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언론진흥재단과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가 아시아-태평양, 아메리카, 유럽 지역 36개국에 대한 미디어이용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2017년 디지털뉴스리포트’를 내놨다. 설문에 응답한 36개국 전체 응답자수는 7만1805명이며, 이 중 한국 응답자는 2002명이었다. 설문은 최순실-박근혜 국정농단 국면이었던 지난 1월과 2월 진행됐다.

이번 조사에서 한국의 뉴스신뢰도 수치는 36개 국 중 최하위인 36위로 나타났다. 36개국 전체에서 “우리나라 대부분의 뉴스를 거의 항상 신뢰할 수 있다”는 문항에 “동의한다”는 신뢰응답은 43%, “반대한다”는 불신 응답은 26%로 나타난 반면 한국은 “동의한다” 23%, “반대한다” 27%로 불신 응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7 디지털뉴스리포트.
▲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7 디지털뉴스리포트.
언론의 최순실-박근혜 국정농단보도가 한창이던 시기였음에도 세월호 참사 이후 불거진 기레기 논란과 더불어 여전히 언론을 쉽게 신뢰하지 못하는 모습이 드러난 장면이다. 이는 단기간 내에 한국 언론이 신뢰를 회복하기 어렵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한국의 디지털뉴스 유료이용자는 4%수준으로 하위권이었는데 유료이용률이 높은 나라는 노르웨이(15%), 스웨덴(12%), 덴마크(10%) 등 뉴스 신뢰도가 높은 나라였다.

36개국 응답자의 55%는 신문과 TV, 라디오 등 전통미디어를 뉴스의 주요 소스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45%는 웹사이트와 소셜네트워크(SNS) 등 디지털미디어를 주요 소스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50%대 50%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진보층이 보수층에 비해 주요 뉴스 소스로 디지털미디어를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36개국 평균 진보(47%)가 보수(43%)보다 4%포인트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국은 진보(52%)가 보수(39%)에 비해 디지털미디어 선호도가 높았다.

한국의 디지털미디어 톱 브랜드는 네이버(64%)와 다음(36%) 같은 포털로 나타났다. 뒤이어 JTBC온라인(33%), YTN온라인(22%), KBS온라인(19%) 순이었다. 이는 저널리즘을 생산하지 않는 IT기업이 디지털 뉴스 이용의 중심 플랫폼이란 점에서 세계적으로 매우 독특한 수치다. 이번 조사에서 아웃링크로 뉴스를 이용했다는 응답은 한국이 70%를 기록, 대만과 칠레에 이은 3위권이었는데 이는 포털중심의 뉴스소비와 무관하지 않다.

▲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7 디지털뉴스리포트 중 뉴스브랜드 순위.
▲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7 디지털뉴스리포트 중 뉴스브랜드 순위.
보고서가 발표한 전통미디어 뉴스브랜드 순위는 JTBC가 60%로 1위를 나타냈다. 뒤를 이어 KBS가 44%로 2위, YTN이 43%로 3위, SBS가 38%로 4위, MBC가 34%로 5위를 나타냈다. 이는 국정농단 국면 이후 높아진 JTBC의 신뢰도 및 영향력을 드러내는 수치다. 이와 관련 해당 보고서는 “방송브랜드 이용자 정치성향은 다소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공영방송 KBS와 MBC는 중도·보수 쪽으로, JTBC는 중도·진보 쪽으로 치우쳐 있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영국 BBC는 이용자들의 정치 성향이 진보·중도·보수 전체를 아우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미디어 분야에서도 톱 브랜드를 유지했다. 이를 두고 보고서는 “공영방송은 디지털에서도 뉴스이용의 중심축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이를 위한 선결요건으로 “진보·중도·보수 전체가 믿고 의지할 수 있고 다양한 스펙트럼의 이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을 주문했다.

▲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7 디지털뉴스리포트 가운데 정치성향별 뉴스브랜드 이용률 지표.
▲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2017 디지털뉴스리포트 가운데 정치성향별 뉴스브랜드 이용률 지표.
이번 보고서는 한국이 강력한 포털사이트와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 카카오톡 등 메시지앱을 통한 뉴스이용률이 매우 높은 점을 특징으로 지적하며 “한국에서 포털이나 검색엔진, SNS등 디지털 플랫폼이 수행하는 저널리즘적 기능 및 언론사와 플랫폼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본격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포털플랫폼이 사실상 저널리즘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사기업이란 이유로 공적 책무를 요구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