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노동조합이 공정보도위원회(공보위) 활동을 본격화 하면서 “어떤 언론사보다도 기자들이 내부에서 활발하게 토론할 때 조선일보의 정론지로서 위상은 높아진다”며 조합원의 참여를 호소했다.

노조는 지난해 송희영 전 주필 사건이 결정적인 계기가 돼 13년 만에 공보위를 재개했지만 여전히 일부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지면비판이 동료에게 휘두르는 칼처럼 느껴질 수 있고 외부에 알려질 경우, 조선일보를 향한 비판의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이유 등이다.

그럼에도 노조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노조는 최근 발간한 노보에서 “신문은 우리 스스로 만든 산물이기에 이를 비판하는 것이 불편해 할 우려도 있다”면서도 “그러나 우리가 쓰는 글 역시 누군가에게 상처가 될 수 있기에,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기에 스스로 비판하는 자정활동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조는 “공정보도는 조합원의 권익으로 이어진다”며 “과거 노조 초창기에 공정보도 활동에 주력했을 당시, 경영상황을 감안하더라도 지금보다 근로조건이 더 좋았고 기자들도 더 존중받았다”고 썼다. 기자들이 힘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다.

사측과 임금 등을 놓고 교섭을 할 때 노조가 힘이 없으면 타협이 아닌 굴복을 할 수밖에 없는데, 왜곡된 지면에 대한 합리적 비판은 그런 면에서 중요한 카드가 된다는 것이다. 실제 보통 언론사 노조는 단체행동보다 노보나 공보위를 통해 힘을 얻는다.

노조는 노보나 공보위가 외부에 알려져 조선일보를 비판하는 구실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노조도 언론자유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유지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진실은 알려질수록 힘이 커진다. 내부 비판활동을 숨기면 직원들끼리 뒤에서 궁시렁 거리는 것 정도로 여겨질 수 있다”고 밝혔다.

노조는 “신문의 논조는 처음부터 정해진 불변의 것은 없다.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려면 지면에 대한 토론과 비판이 필수적”이라며 “기자들이 상명하복 질서에 순응한다면 결국 하대받을 수밖에 없다. 직접적으로 이런 질서를 거부하기 쉽지 않기에 노조를 통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현장 기자들의 참여가 없으면 제대로 된 비판이 어렵다. 올바른 비판은 여러 사람이 참여해야 가능하고 비판에 대한 확신도 생긴다”며 “조합원들이 실명으로 비판하기 부담스럽다면 익명 게시판을 이용하면 된다”며 조합원들의 참여를 호소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