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0일 이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 수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발생 및 경유 병원 뿐 아니라 입원치료 및 격리중인 병원 명단도 공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경기도와 함께 지난 7일부터 메르스 발생 및 환자 경유 의료기관 24곳(발생병원  6개소, 경유병원 24개소)을 공개했다. 그러나 정부는 현재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들이 격리치료를 받고 있는 병원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이 가운데 지난 5일 메르스 중앙거점 의료기관(메르스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국립중앙의료원의 경우 최초 환자가 발생한 지난달 20일 이후 현재까지 모두 11명의 확진 환자가 격리 치료 및 사망, 퇴원을 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립중앙의료원에는 지난 5일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방문한 곳이기도 하다. 복지부가 지난 5일 발표한  보도참고자료엔 몇 명의 환자가 이곳에서 격리치료 중인지에 대해서는 나와 있지 않았다.

   
▲ 10일 오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치료병원으로 지정된 서울 동작구 신대방동 보라매병원에 의심환자가 도착해 환자 대기실에서 상태를 확인한 뒤 병원 내로 옮겨지고 있다. ⓒ 연합뉴스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는 11일 현재 8명의 확진환자가 음압 병상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노동환 국립중앙의료원 홍보팀 관계자는 지난 8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확진받은 환자만 격리돼 있으며, 의심환자가 거쳐간 적은 없다”며 “약간 의심되는 사람은 아예 건물에 들어오지 못하게 방어해놓고 진료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강희 중앙메르스종합관리대책본부 서기관은 11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지난 번 공개한 병원은 환자가 발생했거나 경유한 곳이라 지금 격리 및 입원치료 중인 병원과는 사안이 다르다고 본다”며 “당시 명단에 국립중앙의료원이 빠진 이유는 발생 병원에 해당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격리병상이 있는 집중 치료 병원도 공개해야 하지 않느냐는 견해도 나온다. 서울시는 지난 7일 “시립병원 메르스 격리 병상은 서울의료원, 서북병원, 보라매 병원 3개소에 38실을 확보 중이며, 확진환자가 많아질 경우를 대비해 2단계로 동부병원, 서남병원 등 시립격리병원을 추가 확보하는 방안도 준비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국립중앙의료원은 포함되지 않았다.

김창보 서울시 보건기획관은 8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국립중앙의료원에 환자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곳에서 환자가 발생하지는 않았다”며 “(복지부 등이 발표 병원 명단은) 환자가 발생해 거쳐간 곳이 어디냐는 것에 대해 의심해보라는 의미로 공개한 것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정책관은 확진환자 입원 치료 병원 공개 필요성에 대해 “원칙적으로 공개하는 게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그 취지엔 공감한다”고 밝혔다.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5일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해 메르스 대응 현장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김 정책관은 “다만, 위험을 감수하면서 치료하고 있는 병원인데 (명단 공개를 통해) 그 병원에게까지 피해를 주면 치료가 더 위축될 수 있으니 보호해줘야 한다는 의미가 아닌가 한다”며 “서울시는 서울시 내에 있는 병원을 우리가 다 오픈했다. 국립의료원은 복지부 산하기관이라 우리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강희 중앙메르스대책본부 서기관은 11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그런 얘기가 있는 것은 알고 있다”며 “이것도 마찬가지로 공개하고 말고가 장단점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서기관은 “국립의료원의 경우 (치료중이라는 사실이) 대부분 공개되지 않았느냐”며 “실제 치료 또는 지정 병원을 공개하느냐 여부는 (좀더) 검토해서 논해야 할 사안이 아닌가 싶다. 공개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면 공개할 수 있다는 논의를 해보겠으나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