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지역으로 경북 성주군 성산리 일대가 사실상 결정됐다는 보도가 나오자 경북 성주군청(김항곤 군수)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성주군청은 지역시민사회단체와 함께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이재복 성주사회단체협의회장)를 구성하고, 서울 용산의 국방부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집회신고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오후 4시30분쯤 “한미 국방 당국은 공동실무단이 성주를 최적 부지로 평가한 내용을 담은 이행보고서를 양국 군 최고 수뇌부에 보고하는 행정적인 절차를 마치는 대로 이르면 내주 배치지역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연합은 복수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한미가 군사적 효용성 등을 면밀하게 따져본 결과, 공군 방공포대가 있는 경북 성주지역을 최적합지로 결론을 내리고 양국 군 당국의 행정적인 승인 절차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행정적인 승인 절차 과정에서 변수가 생기지 않는 한 한미 공동실무단이 평가한 지역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이들 소식통이 전했다고 연합은 보도했다.

성산포대에는 병력 170여명과 대공유도무기인 호크가 여러 대 배치돼 있으며, 기존에 배치된 호크는 인근 다른 지역으로 이동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다. 그 대신 이 지역에 사드 작전 기지를 배치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이유에 대해 연합은 “군사적 효용성을 가장 높게 평가한 결과이며, 주택 밀집지역이 아니어서 주민 안전과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 12일 오후 경북 성주군에 성주읍 성주군청 인근에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 연합뉴스
성산리에 사드가 배치되면 사드의 최대요격거리(200㎞)를 감안할 때 미군기지가 있는 평택과 군산, 육·해·공군본부가 있는 충남 계룡대, 강원도 강릉 인근까지 북한 미사일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고 연합은 전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확인해줄 수 없으며 수주 내에 발표할 것이라는 입장만 내놓았다. 국방부 대변인실의 한 장교는 12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배치 부대에 대해 확인해줄 없으며, 연합뉴스의 보도가 맞는지 틀리는지도 말할 수 없다”며 “조속한 시일, 수주내에 발표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두고 해당 지역은 상경투쟁 계획을 세우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다.

경북 성주군청 총무과 주무관은 12일 미디어오늘과 전화통화에서 “오전부터 성주가 후보지역으로 거론돼 오후 2시에 ‘사드성주배치 반대 범군민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이재복 성주사회단체협의회장)’를 구성했으나 회의를 마치자 마자 오후 4시 좀 지나서 결론이 났다고 보도가 나오는 바람에 현재 다시 긴급 회의중”이라고 밝혔다.

이 주무관은 “이미 14일자로 성주군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15일엔 국방부 앞에서 집회를 열기위해 용산경찰서에 집회신고를 냈다”며 “국방부 상경시위는 현재 15일 오후 3시로 계획을 세웠으나 결론이 났다는 보도 때문에 시간조정을 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 주무관은 “우리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가 촬영한 성주 지역 일대의 사진을 보면, 성주읍 새마을지도자협의회는 ‘친환경 농촌에 사드 배치가 웬말이냐’라는 대형 현수막을 설치하기도 했다.


▲ 12일 오후 경북 성주군 성주읍 성주군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사드 성주배치 반대 범군민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김항곤 성주군수가 발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이밖에도 앞서 사드 배치 지역으로 거론된 지방자치단체와 해당 지역 시민단체들이 연일 반대시위를 여는 등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 9일엔 칠곡군청에서 규탄집회와 함께 백선기의 군수 삭발식까지 열었으며, 11일엔 충북 음성군에서 반대집회를 열었다. 강원도 원주, 경기도 평택, 경남 양산 등도 반발 움직임이 이어졌다.

이 때문에 정부와 한미 군당국이 이미 배치지역을 정해놓고 계속 발표를 미루면서 혼란만 가중시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