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5주기를 맞아 북한어뢰에 의한 폭침이라는 정부의 결론에 여전히 의심이 큰 이유에 대해 당시 과학수사분과장을 맡았던 합조단 관계자가 경계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지 않아 오히려 의심이 더 커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천안함 합동조사단 과학수사분과장 겸 군측 조사단장을 맡았던 윤종성 성신여대 교수는 2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안보에 도움이 된다면 해군이 서해안 대비에 소홀했다는 것을 먼저 시인했어야 한다”며 “합참의장부터 작전실패에 대한 책임을 물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작전실패한 사람에 대해서는 과감히 책임을 물어야 신뢰를 얻을 수 있었고, 북한 소행이라는 결론을 국민들이 믿어줄텐데 그것을 하지 않았으니 의심이 커진 것”이라고 밝혔다.

윤 교수는 핵심 증거인 어뢰추진체에 대해서도 여전히 가짜냐 진짜냐에 대한 의문이 가시지 않은 만큼 입수 경위와 어뢰설계도 공개를 통해 의문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흡착물질 등 근거의 과학적 증명에 대해서도 과학자들과 언론인 군인이 함께 하는 공동조사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교신내역도 기밀공개의 문제가 없다면 공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만 윤 교수는 북한 어뢰라는 증거와 북한 소행이라는 것을 인정한 뒤에 이 같은 의문을 해소해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윤종성 전 천안함 합조단 군측단장(겸 과학수사분과장). 사진=조현호 기자

 

 

그는 어뢰 발견 경위와 관련해 ‘군이 쌍끌이 어선에 미리 어뢰 좌표를 줬다’는 의문에 대해 “합조단 폭발위험분과에 소속된 ADD(국방과학연구원) 연구원들이 어뢰 폭발시 어느정도 되면 어뢰추진체가 후방 30~40m 지점에 떨어질지 시뮬레이션한 결과 어느정도 위치에 떨어질 것이라는 자료 등을 어선에 전부 보내줬다”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준 것으로 일종의 추정지역 좌표는 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어뢰설계도 확보에 대해서도 윤 교수는 “우리가 확보한 것이 아니라 국정원에서 지원받은 것”이라며 “CD로 된 설계도와 문서로 된 것 다 있으며, 함께 (국정원으로부터) 받았다”고 밝혔다. 설계도 입수시점에 대해 윤 교수는 “(2010년 4월 말~5월 초) 폭약성분 일부(극미량)가 선체에서 발견되면서 합조단 정보분과에서 국방부 정보본부를 통해 관련기관에 어뢰 정보 수집 협조를 부탁한 것으로 안다”며 “당시 국정원에도 그 때 협조요청이 가서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국회 천안함 조사특위 위원들에게는 모두 공개했는데, 언론에 공개안되니 그 실체조차 의구심 갖는 것인 것 같다”며 “정보원 노출 등 제한이 없다면 공개하는 것도 괜찮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조사과정에서 북한 어뢰 CHT-02D의 공격으로 폭침당했다는 조사결론을 확신한다면서도 수중폭발을 이해하는 과정과 국방부의 한계점을 지적했다. 그는 “처음엔 나도 수중폭발 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다”며 “또한 국방부에서 대응을 참 잘못했다고 생각한다. 조사결과가 나오기 전부터 일일이 다 대응을 한 것이 논란을 더 키웠다고 본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정보공개를 제한하고 과학적 결론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오해를 낳았다며 북한에서 했다는 것을 인정한 전제하에서 어뢰관련 정보 등을 공개하고 과학자들이 모여서 공동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개된 정보와 과학적 공동검증을 통해 ‘북한 어뢰’라는 결론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상황이 올 수도 있는데, 북한 소행을 인정하고 검증을 하는 것은 모순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윤 교수는 어뢰추진체는 과학이 아니라 증거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증거를 통해 북한 어뢰에 의한 폭침이란 것이 명확하지만, 정보공개 제한이나 과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부족, 실험조건 차이로 인해 오해되는 것을 해소시켜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핵심증거인 어뢰가 가짜라는 의혹까지 제기된 점에 대해  그는 “그러니 어뢰에 대한 것을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주장은 어뢰추진체라는 ‘강력한’ 증거는 그대로 인정하면서 어뢰관련 정보 공개를 통한 검증에서 어뢰추진체가 증거가 아니라는 결론이 나올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염두에 두지 않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무엇보다 최종 결론이 나오기 전 폭발이라는 판단을 하면서 천안함 내부의 CCTV를 통해 폭발장면이 나오기를 기대했으나 CCTV에는 평소 승조원의 모습이 나타났다고 윤 교수는 전했다. 윤 교수는 “CCTV에 얼마나 목을 멨는지 모른다. ‘폭발장면만 나오면 끝난다’는 생각에 폭발장면을 잡을 수 있기 위해 전 역량을 집중했으나 전후 조절이 잘 안돼 있었고, 평상시 활동만 나와 있었다”며 “시간을 조정을 잘 안해놓아 (CCTV마다 시간이) 다 틀려 있었다”고 전했다. 

   

천안함의 민군합동조사단의 윤종성 당시 과학수사분과장(군측단장)이 2010년 5월 20일 북한어뢰 설계도면과 증거물을 발표했다. 사진=인터넷공동취재단.

 

 

이와 함께 공개해야 할 천안함 군사정보에 대해 윤 교수는 “항적이 중요하다. (사고 당일 천안함이) 피항을 했는지는 정확한 기억이 없다”면서도 “휴대폰 통화기록을 우리가 공개한 적은 있지만 (계속 의문이 든다면) 여러 교신내역도 군사기밀이 없다면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단 신뢰가 전제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군 주장대로 어뢰 피격이라면 경계실패라는 엄청난 과오를 저질렀다는 의미인데도 아무도 책임지지 않은채 오히려 다수가 진급하는 경우까지 생긴 데 대해 윤 교수는 군을 비판했다.

윤 교수는 음파탐지를 못한 것에 대해 “작동이 됐는지 안됐는지, 음탐사가 한눈 팔았는지 규명하기가 어려웠으며, 다만 감지가 안된 것은 틀림없다”며 “안보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해군이 스스로 ‘서해안 대비에 소홀했다’는 것을 먼저 시인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