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 시작하는 종합편성채널 재승인 심사를 앞두고 전국언론노동조합과 언론운동단체들은 ‘종편 국민감시단’을 발족했다. 감시단은 심사과정을 감시하고 프로그램 모니터링을 진행하면서 기존 종편 특혜를 해소하는 활동을 해 나갈 계획이다.

감시단은 4일 오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린 발족식에서 “민주주의와 언론산업의 파괴자 종편은 퇴출되어야 한다”며 “굳게 닫힌 공론장의 첫 빗장을 여는 열쇠는 방송이라고 할 수 없는 종편의 퇴출에 있다”고 주장했다.

감시단은 “도입 당시 거수기 역할을 한 방통위는 종편의 총체적 부실과 문제를 바로 잡아야 한다는 여론을 무시한 채 종편의 생명줄을 연장하기 위한 수순에 들어갔다”며 종편 4사에 100점 만점에 70점 후반을 준 2012년도 방송평가로 재승인 심사가 요식행위로 전락했다”고 지적했다.

종합편성채널은 지난 2009년 한나라당이 ‘미디어법’을 강행처리하고, 이듬해 방송통신위원회가 조선·중앙·동아일보, 매일경제에 방송을 허용하면서 출범했다. 정부는 종편 4사를 의무전송채널로 지정하고 중간광고를 허용하고 방송광고 직접영업을 한시적으로 허용하는 등 특혜를 줬다. 반면 방송발전기금 납부 의무는 유예했다.

종편에 대한 시민사회의 지배적 시각은 “신문의 위기 속에서 방송 진출을 모색한 보수언론과 정권을 재창출하려는 한나라당의 합작품”이라는 것. 종편 4사는 현재 “보수신문보다 더한 편파방송”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언론노조 이경호 수석부위원장은 종편의 저널리즘에 대해 “종편은 이제 ‘종일편파채널’로 이름을 바꿔도 전혀 반박하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종편은 현재 종합편성이 아닌 ‘보도전문채널’의 편성행태를 보이고 있다. TV조선과 채널A, MBN의 경우 보도/오락/교양 중 보도 비율이 50%를 초과한 적도 있다. 지상파 3사의 장르별 편성비율은 보도 2: 오락 4: 교양 4 수준이다. 이밖에도 재방비율이 50%를 넘은 방송사도 있어 ‘재방방송’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감시단에 참여한 새언론포럼 현상윤 회장은 “정권의 기획으로 탄생해 정권의 보호 속에서 생존하는 종편은 정권 보위, 기득권 친위대”라며 “미디어를 사칭한 실체를 폭로하고, 다시는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문영희 위원장은 “감시를 철저히 해서 재심사 때 탈락시켜야 한다”며 “야당, 시민단체의 정치력이 그 정도가 될지 모르겠으나 최소한 한두 곳은 타랅시켜야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박석운 대표는 “종편은 언론이 아니라 사회적 흉기”라며 “승인 신청할 때 국민과 방통위에 약속한 내용을 거의 지키지 않고 있고, 방송의 내용을 보면 기본적 품위를 포기했다고 이야기할 정도”라고 말했다.

언론소비자주권 국민캠페인 양재일 사무총장은 “종편으로 인한 문제는 불공정 보도와 반칙, 특혜가 판을 치는 세상이 됐다는 것과 국민 수준을 하향평준화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언론소비자 입장에서 시청자의 수준을 떨어뜨리는 종편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