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오늘이 최근 해외 미디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일주일에 한 번, 최근 미디어계에서 벌어지는 새로운 일들, 뉴미디어계 소식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1. 영국 BBC, 연간계획에서 '비디오 퍼스트' 발표

7월4일 발표하는 ‘연간 계획’에서 BBC가 모바일앱에서 라이브 비디오 콘텐츠에 최우선 순위를 둘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BBC는 페이스북과 유튜브 등 새로운 플랫폼에서 라이브 비디오 기능을 선도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독자의 이용과 참여를 유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BBC에서는 여성, 젊은 층 등 특정 타겟팅된 독자들이 소셜 플랫폼뿐만 아니라 BBC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모바일 라이브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집중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

cats.jpg
BBC는 해당 연간계획 보고서에서 “내년에는 동영상 길이가 짧은 형태의 시각적 스토리텔링을 특징으로한 개인 맞춤화 모바일 퍼스트 전략을 내세울 것”이라며 ‘슬로우 뉴스’라는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슬로우 뉴스(Slow news)는 많은 자원을 투입해 깊이 있고 분석적인 텍스트, 동영상 설명 및 데이터 시각화 자료, 통계자료들을 활용한 기사인데요. 이런 슬로우뉴스를 모바일과 온라인을 통해 배포할 것이며 독자들이 세계적인 트렌드와 주제에 대해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BBC prioritising live video in News app to take on Facebook and Youtube as it looks to win over younger audience)

2. VR 콘텐츠, ‘스토리텔링’넘어 ‘스토리두잉’, ‘스토리리빙’

구글이 운영하는 ‘뉴스랩’에서 VR콘텐츠와 관련해 ‘스토리텔링’을 넘어 ‘스토리두잉’,(storydoing), ‘스토리리빙’(storyliving)개념을 들고나왔습니다.

지난 6월 구글 뉴스랩이 '스토리리빙: 독자들이 VR(Virtual Reality)을 경험하는 방법과 저널리스트에게 주는 의미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는데요. 이 보고서는 약 6개월 동안 VR 이용자 3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가 실려있습니다.

이 보고서의 결론은 VR 시청자들은 그들이 보고 있는 이야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몸소 체험하게 되기 때문에, VR 저널리즘에서는 이야기 전달에 그치는 스토리텔링이 아닌 이야기를 직접 체험하고 공유하는 스토리두잉(Storydoing), 더 나아가 이야기가 일상이 되는 스토리리빙(Storyliving)이 중요해졌다는 겁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영국 가디언의 VR 프로젝트 ‘6x9’인데요. 이 프로젝트는 독방 생활을 체험하게 하면서 시청자들에게 독방이 얼마나 비인간적인 것인지 느끼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2012년에 제작된 ‘LA의 기아(Hunger in Los Angeles)’도 그 사례인데요. 실제 LA의 푸드뱅크에서 일어난 사건을 바탕으로 만든 VR 뉴스인데, 시청자들에게 큰 공감을 샀다고 합니다.

VR뉴스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도 하는 연구이지만, VR로 전할 수 있는 뉴스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한 보고서라는 평도 나오네요.

(관련 기사: “VR journalism should focus on storyliving, not storytelling” and other insights from Google’s new VR study)

3. 페이스북, 인링크 방식으로 언론사 돈벌게 해준다?

페이스북이 인링크방식의 인스턴트 아티클을 통해 언론사에게 유료화 지원을 추진하겠다는 소식인데요. 인링크 방식이란 페이스북의 기사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링크로 들어가는게 아닌, 페이스북 안에서 기사가 열리는 형태를 말합니다. 한국의 네이버나 다음도 네이버의 기사를 클릭하면 언론사 홈페이지가 아닌 ‘네이버 뉴스’에서 뉴스를 보게되는 것과 비슷한 양식입니다.

언론사는 이러한 ‘인링크 방식’보다 ‘아웃링크’(기사를 클릭하면 언론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방식)을 선호할 수 밖에 없는데요. 이에 페이스북은 언론사에 독자들에 관한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합니다. 언론사들은 이 데이터를 활용해 어떤 독자들이 어떤 뉴스를 읽는지 더 잘 알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지금까지 ‘인스턴트 아티클’에 합류하지 않았던 언론사들도 합류를 할 것인지 주목됩니다.

(관련기사: Facebook is getting ready to test paid subscriptions with publications)

4. 월스트리트, “구글이 자사 유리한 연구에 지원금 전달했다”

구글이 지난 10여년간 자사에 유리한 주장을 펴는 연구진에게 지원금을 전달했다는 월스트리저널의 보도입니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이 지난 2009년부터 대학교수들에게 논문 한 편당 5000달러(약 570만원)에서 40만달러(약 4억5800만원)을 지원하면서 자사의 독점적 시장지배력과 관련된 규제를 완화하는데 유리한 논문을 지원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지원을 받은 논문에는 “구글은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관행은 공정한 대가다”라는 주장이 대부분입니다.

▲ 사진출처: 월스트리트저널.
▲ 사진출처: 월스트리트저널.
해당 보도에 따르면 호르헤 콘트레라스 미 유타대 법학과 교수 등은 논문을 발표하기 전 구글에 의견을 구했다고 하는데요. 지원 대상엔 하버드대,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캠퍼스 교수 등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글은 논문 주제와 예산을 정해놓은 목록을 들고 다니며 교수들을 물색했고, 이들이 쓴 논문을 가지고 정부관료들을 만나기도 했습니다. 교수들과 정부관료들을 만나게하기 위한 출장비도 지원했다고 합니다.

(관련기사: Paying Professors: Inside Google’s Academic Influence Campaign)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