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위원장 김창준)가 27일 현재 왼쪽으로 누워 있는 세월호 선체를 바로 세우기로 결정했다. 현재 상태로는 조사관들의 선체 안 수색에 안전상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고 기관실 등 침몰 원인 조사도 어렵기 때문이다.

선체조사위는 이날 제11차 전원회의에서 ‘세월호 선체 직립 안건’에 대해 조사위원 6명 중 5명이 찬성해 의결했다. 그동안 선체조사위는 선체 수색 활동을 하는 조사관들이 안전에 위협받지 않고 세월호 유가족과 미수습자 가족들이 바라는 진실 규명을 위한 선체 직립 방안을 강구해 왔다.

선체조사위는 “기관실 조타 유압장치의 솔레노이드 밸브(전기가 통하면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자동으로 닫히는 전자 밸브)와 엔진 관련 프로펠러의 오작동 등을 정밀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외부 원인에 의한 침몰 가능성과 관련해 선체 좌현의 충돌 흔적과 자세안정장치(스테빌라이저)를 조사해 의혹을 해소할 필요도 있다”고 설명했다.

▲ 지난 3월31일 목포신항에 접안한 세월호가 좌현 쪽으로 누워 있다.  사진=민중의소리
▲ 지난 3월31일 목포신항에 접안한 세월호가 좌현 쪽으로 누워 있다. 사진=민중의소리
하지만 해양수산부 측에서 선체를 바로 세울 경우 육상 직립 방안은 작업 기간 78일에 93억 원~100억 원의 비용이, 수중 직립은 최소 90일에 65억 원의 추가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하면서 선체조사위도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이에 선체조사위가 선체 직립 추진 방안을 검토한 결과 세월호를 모듈 트랜스포터(대형화물을 옮길 때 쓰이는 특수운송장비)를 이용해 플로팅 독(반잠수 선박)으로 옮긴 후, 초대형 크레인 3대를 이용해 선체의 자세를 바로 세우면 작업 기간 67일이면 끝낼 수 있을 것으로 나왔다. 비용은 약 68억 원이 들 것으로 보인다.

이날 선체조사위가 플로팅 독과 크레인을 이용한 직립 방안을 채택함에 따라 향후 해수부·기획재정부 등과 예산·절차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선체조사위에 따르면 정부와 협의가 잘 되면 직립 작업은 빠르면 12월 말부터 착수할 수 있다. 직립 작업 전에도 가능한 선체 조사와 수색은 계속 진행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26일 세월호 미수습자 가족들도 목포신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수부는 27일 ‘세월호 선체 수색 작업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이고, 침몰 지역에 남아 있던 상하이 샐비지도 철수했다”며 “객실과 화물칸 수색을 끝으로 더는 미수습자들이 없으리라 판단해 수색을 종료하려고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아직 엔진룸과 타기실 등 기관실은 뻘로 가득 차 있다”면서 “기관실 전체에 대한 수습 계획을 마련해야 하며, 선체 직립을 포함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단 한 곳이라도 수색에 소홀함이 없도록 마지막까지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호소했다.

해수부는 미수습자 가족들이 선체 추가 수색 요구와 관련해 “현재 진행 중인 주기관실 수색 작업은 11월 초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정부는 세월호 미수습자 수습에 대해 종료 시점을 미리 정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해수부는 “엔진룸과 타기실 등에 대한 수색은 객실·화물구역과 달리 각종 기계설비가 있는 복잡하고 협소한 공간으로, 지금까지와 같이 사람이 들어가 수작업 위주로 진행하기가 곤란한 상황”이라며 “우리는 해양·조선(선체구조·장비 등) 분야 전문가들과 추가 수색에 대한 기술 검토를 9월 말부터 진행하고 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11월 중 추가 수색 여부 등에 대한 논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