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MBC의 대규모 명예퇴직 강행 시도로 구성원들의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 

안동MBC는 직원의 40%가 넘는 25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을 추진했다. 하지만 서울MBC(본사)가 애초 내걸었던 이행 조건에 제동을 걸자 하루아침에 말을 바꿨다. 그러자 23명이 반발하며 결정을 철회했다. 

명예퇴직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도 논란이 됐다. 안동MBC는 ‘직무기강 점검표’를 만들어 직원들의 실적을 평가한 뒤 하위 점수를 받은 이들을 개별 면담해, 사실상 명퇴를 압박했다. 

김상철 사장은 지난 11일 오전 임시 조회를 열고 직원들 앞에서 이번 사태에 대해 사과했고, 이날 오후 노조(전국언론노조 안동MBC지부)를 방문해 재발 방지 대책을 제시했다. 김 사장이 제시한 안은 나름 파격적인 내용도 담겨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기사 <40% 명퇴 추친했던 안동MBC 사장, 수습책 제시>)

노조는 지난 12일 총회를 열고 회사가 제시한 대책에 대해 수용 여부를 논의했지만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정동원 지부장은 “표결로 결정하려고 했으나 다수 조합원들이 이번 사태에 대한 김상철 사장의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며 표결하지 말고 계속 투쟁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고 말했다.

   
 
 

정 지부장은 “특히 명예퇴직 대상자였던 조합원들은 진정한 사과와 같은 정서적인 차원의 대책을 바라는 것 같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조합원들은 지난 11일 김상철 사장의 사과는 명퇴 종용 및 인격모독 의혹에 대한 해명에만 초점이 맞춰졌다고 지적했다.

안동MBC 내부 갈등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간부들이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이미 보직사퇴했고, 김 사장 역시 새로운 제안을 내놓기가 쉽지 않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오늘은 김 사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몇 차례 연락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다른 MBC 지역사에서 비슷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 하지만 다른 형태의 갈등은 산재돼 있다. 지역사의 인건비 감축 정책으로 빚어진 안동MBC 사태와 모양은 다르지만 성격은 유사한 특별상여 체불은 지난해부터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 광주, 안동, 여수, 목포, 제주 MBC지부 등은 부당노동행위로 회사를 형사고소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