난 3일 각각 사임했다.

최기화 전 본부장 해임 사유는 △최 본부장이 비상임이사직을 겸하고 있는 관계사(지역MBC) 경영 문제 초래 △안광한·김장겸 시절 MBC 경쟁력·신뢰도 저하에 영향을 미친 구 경영진 일원 △부당노동행위 등 실정으로 회사의 명예·신뢰를 실추시킨 책임 등이다. 최 전 본부장은 이에 약 80쪽 분량의 소명서를 제출한 바 있다.

야권 이사(자유한국당 추천) 이사들은 이날 최기화 전 본부장 해임에 반대하며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 이인철 이사가 “공정성·공영성 훼손이라는 해임 사유가 구체적이지 않다”고 지적한 데 이어 김광동 이사는 “최기화 이사는 결코 보직이나 정무적 판단에 의해 일하지 않는 사람이다. 불명예스럽게 해임시킬 일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여권 추천 이진순 이사는 “총파업이 왜 일어났느냐”며 “방송 공정성·공익성을 사장이나 이사진들이 앞장서서 파괴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MBC 구성원의 우려와 저항감이 파업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반박했다. 유기철 이사도 “최기화 전 본부장이 앞으로 MBC에 필요한가. 새로운 체제에서 몇 달 동안 걸림돌 역할만 했다”고 말을 보탰다.

이사들 간 언쟁이 지속되자 이완기 이사장은 “이제 그만 정리하자”며 비공개 표결을 진행했고, 그 결과 최 본부장 해임 결의가 이뤄졌다. 최기화 전 본부장은 안광한·김장겸 사장 재임 시절 MBC 보도와 노동 탄압 논란을 일으킨 대표적 인물이다.

▲ 지난 2014년 MBC 현장조사를 요구하는 김현미 세월호 국조특위 야당 간사를 최기화 당시 기획실장이 막아서고 있다.
▲ 지난 2014년 MBC 현장조사를 요구하는 김현미 세월호 국조특위 야당 간사를 최기화 당시 기획실장이 막아서고 있다.
보도국장 시절인 지난 2015년 9월,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본부장 김연국) 민주방송실천위원회(민실위) 보고서를 찢어 쓰레기통에 버린 뒤 보도국 편집회의에서 민실위와 접촉하지 말라고 지시해 물의를 빚었다. 지난해 9월 서울행정법원은 최 본부장 행위가 “노조 활동을 방해하는 결과”라며 “부당노동행위 의사가 추정된다”고 판정했다.

최 본부장은 지난해 2월 MBC 여론조사 왜곡 의혹을 취재하기 위해 전화를 건 미디어오늘 기자에게 “X새끼야” “지랄하지마” 등 욕설을 했고, 이를 확인하려던 한겨레 기자에게도 “이 새끼들아 전화 좀 하지마”라고 폭언해 논란을 불렀다.

기획국장이었던 지난 2014년 8월엔 세월호 참사 당시 ‘전원구조’ 오보에 대한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조사위원회(국조특위) 소속 야당 측 위원들의 MBC 출입을 막았다.

당시 위원들이 국조특위 위원장(심재철 새누리당 의원)이 결재한 현장조사 승인서를 제시했으나, 최기화 당시 기획국장은 “(현장조사 승인서는) 내부 문서일 뿐 우리에게 보내야 하는 공문이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끝내 문을 열지 않았다.

최 전 국장은 기획국장 재직 시 구로와 여의도에 신사업개발 센터 등 이른바 ‘유배지’ 신설에 관여한 인물로도 지목돼왔다.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은 지난해 9월 최 전 본부장 등 6명의 MBC 전직 임직원들을 서울서부지검에 기소 의견으로 송치했지만, 검찰은 최근 최기화 전 기획본부장이 “처음부터 센터 설립 의도를 알고 관여했다고 보기 어렵다”며 불기소 처분했다.

방문진은 16일 오전 11시 MBC 2대 주주 정수장학회와 주주총회를 열어 최기화 전 본부장 해임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