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자 주요 종합일간지 머리기사 제목.

경향신문 “법원 ‘기아차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 맞다’”
국민일보 “통상임금 직격탄 기아차 1조 부담”
동아일보 “통상임금 ‘고무줄’ 판결… 115개社 떤다”
서울신문 “생리대 유해성 발표 ‘날림’이었다”
세계일보 “정치논리에 밀린 교육… 학교현장만 혼란”
조선일보 “통상임금 ‘복불복 판결’에 떠는 기업”
중앙일보 “이번엔 22조원짜리 기업들 2차 임금 쇼크”
한겨레 “법원 ‘기아차 상여금도 통상임금 맞다’”
한국일보 “1년 미룬 수능 개편, 이번엔 ‘중2 패닉’”

노동자의 눈, 기업의 눈, 언론의 눈

1일자 주요 언론들은 기아차 노조가 사측을 상대로 일부 승소한 임금청구 소송 소식을 1면에서 다뤘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1부(재판장 권혁중 부장판사)는 지난 31일 기아차 노조 소속 노동자 2만7437명이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임금청구 소송에서 기아차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했다. 이로 인해 기아차는 노동자들에게 4223억 원을 지급해야 한다.

▲ 경향신문 1일자 1면.
▲ 경향신문 1일자 1면.
경향신문·한겨레는 1면에서 각각 “법원 ‘기아차 정기상여금은 통상임금 맞다’”, “법원 ‘기아차 상여금도 통상임금 맞다’”라고 상대적으로 건조한 제목을 실었다.

반면 보수 성향의 언론사는 ‘기업의 눈’으로 바라봤다. “통상임금 직격탄 기아차 1조 부담”(국민일보 1면), “통상임금 ‘고무줄’ 판결… 115개社 떤다”(동아일보 1면), “통상임금 ‘복불복 판결’에 떠는 기업”(조선일보 1면), “이번엔 22조원짜리 기업들 2차 임금 쇼크”(중앙일보 1면) 등이 대표적.

사설도 논조가 확연했다. 경향신문은 “법원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이번 판결은 기업의 왜곡된 임금체계에 개선이 이뤄지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동아일보 사설은 “한국서 기업하기 갈수록 어렵다”면서 “통상임금 문제로 한국 경제가 흔들리기 전에 미리 법적 정비를 하지 않은 정치권 책임이 크다”고 비판했다. 조선일보 역시 “기업하기 힘든 나라는 결국 국민이 살기 힘든 나라가 된다”고 주장했다.

고영주·정우택, 회동 왜?

1일자엔 공영방송 총파업 관련 사진 기사와 칼럼 등도 눈에 띈다. 한겨레는 윤인구 KBS 아나운서와 신동진 MBC 아나운서가 포옹하는 장면을 1면 사진으로 썼다. 이날 KBS 아나운서들은 서울 상암동 MBC를 찾아 MBC 아나운서들의 방송 정상화 투쟁을 지지했다.

▲ 한겨레 1일자 1면.
▲ 한겨레 1일자 1면.
서울신문도 11면자 사진 기사로 KBS 아나운서들과 MBC 아나운서들의 모습을 담았다. 김종면 서울여대 국문과 겸임교수는 “공영방송과 그 적들”이라는 제목으로 서울신문에 기고했다. 

김 교수는 “김(장겸 MBC) 사장은 부당 노동행위와 심각한 보도 공정성 훼손 등의 이유로 이미 ‘공영방송의 적’이 됐다”며 “공영방송이 제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공영방송을 ‘유사언론’의 지경으로까지 내몬 ‘불량 언론인’부터 정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는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고영주 방송문화진흥회(MBC 대주주) 이사장과 8월30일 따로 회동한 사실을 보도했다. 두 사람은 3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한 호텔 일식집에서 만나 MBC와 방문진 현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고 한다.

▲ 중앙일보 1일자 6면.
▲ 중앙일보 1일자 6면.
중앙일보는 6면 기사에서 KBS·MBC 총파업 소식을 다뤘다. “‘KBS·MBC 동시파업’… 정권 초 또 공영방송 사장 거취 논란”이라는 제목이다. 

양비적 관점이다. 정권 초마다 공영방송 사장 거취 논란이 있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방송 장악’은 여타 정권과 비교를 불허한다. 해고 및 징계자수, 바닥으로 치닫는 공정성·신뢰도 지수, 상시적인 노조 탄압 등을 사례로 들 수 있다. 

