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이후 각 나라의 주요 외신은 한국의 대규모 촛불집회가 박근혜씨의 탄핵을 이끈 주요 동력이며, 이 동력은 탄핵을 넘어 한국을 지배해온 주요 정치질서를 바꾸게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영국 ‘가디언’은 탄핵 사건의 계기를 한국 재벌과 정치의 유착이라고 지적하며 앞으로 재벌 개혁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프랑스 언론 ‘르몽드’는 ‘단순 시민’인 박근혜씨에 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 3월10일 르몽드의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고 새로운 선거 준비하는 한국'이라는 기사.
▲ 3월10일 르몽드의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고 새로운 선거 준비하는 한국'이라는 기사.
외신들은 공통적으로 탄핵의 동력이 된 대규모 촛불집회의 공로를 평가했다. 르몽드는 10일 기사에서 “한국인들은 대통령의 하야를 이끌어내기 위해 대규모로 움직였다”라며 “매주 토요일 저녁 광화문에서 집회를 열었고 박근혜 행정부가 작성한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랐던 문화계 인사들 역시 집회에 열정적으로 참여했다”고 전했다.

르몽드는 “집회 참가자들이 수백만명에 이르며 사태의 하이라이트가 됐다”라며 “바로 그들이 대통령으로부터 어설픈 사과를 하게 만들었고 특별검사에게 수사를 맡기게 했다”고 썼다. 이어 르몽드는 "단순 시민이 된 박근혜씨는 비리 수사의 대상이 돼야 한다"라며 "세부사항은 탄핵을 인용하기 위해 발표한 헌법재판소장의 결정문 속에 이미 나와있다"고 썼다. 

워싱턴포스트는 13일 기사에서 11일 탄핵 후 촛불집회를 보도하며 “군중들의 규모는 박근혜 축출에 기여했던 거대한 촛불 시위보다는 적었지만 역사적 순간이었다”라고 썼다. 이 기사는 “한국인들이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저항한지 30년이 지난 후, 그들은 평화로운 방법으로 대통령을 파면하기 위해 저항했다”고 평가했다. 일본 TV아사히 방송 ‘ANN 뉴스’는 토요일 집회를 두고 ‘승리 집회’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외신은 이러한 시민들의 승리가 박근혜씨를 탄핵하는 것에서 멈출 성격이 아니라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는 10일 기사에서 “시민들이 거리로 나섰을 때, 그들은 단지 임기가 1년 남은 대통령의 퇴진만을 요구한 것이 아니었다”라며 “그들은 수십년동안 한국을 지배해온 정치적 질서에 저항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을 지배해온 질서가 한국을 수출강국으로 변화시킨 경제성장 모델이라면서 이 안에서 ‘재벌’이라는 세력과 반노동 정책이 생겼다고 꼬집었다. 뉴욕타임스는 “박근혜씨는 2012년에 국가 경제를 급속히 부흥시킨 아버지를 우러러보았던 보수적 노년층 한국인들의 지지로 당선됐다”며 “그러나 정치권력과 재계는 유착관계를 만들었고 탄핵을 부른 스캔들로 부각됐다”고 썼다.

뉴욕타임스는 삼성 ‘재벌’ 또한 이 스캔들의 일부임을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는 “한국의 최대기업인 삼성은 현재 최순실에게 뇌물을 준 혐의로 기소되었다”라며 “삼성은 전에도 부패혐의를 받은 적이 있지만 이 기업이 국가 경제에 너무나 중요하다는 이유로 최고경영진이 수감된 적이 없었다”고 썼다.

▲ 10일 영국 가디언은 사설을 통해  '앞으로 한국이 해야할 옳은 일'을 제시했다.
▲ 10일 영국 가디언은 사설을 통해 '앞으로 한국이 해야할 옳은 일'을 제시했다.

외신은 한국의 이번 사태가 박근혜씨의 퇴진을 넘어 한국 질서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영국 가디언은 10일 사설을 통해 “박근혜씨의 퇴진은 한국 대기업들의 폐쇄된 세계를 재정돈하는 계기가 돼야한다”라며 “지금까지 한국 정치인과 거대 가족 경영 대기업들은 부패 스캔들에 익숙했지만 시늉에 불과한 처벌만 받고 빠져나갔다”고 비판했다.

이어 가디언은 지나치게 큰 대통령의 권한을 제한하는 것이 한국이 해야 할 첫 번째 단계이며 독재자 아래에서 한국의 경제발전을 일으킨 재벌이 개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번역 참고: 뉴스프로 )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