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3일 국회의원 1인당 후원금 모금액을 공개하면서 14일 일간지들이 일제히 그 소식을 알렸다.

가장 많은 후원금을 모은 국회의원은 박원석 정의당 의원으로 총 1억9517만원이었고 2위는 심상정 정의당 의원으로 1억9403만원이었다. 민주당에서는 유기홍 의원이 1억9397만원으로 전체 3위, 새누리당에서는 권선동 의원으로 1억7043만원으로 전체 7위다.

정당별 1인당 평균 모금액을 보면 정의당이 1억5599만원이고, 통합진보당이 1억4487만원으로 1~2위다. 3위는 민주당으로 1억2912만원, 새누리당은 1억2694만원으로 4위에 그쳤다. 진보정당이 후원 모금으로는 강세를 띄고 있고, 새누리당은 약세다.

그런데 이를 두고 조선일보가 시비를 걸고 나섰다. 조선일보는 14일자 5면 <진보정당들, 새누리·민주보다 1인당 후원금 더 모았다>에서 “진보정당에 들어온 후원금 대부분은 결국 세금에서 나간 셈”이라며 “후원금 10만원까지는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통해 돌려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조선일보 2014년 3월 14일자. 5면.
 
조선은 또 기사 초반에 “‘진보정당은 가난하다’는 고정관념은 사실과 달랐던 것”이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기사 말미에는 “통진당처럼 소속 의원이 내란음모 사건을 주도하는 등 자유민주주의 헌법 질서 자체를 사실상 부정하고 있는 정당에게까지 국민의 혈세로 후원금을 주는 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진보정당 의원들의 후원금 모금액이 많은 것은 소액 후원이 많기 때문이다. 10만원 이하 소액후원금을 세액공제를 통해 돌려주는 이유는 소액후원을 활성화함으로서 정치투명성을 강화하고 일반 국민들의 정치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실제로 진보정당에 대한 후원은 노조 및 사회단체에서 십시일반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조선일보 주장대로 ‘진보정당은 가난하다’는 고정관념이 깨진 것은 아니다. 진보정당의 국고보조금은 새누리당과 민주당 등 거대정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중앙선관위 2014년도 1/4분기 국고보조금 지급내역에 따르면 새누리당은 44억여원, 민주당은 40억을 받는 반면 통합진보당은 7억여원, 정의당은 5억여원에 불과하다. 노동당 등은 의석이 없어 이마저도 받지 못한다.

오히려 집중해야 할 부분은 ‘상납성 후원’과 ‘고액후원’이다. 300만원 이상의 고액후원의 경우 새누리당, ‘친박계’에 집중된 것으로 밝혀졌고, 지방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후원하는 관행도 문제점으로 제시해야 한다. 물론 조선일보 역시 이에 대한 보도를 했다. 하지만 조선일보는 진보정당 의원들의 후원금 모금액이 크다는 사실을 더욱 부각시켰다.

   
▲ 문화일보 2014년 3월 14일자 39면. 사설.
 
문화일보는 더 노골적이다. 문화일보는 14일자 사설 <헌재, ‘통진당 해산 심판’ 6·4선거 전에 결정해야>에서 “(통합진보당 국회의원 후원금 모금이) 대부분이 혈세 후원이리라는 점에서 자유민주주의 헌법질서를 혼란스럽게 한다”고 적었다. 이석기 의원이 소속된 통합진보당에 대해 소액후원 하는 것을 지적하고 싶었던 듯하나, 문맥상으로 아예 소액 후원제도가 자유민주주의 헌법질서를 혼란스럽게 한다고 주장한 셈이다.

홍성규 통합진보당 대변인은 “새액공제라는 것은 정치 선진화와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라며 “그동안 새누리당이 재벌들로부터 막대한 불법 정치자금을 받아왔기 때문에 정경유착을 끊고 깨끗한 정치를 하기 위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홍 대변인은 “진보당에 대한 후원은 대부분 노동자, 농민, 서민들의 소중한 소액후원”이라며 “작년에는 그 작은 정성들이 모여 후원한도액에 육박했고 이는 민주주의를 지키고 서민정치, 진보정치 지켜달라는 응원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정권의 내란음모조작, 정당해산청구의 부당함에 대해 우리 국민들이 적극적인 진보당 의원 후원으로 답해준 것”이라고 말했다.

홍 대변인은 특히 문화일보에 대해 “아무리 진보당을 헐뜯고 싶어도 이런 제도의 취지마저 왜곡해서야 되겠나”라며 “이 제도가 자유민주주의 헌법질서를 혼란스럽게 한다니 기가 막힐 따름”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제도를 폐지하자는 것이 문화일보의 주장인지부터 분명히 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