“공영방송 수장의 거취 문제는 정권 교체기 때마다 뜨거운 감자가 돼왔다. 노무현 정부가 대선특보를 지낸 서동구씨를 KBS 사장으로 임명했다가 낙하산 인사 논란 속에 한 달 만에 자진 낙마한 것을 필두로 진보·보수 정권을 가리지 않았다.” 중앙일보 기사는 ‘사실’을 말하지만 ‘진실’과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박성진, 진보·보수 엇갈렸다

뉴라이트 논란에 휩싸인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는 매체비평 관점에서 흥미로운 인물이다. 

1948년 정부 수립을 ‘건국’으로 보고 이승만 정부 당시 자유민주주의 체제 수립을 위해 독재가 불가피했다고 주장한 그의 연구보고서와 신문 칼럼이 논란이었다. 그는 민주주의 저성장 원인으로 “과도한 노동운동, 책임을 망각한 과도한 민주주의”를 꼽기도 했다.

▲ 조선일보 1일자 2면.
▲ 조선일보 1일자 2면.
조선일보는 박 후보자의 사퇴 거부 기자회견 소식을 전하면서 기사 제목을 “대한민국의 역사를 긍정적으로 본 罪”라고 뽑았다. 기사 본문은 기자회견 내용을 건조하게 담은 것이지만 제목에선 ‘힘’을 줬다. 

이는 뉴라이트 역사관을 ‘대한민국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사관’으로 규정하고 기존 역사학계를 ‘대한민국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관’으로 묶는 이분법적 프레임이다. 동아일보 제목은 “박성진 ‘역사에 무지했다’ 사퇴 거부”, 중앙일보 제목은 “‘박태준 영향 받았다는 박성진 ‘과거 일, 역사에 무지해 생긴 것’ 사퇴 거부”로 ‘사퇴 거부’에 방점을 찍었다. 

반면 박성진 후보자의 역사관을 가장 먼저 문제 삼은 경향신문은 청와대를 강하게 비판했다. 

경향은 1면에서 박 후보자의 사퇴 거부 소식을 전한 뒤 2면 제목을 “초반 ‘파격 인사’ 호평은 어디 가고…빗나간 마지막 퍼즐”이라고 뽑았다. 한겨레(“국무위원 후보가 ‘건국-정부수립 차이 이번에 알았다’”)보다 말하고자 하는 바가 명확하다. 

▲ 경향신문 1일자 2면.
▲ 경향신문 1일자 2면.
본문에서도 “청와대가 문재인 정부 조각 마무리를 놓고 홍역을 치르고 있다”며 “지난 5월 취임 직후 ‘파격과 감동’이라는 평가를 받은 인사가 마무리 단계에 되레 발목을 잡는 요소가 됐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특히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인사에서 가장 기본인 평판 조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 때문에 청와대 인사 검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고 전했다.

5·18 투입 공수부대 27일 도청 진압 때 무장헬기 요청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의 거점인 전남도청 무력진압에 나선 공수부대가 5월27일 새벽 육군 항공단에 ‘무장헬기’ 지원을 요청한 군 문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한겨레가 1일 1면에서 보도했다.

한겨레가 31일 확보한 전투교육사령부(전교사)의 80년 5월27일치 작전일지를 보면, “04:51부 3여단 무장 Hell(헬)기 지원 요청”이라고 적혀 있다.

▲ 한겨레 1일자 1면.
▲ 한겨레 1일자 1면.
한겨레는 “공수특전부대인 3여단은 7·11여단보다 더 늦은 5월20일 광주에 투입돼 계엄군의 이른바 ‘상무충정작전’ 때 전남도청을 진압했다”며 “이 문서의 수화자란엔 ‘항공 연락장교 05:35 지원’이라고 적혀 있어 실제 헬기가 현장에 투입됐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이번 문건에는 “5:04 포로 3명 생포(전일빌딩)”라는 대목도 있다. 한겨레는 “전일빌딩은 옛 전남도청 인근 건물로, 5·18 당시의 탄흔이 발견돼 지난해 12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조사를 통해 5·18 당시 헬기 ‘기총 소사’(기관총 연발사격) 사실이 밝혀진 곳”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