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개각은 아직 진행 중이지만 현재까지 가장 눈에 띄는 개각의 특징은 언론인이 전면에 등장했다는 점이다. 과거 설화에 휩쓸려있는 문창극 총리 후보자(전 중앙일보 주필)가 그렇고 윤두현 홍보수석(전 YTN플러스 사장)이 그렇다. 물론 과거에도 일부 언론인들이 청와대로 향한 적은 있다. 하지만 국무총리라는 ‘요직’ 까지 올라가게 됐다는 점이 주목된다.

과거 이명박 정부에서는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 신재민 전 문화부 2차관 등이 이명박 정부의 개국공신으로 등장했다. 이명박 정부는 2010년 홍상표 전 YTN상무를 홍보수석으로 발탁하는 등 언론계 인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박근혜 정부도 마찬가지다. 대표적인 것이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이다. 윤 대변인은 1981년 코리아타임스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해 KBS와 세계일보를 거쳤다. 이후 보수 논객으로서, 지난 대선 당시 편향적 정치 평론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이남기 전 홍보수석도 언론인 출신이다. 민경욱 현 청와대 대변인도 KBS에서 바로 청와대로 직행했다.

그야말로 ‘폴리널리스트’가 일상화된 상황에서 이제 ‘총리’라는 요직까지 언론계 인사가 차지한 것이다.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편향성을 드러냈다는 점인데 종편에서 활약했던 윤창중 전 대변인, 이명박 대통령에게 ‘목소리가 좋다’하던 민경욱 현 대변인이 대표적이다.

이런 기조는 현재 전면에 등장한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볼 수 있다. 문창극 후보자가 중앙일보 시절 쓴 칼럼들은 여러 차례 ‘친여성향’을 드러냈고, 윤두현 수석은 YTN 보도국장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발언 등 여권에 불리한 리포트를 불방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동아일보는 아예 11일자 보도에 문 후보자를 ‘보수 논객’으로 표현했다.

이런 점에서 문 후보자의 경우 충청도 출신이라는 점 외에 화합형 인사라 보기 어렵다. 그렇다고 본인 스스로 “책임총리 처음 들어본다”고 했으니, 박근혜 정부의 개각기조와 부합하는 인사라고도 볼 수 없다. ‘청문회 통과용’이라는 설이 많지만, ‘왜 하필 언론인이냐’는 의문은 풀리지 않는다.

   
▲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1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창성동 별관으로 출근하면서 취재진 질문에 답했던 모습의 사진. ⓒ연합뉴스
 
결국 두 가지 지점이 주목된다. 하나는 이명박 정부 당시 언론인들의 청와대 입성이 불러온 언론장악이다. 이명박 정부의 언론장악은 수많은 해직언론인을 양성하며 깊고 넓게 진행됐는데, 이번 세월호 참사 과정에서 지지율이 떨어진 박근혜 정부가 언론인을 전면에 기용함으로서 장악력을 더 높이려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천호선 정의당 대표는 10일 국민TV 라디오 <이용마의 한국정치>에 출연해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잘 대처하지 못한 것에 대해 대통령이 책임이 있다고 느끼지 않는 것”이라며 “좋게 얘기하면 언론을 더 장악해서 정부 입장을 더 잘 알려야겠다는 것이고 나쁘게 얘기하면 언론을 좀 더 몰아붙여야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인선”이라고 비판했다.

최영일 시사평론가는 “윤창중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의 1호 인사였다”며 “당시 박근혜 대통령이 윤 대변인의 국가관과 애국심을 눈여겨봤다 했다”고 말했다. 그는 “문창극 후보자 지명은 인사청문회 통과에 방점을 찍었다지만 굳이 언론인이 아니어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번 인사는 윤창중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 평론가는 “결국 현 정부가 집권 2기를 준비하면서 국민에 대한 여론통제가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 아니겠는가”라며 “박 대통령이 최근 인사기준으로 ‘국민 눈높이’라는 기준을 제시했는데 이는 국민의 눈높이를 자신들의 수준으로 이끌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박근혜 대통령이 말하는 개혁은 ‘국민 눈높이’를 개혁하겠다는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또 하나의 지점은 전면적인 언론장악을 하지 않더라도 언론인의 총리 기용이 언론인들에게 ‘자발적 충성’을 유도하는 방편으로 쓰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언론인들에게 ‘이만큼 성공할 수 있다’는 동기부여를 준다는 것이다.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문창극 후보자 뿐 아니라, 지금은 언론인이 정치권에 들어갈 수 있는 구조”라며 “그런 시스템이 작동된다는 것은 언론인이 정치권에 줄을 댈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앙일보의 문창극 보도처럼 언론인이 비판대상인 정부로 가는게 오히려 영전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며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햇다.

최 교수는 “앞으로 정치를 하기 위해 언론인이 되겠다는 사람도 많아지고 언론인이 된 사람들은 정치권에 줄을 대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나”라며 “한 언론사에서 정권으로 가면 그 언론사의 비판기조도 약해지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최영일 평론가는 그런 점에서 중앙일보에 주목하며 “JTBC를 압박하겠다는 의도로도 읽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