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지난 11일 연두기자회견에서 언론개혁의 필요성을 언급한 뒤 ´언론개혁´이라는 화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가운데 각 신문사들은 사설뿐만 아니라 칼럼을 통해서도 ´언론개혁´과 관련된 각 사의 입장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16일자 중앙일보의 시론과 대한매일의 칼럼은 신문개혁, 언론개혁을 바라보는 언론사들의 상반된 입장을 뚜렷이 보여준다.

우선 중앙일보 16일자에 게재된 이민웅 교수(한양대 언론학)의 시론 <신문개혁 주체는 독자다>에서 언급한 언론개혁의 방향은 독자의 자율적인 판단과 선택에 맡겨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 교수는 "김대통령이 언론개혁을 공개석상에 직접 거론한 것은 현정부 출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발언시점이 묘한 여운을 남긴다. 동기도 궁금하다"며 "김대중 정부의 실정에 대한 언론의 비판이 전에 없이 날카로워지고 있는 시점과 맞물려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교수는 "정부가 직접 나서지 않고 언론계·학계·시민단체·국회가 언론개혁의 주체가 되는 일종의 조합주의 방식을 동원하려 한다"며 "통합방송법 개정과정에서 뼈저리게 느낀 교훈이지만 조합주의 방식은 시민사회가 진정한 교섭력을 갖지 못할 경우 정부의 들러리 역할밖에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교수는 "언론개혁의 주체는 시장, 즉 독자가 돼야 한다"며 "일부 시민단체들이 문제삼고 있는 동아·조선·중앙일보는 독자가 가장 많이 보는 신문이며 이유가 있어서 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교수는 끝으로 "언론개혁이든 정책이든 목표가 분명해야 하나 대통령의 연두 기자회견은 이것이 불분명했다"며 "말로는 개혁을 내세우면서 기실은 신문을 통제하기 위한 지렛대 장치를 만들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같은 날 대한매일 김삼웅 주필의 칼럼은 정반대의 입장에서 언론개혁의 문제를 지적했다. 위와 같은 재벌신문이나 족벌언론의 주장은 음모론적, 포퓰리즘적 시각일 뿐이라는 것이다. 김주필은 "수구언론은 일제히 정부가 언론을 장악하려는 것이 아니냐고 항변한다"며 기자들과 시민들이 언론개혁을 필요로 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도 나온 상황에서 "좌파적이니 포퓰리즘적이니 하는 것은 그야말로 민심을 왜곡하는 ´위험한 언론관´"이라고 지적했다.

김주필은 또 최근 일부 수구언론이 북한 인권론을 내세워 남북화해를 역류시키기 위해 공조를 서두른다는 소식을 전했다. "남쪽의 인권에는 침묵하거나 억압자 편에 섰던 언론이 언제부터 그렇게 인권의 기수가 된 것인지 가소롭다"는 것이 김주필의 의견.

언론개혁에 대한 양측의 팽팽한 대립에도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언론개혁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대원칙이다. 다만 방법과 시각의 차이만이 존재하고 있는 것일 뿐. 신문시장이 자율적으로 재편되는 차원이든 소유지분 제한이나 세무조사 등 제도를 통해 독립언론을 구현하는 차원이든 ´언론개혁´이라는 명제가 현 시대의 과제며 화두임은 분명하다는 사실을 상기한 두 칼럼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