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치스코 교황의 4박 5일 간의 방한 일정이 끝났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4박 5일 간 한국에 머물며 ‘신드롬’을 일으켰다. 가난하고 소외받은 자를 향하는 섬김의 리더십과 여느 지도자들이 보여주지 못했던 소통과 공감이 신드롬을 일으켰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다수 언론도 교황의 방한 기간 내내 교황 신드롬과 리더십에 대해 전했다. 하지만 과연 언론은 교황이 한국사회에 던진 메시지를 제대로 전했을까.

‘힐링’ ‘평화’ 등 온갖 키워드로 교황을 치켜세운 보수언론이 주목하지 않은 것이 있다. 교황의 세월호 특별법에 대한 관심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방한 내내 세월호 유가족들을 챙겼다. 교황은 16일 광화문 시복식 때 세월호 유가족들이 모여 있던 곳을 지나다 차에서 내려 유가족들을 위로했다. 세월호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34일째 단식 중이던 김영오씨(고 김유민양 아버지)의 손을 맞잡았다. 교황은 4박 5일 동안 총 5차례 세월호 유가족을 만났고, 이호진씨에게 ‘프란치스코’라는 세례명으로 직접 세례를 줬다.

보수언론은 세월호에 대한 관심을 ‘고통 받은 이들을 향한 위로’ 정도로 다뤘다. 김영오씨는 교황에게 세월호 특별법 제정이 필요함을 역설하고 교황도 고개를 끄덕이며 김씨가 쓴 편지까지 받았지만, 이러한 모습은 나오지 않았다.

동아일보는 18일 관련 기사에서 김씨를 위로하는 교황의 모습을 전했으나 특별법 제정에 대한 요구와 김 씨의 편지 내용 등은 언급되지 않았다. 같은 날 조선일보와 중앙일보 보도도 마찬가지였다.

 

 

   
▲ 8월 18일자 동아일보 4면
 

오히려 보수언론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행보와 세월호 특별법 제정 요구를 연결시키는 것에 거부감을 드러냈다. 동아일보는 15일자 사설에서 “교황의 메시지를 정치적 목적으로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교황이 원하는 바도 아니라고 본다”고 밝혔다. 같은 날 조선일보 사설 역시 “사고의 수습과 해법을 놓고도 다툼이 끊이지 않는다. 이런 문제들 앞에서 교황이 자기편이 돼주기를 바라는 목소리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철호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18일 칼럼 <교황까지 편 가르는 두 개의 시선>에서 “우리 사회는 진영논리에 따라 저마다 열심히 주판알을 튕기고 있다. 야당과 진보진영은 ‘교황의 메시지를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세월호 특별법을 압박하고 있다. 새누리당과 보수 쪽은 과도한 정치적 의미를 부여하지 말라며 손사래치고 있다“며 ”진영논리에 따라 교황까지 제 입맛에 맞춰 편 가르는 게 아닌지“라고 강조했다.

보수언론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세월호 참사에 대한 관심을 ‘정치적 목적’이 없는 ‘순수한 위로’로 받아들여야 하며, 정치권이 이를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한다고 꾸짖고 있다.

과연 그럴까? 프란치스코 교황은 18일 바티칸으로 돌아가는 길에 가진 기자회견에서 “세월호 유족의 고통 앞에서 중립을 지킬 수 없었다”고 말했다. ‘세월호 추모 행동이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이었다. 교황은 세월호 참사 앞에서 중립을 포기하고 세월호 유가족들의 손을 잡은 것이다. 교황의 메시지를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하는 건 보수언론이 아닌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또 다른 메시지는 ‘물질주의’에 대한 경계이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15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성모승천대축일 미사 강론에서 “이 나라의 그리스도인들이 올바른 정신적 가치와 문화를 짓누르는 물질주의의 유혹에 맞서, 이기주의와 분열을 일으키는 무한경쟁의 사조에 맞서 싸우기를 빈다”며 “새로운 형태의 가난을 만들어내고 노동자들을 소외시키는 비인간적인 경제 모델들을 거부하기를 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몇몇 언론은 물질주의를 비판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을 물질주의의 시선에서 바라봤다. 교황 방한을 하루 앞둔 14일 중앙일보 경제면 기사 <돈이 도네요…고마워요, 프란치스코>가 대표적이다.

 

 

 

 

   
▲ 8월 14일자 중앙일보 경제면 1면
 

중앙일보는 이 기사에서 “14일 방한하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후광 효과’가 얼어붙은 내수 경기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며 각종 경제효과에 대해 분석했다. 중앙일보는 시복미사에 약 100만 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GS25’의 매출이 늘어날 것이란 분석까지 했다. 광화문에서 시민들이 집회할 때는 왜 이런 기사를 쓰지 않는지 의문이다.

조선일보는 19일 <경제도 ‘비바 파파(Viva Papa·교황 만세)’… “교황 特需, 5000억 원 효과”>라는 기사를 내보냈다. 조선은 “새 경제팀의 경제 활성화 정책과 교황 방한이 맞물려 내수(內需) 회복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국제행사의 경제 효과 추정치와 교황 방문 경제효과를 비교하기도 했다.

동아일보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김순덕 동아일보 논설위원은 18일 칼럼 <프란치스코 교황의 ‘빈곤 경제학’>에서 교황의 말을 근거로 경제를 발목 잡으면 안 된다고 주장한다.

김 논설위원은 칼럼에서 “경제에 대한 교황의 언급은 종교적인 의미 말고는 진리로도, 사실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로마에서 교황의 인기가 하늘을 찌르는 건 교황의 파격적 스타일 덕분에 관광객이 늘고 경제가 좋아져서라는 얘기가 있다”라고 주장한다. 이어 김 위원은 “교황이 준 경제적 화두는 마음과 윤리 바로잡기에 소중히 활용하되, 나라 경제의 발목을 잡는 무기로 쓰는 건 교황도 원치 않는다고 믿고 싶다.”고 덧붙인다.

 

 

 

 

   
▲ 8월 18일자 동아일보 30면
 

프란치스코 교황은 물질주의에 대한 비판을 계속해 왔다. 지난해 11월 교황청 홈페이지에 올린 권고문에서 “오늘날 배제와 불평등의 경제에 대해 ‘그래서는 안 돼’라고 말해야 한다”며 “나이 들고 집 없는 사람이 노숙을 하다가 죽었다는 것이 뉴스가 되지 않는 반면, 주가지수가 2포인트 떨어졌다는 것이 뉴스가 된다. 어떻게 이럴 수 있나”라고 밝혔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교황 방문의 경제효과를 계산한 기사를 보면, 교황 말을 근거로 경제 살리기 발목을 잡지 말라는 칼럼을 보면 무슨 말을 할까.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