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의 최대 권력이 삼성임은 누구나 인정할 것이다. 그렇다면 21세기 한국 미디어의 최대 권력은 누구에게 있는가? 저자는 이건희로 대표되는 삼성 오너 일가라고 단언한다. 삼성은 한국 최대의 미디어 집단을 소유하고 있다. 삼성은 광고, 협찬 등으로 한국 언론에 가장 많은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삼성의 미디어 통제력은 이보다 훨씬 깊은 곳에서 나온다. 삼성의 미디어 권력은 근본적으로 미디어를 둘러싼 제도 장악에서 비롯된다.

저자는 이를 입증하기 위해 일제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삼성의 성장史, 삼성의 미디어 진출 역사, 이병철의 제국 통치 방식, 삼성家와 한국 파워 엘리트, 이건희의 범 삼성家 확장, 삼성 미디어 제국, 미디어 소유 구조와 이사회, 한국 미디어 (신문, 유료방송, 광고, 영화) 시장 구조와 삼성의 미디어 검열 영향력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삼성 권력은 자본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한국 미디어의 구조 장악에서 나온다.

한국 사회에 대한 삼성의 지배력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삼성의 경제력에 대한 분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지배력의 뿌리가 되는 미디어 통제력을 정밀 분석할 때 비로소 그 실체가 분명해진다.

이에 저자는 미디어오늘·자유언론실천재단과 함께 한국 미디어 통제 체제와 나아가 한국 사회 지배 체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삼성의 한국 미디어 통제에 대한 심층 연구 기획 시리즈를 시작한다. - 편집자주

목차는 다음과 같다.

(01) 왜 삼성미디어 정치경제학인가
(02) 삼성 제국과 내부 통제 라인
(03) 이병철과 그의 자녀들 그리고 한국 파워 엘리트
(04) 한국 매스컴 속의 삼성 미디어史
(05) 금융 자유화와 이건희의 범 삼성계
(06)누가 한국 신문 시장을 지배하는가
(07)누가 한국 광고 시장을 통제하는가
(08)누가 한국 영화 시장을 지배하는가
(09)누가 한국 유료 방송 시장을 통제하는가
(10) 삼성 그룹의 미디어 소유 구조와 이사회
(11) CJ 그룹의 미디어 소유 구조와 이사회
(12) 중앙일보 그룹의 소유 구조와 이사회
(13) 1966년 사카린 밀수 사건과 2005년 X-파일
(14) 범 삼성가의 미디어 검열 방식
(15) 누가 미디어 자유화의 최대 수혜자인가
(16) 삼성 없는 한국 미디어를 위하여


2017년 12월22일 미디어 비평 전문지인 미디어오늘은 ‘중앙일보 간부들의 손석희 흔들기’란 기사를 보도했다. 중앙일보 간부들이 홍석현 전 중앙일보 그룹 회장과의 식사 자리 이후 손석희 JTBC보도담당 사장을 폄하했다는 지라시가 나돌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이 기사는 지라시 내용의 진위 여부보다 홍석현과 계열사 핵심 임원들 간의 갈등 상황에 주목했다. 여기에 삼성 그룹 광고라는 변수를 놓고 중앙일보와 JTBC 간의 미묘한 경쟁 구도도 첨가했다.

[ 관련기사 : 중앙일보 간부들의 ‘손석희 흔들기’ ]

▲ 손석희 JTBC보도담당 사장. 사진=사진공동취재단
▲ 손석희 JTBC보도담당 사장.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이 기사 내용만을 놓고 보면, 중앙일보 그룹과 삼성 그룹, 홍석현, 손석희의 JTBC, 그리고 중앙일보 임원들은 독립적인 존재로 묘사된다. 미디어오늘 기사뿐만 아니라 다른 언론 보도들도 유사한 보도 행태를 보여왔다. 이런 유형의 기사들은 몇 가지 의문점을 갖게 한다. 이들은 각기 다른 조직과 역사를 갖고 있는 법인과 존재들인가? 아니면 하나의 조직이며 그 조직의 구성원들로 볼 수 있는가? 홍석현 전 중앙일보 그룹 회장은 왜 경영일선에서 물러나고서도 중앙일보 임원들과 식사를 하면서 JTBC와 손석희 사장을 논의할까? 홍 전 회장은 그런 권력을 행사하는 근거가 무엇인가? 중앙일보 미디어 그룹은 왜 종합 편성 방송 이름을 JTBC로 지었을까? 그 이름은 삼성 소유의 동양방송(TBC)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중앙일보 그룹은 삼성 그룹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나? 손석희 JTBC 사장은 왜 중앙일보 임원들에게서 비난을 받고 있는가?

삼성 미디어 제국의 건설

얼핏 쉽게 답할 수 없는 질문들이다. 그러나 답을 하다 보면 오히려 새로운 궁금증이 이어진다.

