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혁신 사례를 취재할수록 쌓이는 고민이 있었다. ‘정작 나는, 나의 일터는, 혁신을 생각할 겨를조차 없지 않나?’ 작은 미디어비평지의 한계 속에서 “사람이 부족해서”, “돈이 부족해서”, “시간이 부족해서” 말이다.

그런데 그건 소위 대형 언론사도 마찬가지였다. 기자와 PD는 늘 시간이 부족했고, 언론사는 항상 돈과 사람이 부족했다. ‘지금 해야 할’ 일들만 해도 차고 넘쳤다.

궁금했다. 시간이 주어졌을 때, ‘능력자’가 옆에 있을 때, 과연 어떤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 수 있을까. 그렇게 구글코리아, GEN(GLOBAL EDITORS NETWORK), 미디어오늘이 공동 주최하는 ‘서울 에디터스 랩’에 참가하기로 마음먹었다. 알고 지내던 개발자 후배에게 연락했다. 후배는 아는 디자이너를 불러왔다. 언론사 일은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는 친구들이었다.

‘선거와 정치’라는 큰 주제 아래 가장 우선적으로 떠오르는 건 후보 공약 모음집, 의견 공유 플랫폼, ‘가짜뉴스’를 거르는 서비스 등이었다.

‘하지만 이 서비스를 만들면, 과연 나는 이용할까?’ 미디어 분야를 취재해오면서 느낀 건 정말 좋은 미디어 스타트업이 많다는 것과, 그럼에도 이름조차 들어보지 못한 곳이 많다는 사실이었다. 홍보의 부족도 있지만, 막상 실생활에서 잘 이용하게 되지 않는다는 것도 큰 요인이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찾아서’ 뉴스를 보는 사람들보다, 일반 대중도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서비스를 만들고 싶었다. 문득 ‘투표 인증샷’ 열풍이 떠올랐다. 서로 더 많은 인증샷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면 다른 이의 참여도 끌어낼 수 있지 않을까. 과거 ‘Pray for Paris’ 운동이 생각났다. 파리 테러 당시 SNS 프로필 사진에 프랑스 국기 필터를 씌웠던 운동이다.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진을 찍고, 자동으로 필터를 씌운 후 SNS에 공유하는 작업까지 한번에 가능하다는 개발자 승인이 떨어졌다. 디자이너가 예시로 만든 ‘대선용 사진 필터’는 당장 내 프로필에도 씌울 수 있겠다 싶었다. 이 ‘인증샷 필터 서비스’를 선거에만 그치지 말고 ‘세월호 추모’ 혹은 ‘촛불집회’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도 제공해 ‘정치 참여 플랫폼’으로 발전시키자는 데에 뜻이 모아졌다.

세부 사항을 논의하던 중 디자이너가 ‘어떤’ 이슈가 있을 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투표하자’는 대의는 모두 공감할 수 있고, ‘박근혜 탄핵’도 비교적 대다수가 동의하는 이슈라면, 그 이상의 이슈는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

사람들이 요청하는 이슈에 모두 제공하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만약 이를 ‘악용’하는 이들이 생길 때도 그들의 목소리를 담아야 할 것인가는 또 다른 문제였다. 그럼 사람들이 원하는 이슈를 건의할 공간은 마련하되, 적절한 걸 골라서 제공하면 어떻겠냐는 의견을 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는 그렇게 되면 결국 또 의제를 우리만 선택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대회장에서 반드시 결정해야 할 사항은 아니었기에 일단 논외로 하고 넘어갔다. 하지만 그 논의과정에서, 가볍게만 여겼던 서비스가 ‘이슈’를 다루는 순간 하나의 ‘의제설정’ 역할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지도 못한 지점에서 충격을 느꼈다. 언론사 경험이 없던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제기하는 의문은 새삼 ‘보편적’, ‘객관적’이라는 말의 무게를 생각하게 했다.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밤샘작업을 하는 동안 기획자는 곁에서 자리를 지키는 일밖에 할 수 없었다. 그때 가장 많이 든 생각은 사실 ‘왜 사서 고생을 하고 있을까’ 하는 점이었다.

▲ 이혜승 PD저널 기자
▲ 이혜승 PD저널 기자
우리 팀뿐만 아니라 회사의 권유로 나온 팀이든, 자발적으로 사람을 조직해 나온 팀이든 뚜렷한 이유가 있지는 않았다. 단지 새로운 걸 하고 싶은 이들이 모인 공간이었다. 감히 짐작하건대 결국 정체된 미디어 환경 속에서는 정체된 사회가 지속될 수밖에 없다는 답답함, 언론사 내부에서는 보장받지 못하는 ‘자유’가 ‘사서 고생’의 가장 큰 이유 아니었을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