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홍보실이 2015년 12월 작성한 ‘원자력 정책의 포퓰리즘화 가능성과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언론보도에 대한 불만을 어렵지 않게 확인했다. 

보고서는 “원전에서 발생한 경미한 고장에도 언론이 대대적으로 보도함으로써 국민의 불안을 가중시키는 경향이 적지 않다”고 지적하며 “한국의 많은 언론이 고장이나 사건을 사고로 표현하며 원자력의 안정성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보고서는 “안전을 조금이라도 저해하는 신호가 발생하면 사전에 발전소가 자동 정지 된다”며 “원전이 정지된다는 것은 안전을 저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강화하는 조치”라고 주장했다.

해당 보고서는 2014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조선일보와 한겨레의 원전 관련 기사를 집계하며 언론보도를 분석하기도 했다. 집계 결과 조선일보는 이 기간 동안 210건, 월평균 11.7건의 기사를 냈고 한겨레는 같은 기간 310건, 월평균 17.2건의 기사를 실었다.

▲ 한수원 보고서가 분석한 신문사별 원전 관련 기사 논조 비중. 디자인=이우림 기자.
보고서에 따르면 조선일보 원전 기사는 긍정논조 41.9%, 중립논조 32.4%, 부정논조 25.7% 순이었다. 반면 한겨레는 긍정논조 5.8%, 중립논조 31%, 부정논조 63.2%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조선일보가 균형 잡힌 논조를 보여준 반면, 한겨레는 원자력 이슈에 대한 무조건적 반대와 일방적 주장만을 보도하는 자극적 제목의 기사가 상당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조선일보는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한겨레는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취재원 활용 분석 결과 조선일보는 총 132명, 한겨레는 337명을 취재원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한겨레가 원전 관련 지역의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상당수 취재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 신문사별 원전 관련 기사 취재원 분류 현황. 한수원 보고서 발췌.
▲ 2015년 12월 한수원 홍보실에서 작성한 '원자력 정책의 포퓰리즘화 가능성과 대응방안' 보고서.
조선일보가 가장 많이 활용한 전문가 취재원은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12회), 제무성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11회)였다. 한겨레에서 가장 자주 등장한 전문가 취재원은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19회),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대표(19회)였다.

한수원 보고서는 조선일보 보도를 가리켜 “원전 안전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원전의 산업·경제적 측면을 논의해왔는데, 해킹에 따른 원전불안의 확산은 조선일보의 입장을 위협하는 사태였다”고 밝혔다.

한겨레 보도에 대해서는 “정부의 원전 정책 결정의 근거가 된 전문가들이나 한수원의 의견은 신뢰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라며 “이러한 불신은 국회나 시민단체들의 의견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동시에 “한수원의 사고에 대한 무능한 대응이 이러한 불신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