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보도를 하며 ‘지상파 광고총량제’ 도입을 비난했던 신문들이 잇달아 잘못을 시인했다. 한국방송협회가 중재 신청한 신문 중 동아일보는 자율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세계일보는 지상파 광고총량제 보도에 대해 ‘바로잡습니다’를 내보내 왜곡보도를 한 사실을 인정했다. 조선은 지난 18일 2면, 중앙은 24일 16면, 세계일보는 22일 2면 하단에 ‘바로잡습니다’를 게재했다. 한국방송협회는 지난 달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세계일보가 광고총량제에 대해 사실과 다른 보도를 하고 있다며 언론중재위원회에 정정보도 청구를 한 바 있다.

   
▲ 광고총량제 왜곡보도에 대한 조선일보, 중앙일보, 세계일보의 '바로잡습니다'
 

조선일보 등 4개 신문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보고서를 인용하며 설문조사 결과 “광고주의 81.7%가 지상파 광고비 충당을 위해 다른 매체 광고비를 줄일 의사가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광고주의 81.7%라는 수치는 사실과 달랐다. 원문에 따르면 조사대상 중 지상파 광고를 늘리겠다고 한 19%의 광고주 중 81.7%, 즉 전체의 15.5%가 다른 매체 광고비를 줄이겠다고 답했다. 15.5%를 81.7%로 과장해 보도한 셈이다.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는 종한편성채널을 겸영하고 있다. 지상파 광고총량제가 도입되면 종편의 광고수주에 악영향이 있기 때문에 자사이기주의 보도를 한 것으로 보인다. 김언경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신문들이 마치 지상파가 엄청난 특혜를 받고 있는 것처럼 아전인수격으로 보도하고 있다”면서 “그렇게 따지면 종편의 특혜가 더 심각하다”고 말한 바 있다.  

   
▲ 광고총량제 왜곡보도에 대한 조선일보(18일), 중앙일보(24일), 세계일보(22일)의 '바로잡습니다'.
 

중앙일보는 광고총량제에 관한 다른 왜곡보도 사례에 대해서도 시인했다. 중앙일보의 3월 2일 ‘광고총량제 저지 이해 행동 나걸 것’기사에서 인용 출처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4년 연구’라고 밝혔으나 해당 자료는 진흥원 소속 연구원의 개인적인 연구 논문이었다.

또, 중앙은 해당 자료에서 “지상파 광고총량제가 도입되면 연간 1000억~2800억원의 신문광고비가 지상파로 옮겨갈 것으로 예측됐다”고 보도했으나 사실은 연간 1000억~2800억원의 광고비가 신문, 유료방송, 라디오, 인터넷 광고 등 다양한 매체로부터 옮겨갈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 3월 2일. 조선일보 사설. KISDI보고서 원문의 통계를 왜곡해 보도했다.
 

반면 같은 내용을 보도한 동아일보에는 아직까지 ‘바로잡습니다’가 게재되지 않고 있다. 언론중재위 관계자는 “조선, 중앙, 세계의 경우 당사자인 방송협회와 해당 신문사가 자율적으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방송협회 관계자는 “1차 심리가 지난 14일에 있었고 이후 당사자와 직접 소통을 했다. 조선, 중앙, 세계일보와 이때 합의를 봤다”면서 “동아의 경우 KISDI 보고서를 사실과 다르게 보도한 점은 인정했지만, 보고서를 작성한 KISDI나 이를 용역 의뢰한 방통위가 당사자일 수 있어도 방송협회는 당사자가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방송협회와 동아일보의 2차 심리는 오는 28일 열릴 예정이다.

미디어오늘 조사 결과 한국신문협회 소속 19개 지역 신문사들도 조선 등 4개 신문과 같은 방식으로 KISDI 보고서를 왜곡했다. 방송협회 관계자는 “모든 언론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쉽지 않아 전국종합일간지 위주로 대응을 했다. 지역신문에 대해 따로 대응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