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공채제도의 문제가 꾸준히 지적돼왔다. 이에 대한 매력적인 대안으로 저널리즘 스쿨이 제기된다. 저널리즘스쿨의 본산인 미국의 저널리즘스쿨은 무너지고 있는 한국의 저널리즘을 살릴 대안이 될 수 있을까? 

‘스쿨’(school)이란 학과(department)와 단과대(college) 중간쯤 되는 규모를 말한다. 따라서 성공회대 최진봉 교수는 “스쿨은 한국 대학의 ‘학부’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용어일 뿐 저널리즘스쿨을 특별하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며 “미국 학교 특성상 전공자들이 그 분야로 진출하는 확률이 높을 뿐 저널리즘스쿨은 저널리즘을 연구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저널리즘을 공부하는 학생들이 언론사와 연계돼 인턴 등 실무를 익히다가 지역 언론사에 입사해 경력을 쌓은 뒤 중앙언론사로 옮기는 방식으로 언론인을 뽑는다. 물론 저널리즘을 연구하는 학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미국에서는 분쟁지역 등에 뛰어들어 취재 경험을 쌓아 기자가 되기도 한다. 입사해서도 자주 언론사를 옮기는 분위기다.  

미국에서 미디어를 연구했던 김춘효 박사(서던일리노이대)는 “미국은 기자들의 월급이 낮은 수준이라 기자는 성적이 좋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분야는 아니다”고 말했다. 게다가 최근 퓰리처상을 받은 지방지 기자 2명이 박봉에 시달리다 기자를 그만둘 정도로 지역 언론사는 열악하다. 미국 직업사이트 ‘커리어캐스트닷컴’은 올해 최악의 직업을 신문기자로 꼽았다.

   
 
 

그럼에도 미국에서는 저널리즘스쿨학생이 언론사에서 인턴을 할 때 임금착취가 일어나지 않는다. 뉴욕타임즈 2015 여름인턴 프로그램의 급여는 한 주에 1000달러(약100만원)다. 언론사는 외부에서 펀딩을 받아와 인턴의 임금을 보장한다. 이화여대의 프런티어저널리즘 스쿨은 SBS문화재단에서 장학금을 지원받는다. 사양 산업으로 평가받는 한국의 다른 언론사에서도 이를 감당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미국 저널리즘스쿨에는 외부펀딩이 많다. 김 박사는 “미국은 저널리즘에 대해 여론조사 등 양적 연구가 많아 국가에서도 지원을 많이 한다”며 “기자를 양성하기도 하지만 교육에서 미디어를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지에 대한 미국 정부의 정책과도 (저널리즘 스쿨이) 연결된다”고 말했다. 

김 박사에 따르면 미국은 미디어(신문·방송·영화)를 교육적인 툴의 하나로 본다.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라는 뜻의 ‘미디어리터러시’라는 말이 하버드 대학 교육학과에서 나온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미국은 저널리즘스쿨의 성격도 다양하다. 대학에 따라 철학과에 가까울 정도로 언론환경에서 벌어지는 가치의 문제와 해결책 등을 논의하는 저널리즘스쿨도 있고, 각종 통계를 분석해 미디어를 비평하는 저널리즘스쿨도 있다.      

미국식 저널리즘스쿨 연계 채용은 교육정책, 대학현실, 언론사의 의지와 펀딩 능력 등 종합적인 변수가 연결된 구조의 결과물이다. 현직 언론인들이 석사 학위만을 가지고 저널리즘스쿨 교수진으로 많이 가는 것도 뿌리 깊은 산학협력의 분위기 덕분이다. 물론 현직 언론인이 저널리즘스쿨 학생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영국은 옥스퍼드와 캠브리지 출신들이 언론엘리트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으며, 독일 저널리즘스쿨은 공익기관으로 학비와 생활비를 지원받는 등 나라마다 저널리즘스쿨의 성격이 다르다.

미국과 다른 한국의 저널리즘스쿨
좋은 기자로 취업하는 게 목표

한국의 저널리즘스쿨은 어떨까? 세명대저널리즘스쿨대학원 홈페이지 첫 화면에는 ‘언론사 기자, PD등을 103명 배출했다’는 홍보문구가 떠있다. 석사과정이지만 논문 제출이 졸업의 필수조건은 아니다. 이화여대가 운영하는 프런티어저널리즘스쿨도 역시 기수별 합격현황을 홍보하고 있다. 한국의 저널리즘스쿨은 언론인이 되기 위한 곳이다. 다만 어떤 언론인이 될지에 대해 조금 더 고민해볼 수 있는 곳이다. 

‘저널리즘스쿨’이 언론인 학원의 의미로 사용되면서 취업난에 시달리는 지원자들의 시간을 벌어주는데 이용되고 있다. 김 박사는 “방송분야에 신분이 불안정하며 월급이 낮은 비정규직들이 엄청 많은데 이마저도 취업이 안 돼 방송아카데미에 가서 시간을 번다”며 “미국처럼 저널리즘스쿨과 지역언론 연계 채용 제도가 도입된다면 학생들이 더 큰 부담을 지게 되며 저임금 구조가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결국 기자교육은 각 언론사에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 최진봉 교수는 “기본적인 소양을 갖춘 뒤 기자의 전문성은 현장에서 취재하면서 만드는 것”이라며 “미국은 좋은 언론인으로서의 꿈을 펼칠 여건이 되지만 한국은 기자에게 특정 이념을 강요하거나 어뷰징을 시키는 등 기자를 종업원으로 보니 저널리즘이 망가진다”고 말했다. 

저널리즘스쿨을 통해 양성된 기자들이 지역언론에 입사했을 때 좋은 기자로 성장할지에 대해서도 의문이다. 이진영 중부일보 전 편집인은 월간 신문과 방송 기고문을 통해 지역언론사에서 협소한 광고시장과 언론사 사주의 그릇된 언론관이 기자들의 질을 낮추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지역신문사 기자도 “기자들이 성장하면 중앙언론사로 옮길 생각 뿐”이라며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채용방식 다양해져야

현재 언론사 공채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뚜렷하게 합의한 대안은 없다. 최진봉 교수는 “현재 채용방식이 천편일률적이고 전문성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저널리즘스쿨을 만든다고 해서 나아질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채용 방식을 다양하게 도입할 필요는 있다. “공채 뿐 아니라 좋은 기자를 뽑기 위한 여러 문을 열어놓으면 좋겠다. 상시 선발제도도 해보고, 추천제도 해보는 거다. 채용별로 기자의 장단점도 분석해보면 서로 보완할 수도 있고 동시에 언론사 내부에서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지 않을까?” 한 세명대저널리즘스쿨 학생의 의견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