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옥님의 기고 ‘메갈리안 해고 논란? 이건 여성혐오의 문제가 아닙니다’와 관련, 독자 김시습님이 관련 기고를 보내주셨습니다. 미디어오늘은 논의의 확산과 발전을 위해 반론 기고를 환영합니다. – 편집자주.

관련 기사 묶음.

메갈리안 해고 논란? 이건 여성혐오의 문제가 아닙니다
넥슨 성우 논란, 기자들 신상까지 털어 공격했다
정의당, 메갈리아 관련 논평 ‘철회’
남성들이 "내가 언제 여성을 혐오했냐"고 묻는 이유
남성혐오라고요? 남 탓할 때가 아닙니다
정의당 성우교체 사건 논평 철회는 노회찬 지시?
"넥슨 사태는 자본에 의한 페미니즘 탄압이다"
"너 메갈이야?" 이 한 마디로 모든 걸 덮을 수 있나?
"메갈리아는 남성 혐오가 맞습니다"
'페미나치'라고? 왜 ‘기울어진 운동장’을 못 보나
정의당 논평철회에 출당요구까지 계속되는 의견충돌
여성 78% "강남역 살인사건은 여혐 범죄", 남성은 48%
남혐의 당위 인정하지만 혐오의 악순환 피할 수 없다

넥슨의 티셔츠논란에서 메갈리아의 티셔츠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 이유가 메갈리아가 주체이고 메갈리아가 남성혐오를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메갈리아의 여태 글에서 그 글의 문맥과 문언의 통상적 의미만을 생각해도 이를 부정하기 힘들다. 하지만 메갈리아와 페미니스트 측에서는 남성혐오는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남성혐오에 대한 글을 여기 기고한다.

1. 남성혐오는 존재하는가?

남성혐오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 대표적 인물은 여성학자 정희진씨다. "남성혐오는 가능하지 않다"고 말한다. 여성혐오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멸시이고 그 반대는 저항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강자와 약자 사이에서 억압과 저항이 대칭적으로 동질일 수 없으므로 억압과 멸시로서 여성혐오는 존재하지만, 여성의 분노는 저항이기에 남성혐오가 아니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동기이고 원인이다. 혐오는 사실과 결과로서 존재하는거지 당위에의해 승화되는 게 아니다. 혐오는 누가 누구에게 하는가에 따라 또는 어떤 이유에서 어떤 맥락에서 하는가에 따라 저항이 되고 혐오가 아니게 되는 것이 아니다. 혐오는 누가하든 누구에게 하든 어떤 이유에서건 사실로서 폭력이다. 흑인이 백인에게 하든, 성소수자가 이성애자에게 하든 혐오는 사실로서 존재한다. 사회적 투쟁일지언정 혐오의 최종 귀착지는 개인이다. 개인의 정체성이 혐오를 피할 수 없게 만드는 원인이자 기정사실이기 때문이다. 대의든 정의든 그 어떤한 동기를 원인으로 하더라도 개인에게 다다랐을 때 정체성에 기반한 존재부정 비하는 혐오가 폭력의 사실외에는 아무것도 아니 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여성혐오와 남성혐오는 시발의 이질성을 넘어 귀결로서 '혐오'의 폭력적 동질성을 공유한다. 아니면 거꾸로 인간의 고유한 감정상태 중 하나로서 혐오가 그 대상을 찾아 분기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어쨋든 남성혐오와 여성혐오는 혐오로서 동질이며 상호보완적으로 대구하면서 고조되고 확장된다. 혐오는 그렇게 분기하여 서로를 지렛대 삼아 스스로를 파멸적으로 확대 재생산한다.

2. 남성혐오가 사실로서 존재한다면 당위로서 긍정할 수 있을까?

남성혐오가 경험적 진리로서 사실판단의 대상이라는 것이 가치판단과 당위판단이 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

메갈리아는 스스로가 여성혐오가 만연한 우리사회에서 여성의 기존 예의바르고 간곡한 호소가 무시당하면서 절망과 절박함 속에 자구의 수단으로 등장했다고 한다. 나는 이 커뮤니티의 동기와 효과에 동의할 수 밖에 없다. 남성혐오가 여성인권을 위해 필요하다는 시대적 당위, 그리고 혐오가 실제로 기능하는 효용이라는 가치로 인해 페미니즘과 메갈리아 사이에서 남성혐오의 존재와 당위, 가치가 동시에 긍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혐오가 특유의 자생성을 가지고 혐오의 언어, 문화, 정신을 만들어가며 자기 재생산을 시작하므로써 미러링은 단순한 원본의 복사가 아닌 그 자체가 새로운 원본이 되는 것이다.

3. 피할 수 없는 혐오에 대해.

반대로 메갈리아가 미러링의 원본으로 삼고 있는 여성혐오를 평등의 원칙에 따라 우리는 똑같이 그 당위와 가치를 긍정해야 할까? 그래서 미러링의 겉만 보지 말고 일베유저가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와 여성혐오의 필요성과 효과에 관용을 보이며 그들에게 다시 귀를 귀울여야 할까? 정의와 공정은 판단하기 어렵지만 겉으로 보이는 평등은 그 단순함 때문에 쉽게 공정함이나 정의로 오인 되곤 한다. 정의와 공정함이 함께하는 평등을 실질적 평등이라고 한다. 나는 이 혐오의 악순환을 막을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혐오에 대한 관용을 베풀때 반대쪽에서도 똑같은 관용을 요구한다. 여성혐오도 어딘가의 부당함에 시작되서 반사되고 반향되고 덧대어지고 또 스스로 자란 혐오의 관성이 아닐 지 생각해 본다. 이 반사와 반향은 반드시 대칭하지 않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