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뉴스 소비는 대부분 포털을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70% 이상의 검색 점유율을 가진 네이버의 뉴스 서비스는 여론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지난 대선 전 사석에서 "네이버 모바일 포털뉴스에 조중동 좀 집어넣어야 하는데"라고 말한 권영세 전 박근혜 캠프 상황실장의 발언으로도 증명된다. 
 
뉴스 서비스와 함께 성장한 네이버, 다음 등 포털은 줄곧 뉴스 편집에 대한 논란을 겪어 왔다. 포털이 이런 공정성 시비를 벗어나기 위해선 구글처럼 세부적인 편집 원칙을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강정수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는 1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민주당 최재천 의원 주최로 열린 '포털뉴스 논쟁과 저널리즘의 미래'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 최재천 민주당 의원은 19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포털뉴스 논쟁과 저널리즘의 미래' 토론회를 열었다. 사진=김병철 기자
 
'인터넷뉴스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이 토론회에서 강 박사는 구글 뉴스의 편집 원칙을 소개했다. 
 
구글 뉴스 페이지는 100% 컴퓨터 알고리즘이 편집한다. 사람이 일체 관여하지 않는 전자식 편집이다. 구글은 13가지 평가 영역을 갖춘 편집 알고리즘을 공개하고 특허까지 냈다. 
 
평가 영역은 다음과 같다. ①기사 생산량 ②기사의 길이 ③보도범위 ④속보 기사 출처 ⑤뉴스이용양식(PageRank 요소) ⑥언론사 신뢰도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⑦방문자 수와 트래픽 ⑧언론사의 기자 수 ⑨사무실 수 ⑩보도 대상의 실명성 ⑪보도범위 크기 ⑫글로벌 도달율 ⑬뉴스기사 양식(오타와 문법).
 
   
▲ 구글 뉴스의 편집 원칙 ⓒ강정수 연세대 커뮤니케이션연구소 박사
 
구글 뉴스에 기사를 제공하는 언론사의 규모, 기사 내용, 오타 여부까지 점수를 매기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더해진 총점에 따라 구글 뉴스 페이지의 기사 편집이 이루어진다. 결국 베껴 쓴 기사와 속보성 기사만 냈다가는 구글 뉴스에 노출되지 못한다. 
 
강 박사는 "영국, 프랑스 등 유럽에서 구글의 검색 점유율 90% 이상"이며 "구글 뉴스를 첫 화면으로 하고 뉴스를 접하는 비율이 30~40%가 넘는다"고 말했다. 구글 뉴스가 유럽 온라인 뉴스 플랫폼을 장악하고 있지만, 편집 알고리즘을 공개함으로써 공정성 시비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얘기다. 
 
강 박사는 네이버와 다음이 구글 방식으로 뉴스를 편집해야 한다는 건 아니지만, 구글처럼 편집 원칙은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끊임없는 갈등의 해결 방안으로 투명성의 원칙을 가져가야 한다"면서 "엄청나게 많은 어뷰징을 포털 뉴스 편집자들이 해결하는 게 아니라, 사회적 논의로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 19일 오후 6시경 네이버 뉴스 페이지
 
현재 네이버는 뉴스 페이지, 다음은 첫 화면과 뉴스 페이지를 직접 편집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보급화로 트래픽이 폭증하고 있는 모바일 뉴스에 대한 편집도 포털의 몫이다. 2009년 네이버는 첫 화면의 뉴스 서비스에 대한 정치적 불공정성 논란이 일자, 뉴스캐스트를 도입하고 편집권을 언론사에 넘긴 바 있다. 
 
네이버와 다음은 나름대로 편집 원칙을 공개하고 있지만 한계가 있다. 네이버 뉴스편집 원칙 5개는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겠습니다”, “균형 잡힌 편집으로 정치적 중립을 지키겠습니다” 등으로 구글의 원칙에 비해 막연하다. 강 박사는 "이런 편집 원칙은 포털이 아니라 1차 뉴스 생산자인 언론사의 원칙"이라며 반문했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에 넘쳐나는 이른바 '우라까이'(기사 베끼기)에 대한 편집원칙은 무엇일까. 특정 소재에 뉴스를 배치하는 것은 뉴스 생산시간대에 따른 결과일까, 아니면 다른 원칙이 있는 것일까. 언론사별 신뢰도 평가는 어떻게 진행되며 신뢰도 평가는 뉴스배치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요약하면 '포털 뉴스가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엄청난데, 편집자의 기분이나 자의적 판단에 의해 포털 뉴스가 편집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다. 강 박사는 이런 질문에 대해 포털이 편집 원칙 공개를 통해 답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 19일 오후 6시경 다음 뉴스 페이지
 
그러나 네이버와 다음이 편집 원칙을 공개할지는 미지수다. 원윤식 네이버 홍보팀 부장은 "신문법은 포털의 인터넷 뉴스가 일정한 책임과 의무를 지게 한다"면서 "네이버는 이에 따라 뉴스 편집 원칙과 편집책임자도 공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 부장은 이어 "편집 업무라는 게 기계적인 원칙을 세우기 어렵지만, 더 자세한 편집 원칙 수립과 공개는 고민을 좀 더 해보겠다"고 말했다. 
 
정지은 다음커뮤니케이션 홍보팀장은 "편집은 결국 수많은 기사 중에 선택한 것"이라며 "나름대로 내부 원칙은 있으나 선택의 기준 자체를 공개하지는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편집자가) 그날의 사회 이슈를 대표한다고 판단하는 것들을 첫 화면, 뉴스 페이지에 올린다"고 덧붙였다. 
 
설진아 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이날 토론회에서 "외부 압력에 의해서 뉴스 편집 원칙이 맞춰지는 게 아니라 뉴스 이용자들을 우선으로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설 교수는 "네이버 뉴스스탠드에 있는 신문들이 어떤 순위로 뽑혀는지가 이용자들에게도 공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정보 생산의 투명성에서 포털, 언론사의 상생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은 포털을 저널리즘의 주요 주체로 바라봐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강정수 박사는 "뉴스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와 다음을 저널리즘의 주요 주체로서 인식해야 한다"고 말한 후 "시장경제에서 자율권인 뉴스 편집권은 2차 생산자인 포털이 가져야 한다"고 했다. 정일권 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는 "오늘날 저널리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포털이 저널리즘의 기능을 해야하고, 사회가 이를 용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 19일 오후 6시경 구글 뉴스 페이지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