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평창동계올림픽에 파견된 119 구급대원 처우에 대한 글이 올라왔다.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강원도 각 시·군 소방서에서 개최지인 평창·강릉으로 강원 소방관들이 파견근무를 나가는데 정작 가장 많은 인원인 구급대원에게는 숙소가 제공되지 않는다는 내용이다.

이 청원자는 “소방관들이 연고지에서 출·퇴근할 수 없으므로 올림픽 기간에 숙소가 있어야 하는데 고위직과 평창올림픽본부 안전기획단 소속 소방관, 화재진압 소방관만 숙소를 제공해주고 가장 많은 인원인 구급대원에게는 숙소를 제공해 주지 않는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 안전을 위해 고생하는 구급대원에게도 중앙정부가 숙소를 지원해 줘야 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미디어오늘 확인 결과 평창 올림픽 파견 구급대원에게 숙소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청와대 청원 내용은 사실과 달랐다. 강원소방본부 관계자는 12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지역별) 구급대원 숙소는 다 다르지만 올림픽조직위원회 측에서 구급대원에 대한 숙소를 모두 제공한다”며 “공무원 여비 규정에 일일 숙박비는 5만 원인데 숙소가 제공되면 당연히 숙박비 제공은 안 된다. 아마 공문을 제대로 안 읽어본 직원의 이해가 부족한 글 같다”고 말했다.

▲ 지난달 12일 평창올림픽 주 경기장에서 열린 국가대테러종합훈련에서 소방대원들이 차량 및 드론 공격에 대비한 훈련을 했다. ⓒ 연합뉴스
▲ 지난달 12일 평창올림픽 주 경기장에서 열린 국가대테러종합훈련에서 소방대원들이 차량 및 드론 공격에 대비한 훈련을 했다. ⓒ 연합뉴스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 응급의료팀 관계자 역시 “119 구급대원에게도 조직위 숙박 정책에 따라 숙소가 배정된다”며 “다만 119 대원들을 따로 모아놓진 않고 근거리엔 배치가 안 된다. 최소 이동 거리가 한 시간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조직위 의무부 응급의료팀에서 운영하는 구급대는 경기장에 선수나 관중, 운영 인력 등에 대한 운영 시간 내 의료 대책을 추진한다”며 “경기 시간이 끝나면 구급대원들은 각 숙소로 돌아가고 응급의료는 119를 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소방본부는 동계올림픽 사전 준비일인 지난 9일부터 패럴림픽 종료 후 선수단 철수가 완료되는 시점인 3월22일까지 경기장을 비롯한 대회 시설 등 총 26개소에 소방 인력과 장비를 배치한다. 하루 최대 484명과 91대의 장비가, 연인원 1만7569명, 구조·구급차량·소방헬기 등 3365대가 긴급구조 업무에 투입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