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72주년 광복절 기념식에 대해 보수야당이 ‘광장의 시위 연장선상에서 승리를 확인’한 ‘운동권 촛불기념식(자유한국당)’이었고, 문 대통령의 건국절 언급 때문에 “눈 앞에 뻔히 예상되는 대립과 갈등을 더욱 부추겼다(바른정당)”고 맹비난했다.

자유한국당은 72주년 8·15 기념식과 관련해 15일 오후 논평을 내고 “광장의 시위 연장선상에서 승리를 확인하는 좌파정부의 축제”라며 “민중가요가 등장하는가 하면 대통령 경축사는 ‘촛불혁명’으로 시작돼 ‘촛불’이 5번이나 언급됐다”고 혹평했다. 8·15기념식이 “이념적으로 편향된 행사로 변질”됐다고도 폄하했다.

바른정당 역시 문재인 대통령이 8·15 경축사에서 언급한 ‘건국절’에 대해 이념 논란을 부추겼다며 “첫 광복절을 국민 분열을 야기하는 행보로 이끌고 말았다”고 비난했다.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은 “우리사회는 ‘1919년 건국’과 ‘1948년 건국’이 ‘좌파’와 ‘우파’의 전유물이 되어 한치의 양보도 할 수 없는 것인양 날카롭게 대립하고 있다”며 건국절 논란을 이념에 근거한 찬반 논란으로 평가했다.

이종철 대변인은 “학계와 사회계의 토론 및 타협, 절충 등을 통한 합의 그리고 이후 역사에 맡겨둬도 될 것”이라며 “벌써부터 대통령의 ‘1919년 건국’, ‘종지부’에 거센 반발이 나온다”고 비판했다.

▲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민중의소리
▲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민중의소리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에 대해 여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이 아쉬움을 표했다.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문 대통령 경축사에 대해 대체로 공감의 뜻을 밝히면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천명한 대북 관계에서의 ‘평화’ 원칙에 대해 구체적인 해법이 빠졌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지적했다. 다만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자유한국당이 강한 ‘안보’의 해법을, 정의당은 ‘평화’ 해법을 요구했다.

강효상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문재인 대통령의 ‘한반도에서 다시 전쟁은 안된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국가지도자가 전쟁을 억제하는 수단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인데, 문재인 정부는 마치 북의 도발 중단을 구걸하는 형국”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최소한의 안보 장치인 사드 4기를 즉각 배치 완료하고 ‘전술핵 재배치’로 ‘핵균형’을 이뤄야”한다고 말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북한은 도발과 위협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데 정부는 대북관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며 “한반도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정부가 어떻게 주도적으로 움직일 것인지 구체적인 로드맵 제시가 없었던 것”을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이어 “강력한 안보가 먼저 준비되어 있어야 평화가 보장됨을 명심하라”고 주문했다.

대북 관계에서 대화보다 강경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한 것은 바른정당도 같았다. 전지명 바른정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전쟁을 막기 위한 방법이 북핵을 인정한 전제에서의 대화라면 거부해야 한다”며 “북한의 핵협박 속에서의 노예적 평화가 아니라 핵이 없는 진정한 공존의 평화로 나아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정의당은 평화를 실현할 구체적 해법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석 정의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평화원칙이 선언으로만 남아선 안된다”며 “인도적 제안과 더불어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수 있도록, 보다 실질적인 대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반도를 둘러싼 국가들에 대한 외교도 더 강화하기 바란다. 이것이 대화의 동력을 더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며 문재인 정부가 평화원칙을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는 바로 국민이 바라는 국가의 역할을 명확히 제시했다고 평가한다”면서 “북한 문제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해법은 국제 사회가 모두 동의하는 것으로, 우리 정부가 적극적으로 주도했을 때 평화 국면이 조성되었던 것도 역사가 증명해주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