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삼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이 종합편성채널이 사회적 흉기가 됐다는 시민사회단체의 견해를 전달한 데 대해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고삼석 위원을 비판하고 나섰다. 고삼석 위원은 “맥락은 무시한 채 자질문제를 거론해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고삼석 위원은 지난 9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종편의 재승인 조건 위반에 관한 시정명령을 의결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공기가 되어야 할 종편이 사회적 흉기로 변해 가고 있다’ 심지어 이런 비판까지 받고 있지 않습니까?”고 말했다. ‘사회적 흉기’라는 표현은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이 지난 3월 PD저널에 기고한 글의 내용을 인용한 것이다.

다음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고삼석 의원을 정조준했다. 조선일보는 기자수첩에서 “고 위원의 발언은 이런 종편 시청자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기도 했다”면서 “막강한 힘을 가진 방통위의 상임위원 입에서 '흉기'라는 말이 나온 것은 해당 사업자를 한번 손보겠다는 말로밖에 들리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 10일자 동아일보 보도.
 

동아일보는 ‘고삼석 방통위원, 종편관련 흉기표현 “기본적 정책 합리성 포기” 자질 논란’기사에서 자질문제까지 거론했다. 동아일보는 “이 같은 발언은 고 위원의 종편 채널에 대한 정치적 이념적 편파성을 그대로 드러낸 것이어서 앞으로 큰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썼다. 그러면서 동아일보는 “고 위원은 방통위 상임위원이 반드시 갖춰야 할 정책성 합리성을 포기했다”면서 “상임위원으로서의 자격이 없다”는  황근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말을 전했다.

고삼석 위원은 11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발언의 전체 맥락은 무시하고 ‘흉기’라는 표현만 문제 삼아 자질문제를 거론하는 건 대단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사회적 흉기’라는 표현을 쓴 배경에 관해 고삼석 위원은 “‘사회적 흉기’라는 표현은 그동안 시민사회단체에서 꾸준히 제기해온 주장을 전한 것”이라며 “종편 사업자에게 이 같은 시민사회의 여론이 있다는 점을 환기시키는 게 방통위원의 당연한 역할”이라고 말했다.

종편의 대응에 관해 고삼석 위원은 “진보와 보수를 떠나 방송사업자라면 이 같은 시민사회단체의 입장에 대해 성실히 답하고 문제를 개선해야 할 책임이 있다. 비난에 가까운 보도를 할 게 아니라 왜 이 같은 비판이 제기됐는지, 어떻게 고쳐야 하는지 심사숙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 고삼석 방통위 상임위원. 사진=금준경 기자.
 

앞서 고삼석 위원은 지난 10일 오후  동아일보 보도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방송의 공적 책임 및 공정성 확보’ 노력에 대해 미흡하다는 판정을 받은 일부 종편PP가 방통위원의 정상적인 직무수행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삼석 위원은 “종합편성의 오보·막말·편파방송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삼석 위원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심의현황에 따르면 TV조선의 관련 심의는 2013년 42건에서 2014년 110건으로 2.6배, 채널A의 관련 심의는 2013년 30건에서 2014년 71건으로 2.3배가 증가했고, 종편PP 대상 전체 심의건수에서 TV조선과 채널A가 차지하는 비중이 78%에 달했다”고 밝혔다.

전국언론노동조합은 지난 10일 논평을 내고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 것도 아니고 언론 보도를 인용해 ‘흉기로 변해 가고 있다’라는 종편에 대한 비판을 소개 못할 자리가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언론노조는 “최근까지 종편의 행태를 보면 당연히 나왔어야 할 지적이었다”면서 “오히려 방통위는 종편에 온갖 특혜부여로 ‘종편위원회’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쓰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종편은 2011년 출범한 이래 △의무재전송 △10번대 채널배정 △ 1사1미디어렙 설립 통해 사실상 직접영업 허가 △중간광고 허용 △ 방발기금 징수 유예 등 특혜를 받아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