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협회의 지상파 MMS전면도입 주장을 유료방송업계가 비판하고 나섰다. MMS도입이 유료방송업계의 광고매출 및 시장점유율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 때문이다. MMS가 공공재인 주파수를 활용한 시청자 복지서비스라는 점에서 유료방송업계의 개입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3일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최성준)는 EBS의 MMS채널 시험방송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MMS는 멀티모드 서비스(Multi Mode Service)의 줄임말로 디지털 압축 기술을 통해 1개의 지상파 주파수를 쪼개 여러 채널을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내년 1월 말부터 시험방송이 시작되는 EBS의 MMS채널은 상업광고 편성이 금지됐기 때문에 광고시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유료방송업계가 EBS의 MMS채널 도입 시점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지상파전면 MMS도입 저지를 위한 전초전으로 보인다. 지상파 MMS사업이 본격화되면 추가적인 MMS채널이 나올 수 있을 뿐 아니라 광고규제완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김용배 팀장은 “MMS채널도 일반 지상파방송처럼 제작비가 충당돼야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광고를 받지 않더라도 나중에는 언제든지 요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 MMS채널이 상업광고를 편성하게 되면 유료방송업계의 광고매출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만일 MMS채널이 전면도입 돼 한정된 광고시장에 10여개 지상파채널들이 상업광고를 편성할 경우 유료방송업계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게 된다. 한국방송협회 손계성 정책실장 역시 “MMS채널의 콘텐츠를 제작할 재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광고를 요구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지상파 MMS채널들이 광고를 받으면 유료방송업계가 그만큼 손해를 보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 MMS는 디지털 압축 기술을 통해 1개의 지상파 주파수를 쪼개 여러 채널을 서비스하는 개념이다. 그림은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자료.
 

 

현재 방통위가 지상파 광고총량제를 허용하는 등 지상파방송 비대칭규제를 완화하고 있다는 점도 유료방송업계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이유다. 전면적 MMS채널 도입을 찬성하는 방통위 상임위원도 있다. 지난 23일 열린 방통위 전체회의에서 김재홍 상임위원이 “광고시장을 둘러싼 이해관계 때문에 능력을 갖춘 방송사가 MMS를 할 수 없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유료방송업계가 우려하는 점은 광고수익 감소 뿐이 아니다. 지상파MMS 도입 자체만으로도 유료방송에 위협이 될 수 있다. MMS도입이 지상파 직접수신 확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김용배 팀장은 “지상파가 MMS를 도입을 통해 직접수신율을 높이려 하는데 이는 유료방송의 시장점유율을 그만큼 뺏겠다는 뜻”이라며 “MMS도입이 가입자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지상파방송의 직접수신율은 조사기관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대략 7~13% 정도다.

실제 지상파방송측도 성명에서 MMS도입을 통해 직접수신율을 높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계성 한국방송협회 정책실장은 “영국과 프랑스는 MMS를 도입한 이후 50%의 높은 직접수신율을 유지하고 있다”며 “우리의 경우 전면도입 이후 20~30%정도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료방송업계는 성명에서 주파수가 지상파의 전유물이 아닌 공공재라는 점에서 상업광고를 편성해선 안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그러나 주장의 타당성을 떠나 이해관계 당사자인 유료방송업계가 MMS정책에 개입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추혜선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유료방송이 경쟁구도 속에서 상대의 영역을 제한해 자기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은 문제”라며 “MMS도입에 유료방송업계가 간섭하는 것은 시청자복지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윤성옥 경기대 언론미디어학과 교수는 “MMS는 디지털시대의 정보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무료로 국민들에게 다채널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고, 이 과정에서 국민들이 원하는 콘텐츠 제작을 위해 상업광고를 허용할 수도 있다”며 “이를 특정업계의 이해관계 측면에서 접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 EBS 사옥.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