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언론사들의 임금협상 타결이 유난히 늦어지고 있다. 언론사 사측이 서로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동아일보 노동조합은 조합원 의견을 취합해 지난 해 10월 기본급 4.9% 인상안을 내놨지만 사측은 지난해 말이 되어서야 2% 인상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조합원들은 “2% 인상안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동아일보는 2016년 임금협상에 이어 2017년 임금협상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올해 4월1일부터 차장급 이하에 대해 연봉제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부장급 이상은 지난해 4월1일부터 연봉제를 적용했다. 그 이전까지 동아일보는 호봉제(기본급 2.4% 인상)를 유지해왔다. 

중앙일보 사측은 최근 2016년 조합원 임금 평균 2.5% 인상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중앙일보는 비조합원에 한해서는 차장 대우 이상은 2%, 차장 대우 미만은 2.5% 인상을 이미 시행했다며 “전반적인 매출 부진 등으로 임금 인상의 여력이 없다”고 말했다. 

▲ ⓒgettyimagesbank
그러나 조합원들 생각은 다르다. 최근 중앙일보 노보에 따르면 2016년이야 말로 임금 인상의 요소가 다분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JTBC의 경우 잇다른 최순실 태블릿 등 특종 기사가 많았고 중앙일보도 디지털 개편으로 인해 업무 강도가 높아진 상황이다. 

한 JTBC 보도국 조합원은 “주말도 없이 일해 온 현장 기자들의 노력이 더해서 JTBC 뉴스룸이 현재 지상파를 넘어 최고의 시청률과 경쟁률을 보여주고 있다”며 “경영 사정을 고려하더라도 지금의 사측안은 현장 기자들의 노고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중앙일보 한 조합원은 “실질 임금은 몇 년째 마이너스”라며 “과거에는 임금 인상률이 낮아도 호봉승급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결국 대부분의 조합원이 임금인상률에 기댈 수밖에 없다. 몇 년 째 누적된 경제성장률과의 격차를 고려한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상황은 더 좋지 않다. 조선일보 사측은 지난해 노조와의 협상에서 “임금 인상 여부를 회사에 일임해 달라”고 했다가 노조가 이를 수용하지 않자 조합원 평균 1% 인상안을 내놨다. 해당 안은 지난 달 열린 대의원회에서 부결됐다. 

그러자 사측은 ‘동결’안을 가지고 나왔다. 최근 조선일보 노보에 따르면 사측은 “회사가 어렵지만 저연차 조합원의 사기를 고려해 인상안을 제시했는데 노조가 이를 거부했다”며 “이를 못 받으면 당초 제시한데로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달 조선일보 노보에 따르면 이를 두고 한 조선일보 조합원은 “회사가 이렇게 막무가내로 밀어 부칠 줄은 몰랐다”며 “노사가 대화와 타협을 통해 상생의 길을 찾아도 어려울 시국인데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사측이 2006년 연봉제를 도입하며 한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당시 조선일보 기자들은 연봉제 도입에 반대했으나 사측은 연봉제를 도입하더라도 매년 호봉인상 보전분으로 임금 동결시에도 최소 2%는 인상하겠다고 약속했다. 


주요 언론사들의 임금 협상 타결이 늦어지고 있는 건 언론사간 눈치보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조선일보 사측은 “중앙, 동아 임금이 아직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임금 변동의 요인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동아일보 한 기자도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주요 언론사의 임금 협상이 타결되는 순간, 다른 언론사도 비슷한 수준으로 타결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한편 중앙일보 노조는 조합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