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와 관련한 홍가혜씨의 MBN 인터뷰 당일 청와대 직원이 홍씨에게 전화를 건 사실이 확인됐다. 하지만 석연치 않은 부분들이 발견돼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의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

2014년 4월18일 오전 6시 홍씨는 MBN과의 생방송 인터뷰에서 “정부 관계자가 민간잠수부 투입을 막고 있다”, “민간잠수부들과 정부 관계자의 협조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 “민간잠수부 가운데 생존자와 대화를 시도했고 (생존) 신호도 확인했고 대화도 했다” 등의 발언을 했다.

이에 해경은 “인터뷰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보도 자료를 냈고 MBN은 해경 입장을 받아들였다. 이동원 당시 보도국장은 이날 오후 1시50분 “MBN 의도와 상관없이 인터넷과 SNS로 유포되며 구조 작업 현장에서 큰 혼선이 빚어졌다”며 “혼란을 드려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홍씨는 해경 명예훼손 혐의로 구속 수감됐다. 당시 경찰은 홍씨를 조사하면서 홍씨에게 전화를 걸거나 홍씨와 통화한 이들의 인적 사항을 들여다봤다. 여기에는 560여명의 가입자 정보(통신사, 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 개통시기 등)가 기재돼있다.

이 가운데에는 가입자 주소가 ‘서울 종로구 세종로 1번지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실’도 있었다. 해당 가입자는 인터뷰 당일인 4월18일 오후 6시28분39초께 홍씨에게 전화를 걸었다. 홍씨에게 건 통화는 연결되지 않았다. 발신기지국 주소는 서울 종로구 청운동 1-0번지다.

▲ 2014년 4월18일 MBN 홍가혜씨 인터뷰 화면
▲ 2014년 4월18일 MBN 홍가혜씨 인터뷰 화면

문제는 다음이다. 2010년 4월2일부터 현재까지 해당 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전직 청와대 직원 A씨는 15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청와대 주소로 휴대전화를 개통한 적이 없고 홍씨에게 전화를 한 기억이 없다”고 수차례 주장했다. A씨에 따르면 해당 번호는 업무폰이 아닌 A씨 개인 번호다.

A씨는 “개인 휴대전화 개통을 왜 거기(청와대)로 하느냐. 당연히 집 주소로 한다. 황당하다”고 말했다. 경찰에 A씨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한 통신사 관계자도 “본인이 주소를 등록하지 않는 이상 통신사에서 직장 주소를 확인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가 직원들 휴대전화를 불법으로 복제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카피폰(복제 휴대전화)의 경우 가입자 정보가 이처럼 기록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미 박근혜 정부 청와대 직원들은 타인 명의를 도용한 ‘대포폰’을 여러 대 사용해 논란이 됐다.

참여연대 공익법센터장인 양홍석 변호사는 “당사자가 주소지를 그렇게 등록하지 않았다면 이상하다. 카피폰의 경우 가입자 정보가 그렇게 뜰 수 있다”고 하면서도 “청와대가 설령 카피폰을 만들었다고 해도 그 휴대전화로 전화를 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