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남은 지역석간지 부산일보, 경남신문, 매일신문이 내년인 2015년 1월 1일을 목표로 조간 전환을 준비하면서 지역석간지는 사라지게 됐다.

부산일보는 ‘조간전환추진단’을 만들어 조간 전환을 준비 중이다. 부산일보는 2011년부터 조간 전환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2011년, 2012년 두 차례에 걸쳐 사내 여론 수렴 절차를 거쳤으나 ‘석간으로 더 해보자’는 의견이 많아 무산됐다가 올해 다시 내부 설명회와 설문조사 등을 거쳐 합의를 이뤘다. 내년 1월 1일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10월에 대외적인 공표를 할 계획이다.

경남신문은 TF를 꾸려 내년 1월 1일 혹은 1월 2일을 목표로 조간전환을 준비 중이다. 직원들과 독자서비스센터 등에 공지하는 등 논의가 상당히 진척된 상황이지만 근무시간 변경, 유통 및 판매망 구축 등 논의해야할 내용이 아직 남아 있다.

매일신문도 조간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매일신문 측은 조간전환을 대외에 공표하는 것을 조심스러워하면서도 “내년 1월 1일부터 조간전환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 부산일보 (좌)·경남신문 (우) 9월 4일자 1면
 

조간전환의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어려움이다. 안병길 부산일보 조간전환추진단장은 4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신문독자들 구독패턴이 아침 일찍부터 신문을 읽는 것에 맞춰져 있다. 부산일보는 이와 상관없이 우리 신문 독자들을 고려해 석간을 유지해왔는데, 신문시장이 어렵다보니 석간신문을 유지하기 힘들다”며 “새로운 매체들도 많이 등장해서 석간신문이 가졌던 메리트도 거의 없어졌다”고 말했다.

허승도 경남신문 전략기획실장 역시 “추세가 그렇다. 20년 전 동아일보가 조간으로 전환했고 지방에서는 부산일보, 매일신문, 경남신문만 빼고 다 조간”이라며 “석간신문은 교통체증이나 배달원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 등 배달의 어려움이 조간보다 크다. 이런 점을 복합적으로 고려해 조간전환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석간이 조간에 비해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지국 유지비용이나 판매비용의 부담이다. 지역의 경우 한 지국에서 신문 하나만 취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공동의 지국을 형성해 지국장 1명이 부산일보와 조선일보, 동아일보 등 여러 신문을 취급하는 식이다. 신문시장의 규모와 독자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안병길 단장은 “조간 지국은 아침 6시에 문을 열어 저녁 6시에 문을 닫으면서 수십 개 과일을 파는 과일가게”라며 “하지만 석간 지국은 오후 1시쯤 문을 열어 부산일보 1개만 파는, 과일 하나만 가지고 장사하는 가게다. 게다가 문은 똑같이 저녁 6시에 닫는다”고 설명했다. 안 단장은 “가게 입장에서 수익이 안 남는다. 지국 운영이 안 되니 석간 신문들이 더 어려워지고, 조간으로 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두 번째 이유는 광고노출시간이다. 석간은 조간에 비해 광고노출시간이 적다. 따라서 조간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광고주들의 불만이 있었다는 것.

하지만 석간으로 전환하는 순간 지방 조간지들은 물론 중앙지들과의 치열한 경쟁도 불가피하다. 안병길 단장은 “부산지역에서는 부산일보를 포함해 지역지가 두 개 밖에 없으니 경쟁이 치열하지 않겠지만 조간 전환을 할 경우 중앙지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진다. 판매시장이나 제작환경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면서도 “그래도 조간보다는 석간이 더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허승도 실장은 “경쟁은 하겠지만 조선일보나 동아일보는 지역뉴스가 별로 없다. 지역기사를 요구하는 독자들을 대상으로 하기에 (경남신문은) 경쟁력이 있다”며 “독자들이 지역신문에는 지역신문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간 전환은 기자들의 노동환경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마감을 위해 야근이 늘어나고 주말에도 일해야 하는 등 노동 강도가 세진다. 이승욱 전국언론노조 부산일보 부지부장은 “출퇴근 등 근무시간과 시간 외 근로, 노동강도에 변화가 예상된다”며 “임금단체협약을 진행 중인데 관련된 논의를 할 것이며 단협 외적인 부분은 노사 협의를 가질 것이다. 조간전환추진단에 노조 측 대표 한 명이 참석해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준희 전국언론노조 경남신문지부장은 “근무시간 변경 등 사측과 협의할 것은 있지만 조간전환이 준비단계라 아직 협의할 단계는 아니다”며 “육아를 병행하고 있는 편집부 여직원의 노동환경 등이 가장 걸리는 부분이다. 구체적인 안건이 나오면 노사 협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