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 방송을 시작한 종합편성채널은 현재 수백억 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자본잠식 상태다. 종편은 승인조건과 사업계획을 2년 연속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가장 낮은 수준의 행정처분을 했다. 이 기간 종편은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애썼다. 답은 ‘보도프로그램’ 확대다. TV조선과 채널A의 2013년 보도프로그램 편성비율은 40% 이상으로 전년대비 3배 가까이 높였다. 종편에게는 ‘보수층’과 ‘보수화’라는 확실한 타깃과 목표가 있었다. 미디어오늘은 조중동과 종편을 감시해 온 기자들에게 ‘종편의 저널리즘’에 대해 물었다.

종편의 저널리즘은 ‘왜곡’과 ‘편파’로 요약된다. 한겨레 최원형 기자는 종편의 문제점을 두 가지 짚었다. “하나는 기득권을 대변하는 언론들이 정권과의 부정한 거래를 통해 방송에 진출해 언론 지형의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켰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기계적인 공정성 등 최소한의 저널리즘 원칙조차도 지키지 않아 언론계 전체의 수준을 급격하게 떨어뜨렸다는 점이다.” 수용자 입장에서는 또 하나의 조선·중앙·동아일보, 매일경제가 생긴 셈이다. 신문사 지국의 각종 선물공세에 신문 끊기도 어렵지만 아버지에게 “리모컨을 달라”고 말하는 건 더 어렵다.

   
▲ TV조선 브랜드 슬로건 ⓒ TV조선 홈페이지
 
선정적인 보도는 종편의 주특기다. 지난해 12월 경찰이 경향신문 유리창을 부수고 민주노총에 강제진입할 당시 TV조선은 상황을 생방송하며 “야~이게 공권력이죠”, “저런 작전은 우리가 용산 참사에서도 봤지만 어두워지기 전에 속전속결로 끝냈어야 하는데…”라고 중계했다. 경향신문 김형규 기자는 “채널A의 김학의 전 차관 보도의 경우, 수사상황을 중계방송하다시피 하면서 검증되지 않은 내용을 선정적으로, 여러 차례 보도했다. 종편의 보도행태는 결국 전체 언론의 품격과 언론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를 깎아내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방통위의 제재 예고에 “광고시장 규모나 종편사의 매출규모 등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투자는 오히려 사업자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재정상태를 악화시켜 결과적으로 폐업에 이르게 할 수 있음”이라고 답한 TV조선은 지난해 보도프로그램 편성비율을 전년대비 3배 가까이 늘렸다. 무려 48.2%(2012년은 16.6%)다. 채널A 보도 편성비율은 43.2%다. 전체 방송 중 절반이 보도프로그램인 셈이다. 콘텐츠 투자금액이 JTBC의 3분의 1밖에 안 되는 두 방송사가 선택한 것은 값싼 프로그램이다.

뉴스타파 최경영 기자는 “공중파 뉴스가 정부와 대기업의 말을 받아쓰는 보도를 했다면 종편은 이념에 찌들거나 성향이 극우적인 분들을 위주로 한쪽의 이야기를 무책임하게 배설하는 출구 역할을 하고 있다”며 “정론지를 자칭하는 조선·중앙·동아가 이런 싸구려 방송, 값싼 뉴스를 지향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 사회적 소음에 불과하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종편의 최대 성과는 사회적 소음을 증폭하고, 언론을 혐오하고 증오하게 만드는 데 일조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미디어스 김완 기자는 “종편은 정상적인 시장의 원리와 공정한 경쟁의 법칙이라면 장기적으로 생존할 수 없음을 스스로 꾸준히 입증해왔다”고 꼬집었다. 김완 기자는 이어 “하지만 종편은 여전히 왕성하다. 이 악순환은 한국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최대 불행 가운데 하나”라며 “종편은 불공정함을 화끈함으로 포장하고, 비정상을 다름이라고 우긴다. 공론장을 육박전으로 끌고 가는 종편의 행태는 천박하지만 불행하게도 종편 출범 이후 그 천박함이 공론장의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종편은 ‘특혜’ 없이 생존할 수 없다. 직접영업 특혜가 끝나자마자 방통위는 ‘이중영업’이 가능한 1사1렙을 허가했다. 재승인 심사를 앞두고 퇴출 서명운동까지 시작됐다. 재승인이 유력한 가운데 업계의 반응도 싸늘하다. 김완 기자는 “종편은 각종 ‘특혜시비’와 방송 품질에 대한 ‘비판’ 그리고 ‘제재’에 시달려왔다”며 “하지만 (종편은)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다. 종편 재승인은 절박한 기회”라고 했다. 최경영 기자는 “종편이 언론계를 쓰레기장으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