삼성 제국의 역사가 궁금해지고 여기에 한국 매스컴의 역사가 어떻게 결합되어 있는지 파고들게 된다. 신문 시장 구조, 광고 시장 구조, 유료 방송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다시 삼성 미디어 제국의 소유 구조와 사업 확장 과정이 궁금해진다. 답할수록 어려워지는 질문이다. 하지만 삼성의 미디어 권력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과 이해 없이는 삼성 공화국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고, 인식할 수 없으면 벗어날 수도 없다.

1960년대 시작한 한국 미디어의 기업화는 삼성의 정보 산업 및 오락 산업의 진출과 궤를 같이 한다. 특히, 한국 정부가 시장주의 개념을 미디어 산업 전반에 도입한 1990년대에 삼성의 오너 일가는 미디어 사업 분야를 케이블 방송, 영화 투자, 유통, 극장, 연극, 드라마 제작, 디지털 콘텐츠 투자 등의 사업으로 확장했다. 그 결과, 삼성 오너 일가는 한국 미디어 콘텐츠의 생산과 유통 그리고 전시 분야까지 진출, 2008년 이후 한국 정보 산업과 대중 오락 산업의 최대 생산자이자 투자자이며, 유통업자이고 전시자가 되었다. 이를 통해 삼성이 한국 미디어 산업 흐름을 통제할 수 있는 최고 권력이 되었다. 그 권력의 정점에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존재한다.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연합뉴스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연합뉴스
그래서 나는 이건희 회장이 한국 미디어를 통제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미디어 정치경제학

미디어 산업화가 우리보다 먼저 진행된 서구에서는 일찍부터 시장과 미디어 재벌, 그리고 정치 권력의 관계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달라스 스마이스(Dallas Smythe), 허버트 쉴러(Herbert Schiller), 존 렌트(John A. Lent) 제임스 큐란(James Curran), 벤 배지키언(Ben Bagdikian), 안드레 쉬프린(Andre Schiffrin) 등은 신자유주의가 도래한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미디어 소유 구조, 이사회 임원 구성과 정치 경제 파워 엘리트 간의 연결, 미디어 법과 정책 변화, 시장 구조 변화와 콘텐츠의 흐름 등을 분석하였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탄생이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자들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에서 다양한 미디어 기업을 분석한 결과, 어느 국가에서건 정치 권력 변화가 미디어 법과 제도에 영향을 끼치며, 동시에 시장 주도 미디어 기업의 활동과 시장 구조 변동과도 유기적으로 연동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들은 특히 시장주의 이데올로기가 미디어 산업 구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 1980년대 후반부터 미디어 대형화가 시작되었음에 주목했다. 정부의 소유 규제 완화와 공기업 민영화 정책은 금융 자본들이 미디어 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열어 줬고, 그 결과 초대형 문화 기업(또는 미디어 재벌)이 출현했다는 것이다. 미디어 재벌(media conglomerates 또는 cultural conglomerates)이란 기업들이 두 개 이상의 미디어 사업 분야에 진출해 수십 개의 계열사를 거느리면서 중앙집권식의 소유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Kunz, 2007: Meehan, 2005). 우리가 알고 있는 문화 산업 재벌들로는 미국의 GE-NBC, Disney-ABC, News Corporation(Fox 채널 소유), Time-Warner, CBS-National Amusement, Sony사들이 있다. 이들 미디어 재벌들의 출신은 제조업이거나 미디어 전문기업이다. GE처럼 제조업에서 미디어 사업으로 확장한 기업이 있는가 하면, Disney처럼 미디어 전문 기업도 있다.

이들 소유 형태는 대부분 금융사들이 최대 주주이다. Disney 최대 주주는 미국의 대표적인 금융 자산가인 워렌 버펏(Warren Buffet)이다. 그가 소유한 금융 회사가 Disney의 최대 주주이다. 이와 달리 CBS-National Amusement는 레드스톤 (Red Stone)가문이 80%이상 소유지분을 갖고 있다. 레드스톤 가문은 지분만 갖고 있고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같은 가족 기업 소유 형태를 보이는 News Corporation은 루퍼트 머독(Rupert Murdoch)과 그의 가족들이 경영까지 관여한다. 삼성과 달리 루퍼트 머독 집안은 News Corporation에 30% 이상 지분을 갖고 있다. 또한 아시아에도 미디어 재벌들이 있다. 예를 들면 인도의 Bennett & Coleman, 필리핀의 ABS-CBN, 말레지아의 Media Prima, 싱가포르의 Singapore Press Holdings (SPH) 등이다.

▲ 루퍼트 머독 (Rupert Murdoch)
▲ 루퍼트 머독 (Rupert Murdoch)
미디어 재벌의 시장 통제

미디어 재벌의 등장으로 미디어 시장 구조는 독과점화됐다. 강력한 현금력을 갖춘 미디어 재벌들은 적극적인 기업 인수 합병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여갔다. 그 결과, 미디어 재벌들은 시장의 흐름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권력을 갖게 됐다. 이들 기업들이 시장의 필터 노릇을 하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미디어 재벌의 입맛에 맞지 않는 작품은 제작 기회조차도 배제된다. 설령 운이 좋아서 작품이 완성되었다 하더라도 시장에서 유통될 수 없다. 미디어 재벌들이 유통시장 출입구를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중소형 미디어 기업들이 작품을 기획할 때부터 유통 대기업의 입맛에 맞는 작품만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자체 검열 기제를 작동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중소형 기업들은 생존하기 위해 작품의 다양성을 추구하기보다 시장에서 팔릴만한 작품에만 치중하게 된다(Meehan, 2005: Schiller, 1989: Schiffrin, 2000, 2006). 

또한 여론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쇄 매체 시장에서도 미디어 대형화의 폐해는 심각하다. 광고주들이 발행 부수가 많은 매체만을 선호하기 때문에 대중적인 신문과 잡지들은 사회의 진보적인 가치에 대한 보도 빈도를 줄일 수밖에 없다. 대중 인쇄 매체에 대한 광고주들의 통제 기제는 광고비와 협찬비 등의 형태로 직간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진보적인 가치를 주창하는 인쇄 매체들이 시장에서 살아남는다는 것은 언감생심이다(Curran, 2003: Freiberg, 1981).

다시 말하면, 미디어 재벌들은 시장 구조 장악을 통해 콘텐츠의 생산과 유통을 통제할 수 있는 권력을 갖게 됐다. 문화적 재벌들이 미디어 상품의 게이트 키퍼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미디어 시장의 양극화는 심화됐고, 중소형 미디어 기업들이 몰락함에 따라 콘텐츠의 다양성은 심각하게 훼손됐다.

삼성미디어 정치경제학

서구 미디어 정치경제학자들의 문제의식과 연구 결과는 서구 자본주의를 뒤쫓아 걸어온 한국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삼성미디어 정치경제학은 바로 이러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한국의 경우 언제부터 미디어 규제 완화가 진행됐는가? 되었다면 언제, 누가, 어떤 형식으로 제도화했는가? 한국형 미디어 재벌이 등장했는가? 등장했다면 서구의 문화 기업 재벌들과 어떤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이는가? 한국 미디어 시장도 서양처럼 양극화가 심화했는가? 한국 미디어 재벌은 어떤 소유 구조를 갖고 있는가? 한국의 문화 파워 엘리트들은 어떻게 미디어 기업 내부에 통제 라인을 설치했는가? 한국 미디어 재벌의 등장은 한국 여론과 대중 문화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 연합뉴스
▲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 연합뉴스

이러한 질문에 하나씩 답을 찾아 나가면 자연스럽게 하나의 미디어 집단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바로 삼성이다. 한국의 대중 매체사에서 삼성은 재벌 중에서 가장 먼저 미디어 산업에 진출했다. 삼성은 지난 1963년 중앙방송(나중에 동양방송으로 개명)을 시작으로 신문, 잡지, 광고, 드라마 제작, 케이블 방송, 영화 제작 분야까지 진출했다.

재벌의 진화 과정 측면에서도 삼성은 두드러진다. 1990년대 금융 자유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재벌들은 분화하기 시작했다. 재벌 창업주들이 세상을 떠난 뒤 기업을 물러 받은 후손들은 선친의 기업을 몇 개로 나눠 갖는다. 그 과정에서 기업들 간의 업종별 전문화가 함께 진행됐다. 이런 재벌들의 기업 나눠 갖기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1997년 금융 위기가 찾아왔다. 이 같은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선출된 정치권력은 미디어를 포함하는 문화 산업을 국가 진흥 산업으로 지정했다. 정치권은 미디어법과 제도를 자유화하면서 재벌과 외국의 대형 미디어 기업들을 한국 미디어 진흥 동반자로 초대했다(Shim, 2000: Jin, 2011: Kwak, 2012). 이 같은 규제 완화 정책 속에서 이건희 삼성 그룹 회장은 1990년대 이병철 설립 회장의 삼성 그룹을 5개의 재벌 그룹으로 분화했다. 이들 기업들 중 삼성과 중앙일보와 CJ 그룹이 적극적으로 미디어 전 사업 부분에 진출했다. 다시 말하면, 삼성은 다른 재벌들과 달리 가장 먼저 미디어 사업 부분에 진출했고, 지속적으로 미디어 사업을 확장했다.

여기에서 중요한 질문이 던져진다. 삼성, 중앙일보 그리고 CJ 그룹은 미디어 재벌인가? 이들 3개 재벌 그룹은 어떤 형태의 미디어 소유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가? 이들 미디어 기업들은 한국 미디어법과 정책 변화에 어떻게 반응했는가? 정책과 유기적으로 연동했는가, 아니면 정책 변화를 추인했는가? 이병철 후예의 미디어 기업들은 어떻게 한국 신문, 방송, 영화, 광고 시장 구조에 영향을 미쳤는가? 이들 미디어 기업의 최종 수혜자는 누구인가? 다시 말하면, 삼성의 이씨 일가는 한국 미디어 시장의 제후들인가, 아니면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한국 미디어 시장의 황제인가?

2회부터는 꼬리에 꼬리는 무는 삼성미디어 정치경제학 질문을 하나씩 해결해 보도록 하자.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