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뉴스의 ‘강자’ 연합뉴스에 대한 언론사의 불만이 네이버 뉴스스탠드 도입 이후 더욱 불거지는 모양새다.

‘뉴스도매상’인 국가기간통신사 연합뉴스가 포털사이트에서 소매상 역할을 하며 언론생태계를 어지럽혔다는 주장은 언론계에서 오래전부터 있었다. 그러나 지난 4월 뉴스스탠드 도입 이후 포털에서 기존 언론의 페이지뷰가 크게 줄어든 반면 연합뉴스의 영향력은 오히려 늘어났다는 지적이 나오며 기존에 있던 불만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온라인뉴스이용자에게 높은 접근성을 갖고 있는 네이버는 지난 4월 1일부터 메인화면 뉴스서비스포맷을 뉴스스탠드로 바꿨다. 트래픽 분석업체 코리안클릭에 따르면 뉴스스탠드 서비스가 시행된 4월 첫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뉴스스탠드 이용자 수는 전 포맷인 뉴스캐스트 이용자 수의 22.8% 수준에 그쳤다. 같은 기간 네이버 자체뉴스섹션 ‘네이버뉴스’ 페이지뷰(PV)는 1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들은 ‘뿔’이 났다.

반면 연합뉴스는 뉴스스탠드 시행이후 보름간 PV가 전달(3월) 대비 25% 이상 증가하며 대조를 이루다 4월 중순 이후부터는 전달 수준으로 하락·유지됐다. 연합뉴스는 뉴스스탠드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PV가 평균 50~70% 감소한 주요 언론사들의 상황과 비교할 때 연합뉴스가 PV를 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상황은 뉴스이용자에게 연합뉴스의 영향력이 높아졌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 3월과 4월 연합뉴스 UV 및 PV. ⓒ코리안클릭 제공.
 
뉴스이용자들은 네이버뉴스 화면에서 연합뉴스 기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오전 11시 경에는 석간, 오후 8시 이후엔 방송사 뉴스, 새벽부터 오전에는 조간신문이 메인화면에서 눈에 띄지만 연합뉴스는 24시간 기사가 업데이트 된다. 네이버에 따르면 송고되는 순서로 메인에 노출되기 때문에 속보에 앞설수록 유리하다. 동일 기사면 먼저 쓴 곳이 메인으로 뜨는 식이다. 그 결과 이슈모음섹션의 경우 노출된 기사의 대부분이 연합뉴스인 경우도 있다.

때문에 뉴스스탠드 시행 초부터 불만이 터져 나왔다. 머니투데이는 4월 4일 <‘연합뉴스스탠드’ 유감> 기사에서 “해외 포털은 물론이고 다음, 네이트 등 어떤 포털도 기간통신사업자의 뉴스를 배려해 방문자를 몰아주지 않지만 네이버는 한눈에 찾을 수 있는 입구에 ‘뉴스점포’를 열어주고 나머지 중소 입점업체들은 한참을 찾아 헤매도록 해놓았다”고 주장하며 “연합뉴스가 세금을 받으면서 골목상권을 넘본다면 국가보조금 지원을 끊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국민일보는 4월 15일자 칼럼에서 “(네이버는) 신문, 인터넷신문, 방송 등은 예외 없이 ‘뉴스스탠드’라는 낯선 환경에 몰아넣고 연합뉴스에게는 예외적 특혜를 부여했다”며 “연합뉴스는 하루에도 몇 번씩 알맹이 없는 ‘제목 속보’를 내보내고 있다. 그러니 이에 가위눌린 타 언론의 ‘생계형’ 선정주의가 더욱 기승을 부리는 악순환이 반복됐다”고 주장했다.

   
▲ 연합뉴스.
 
연합뉴스는 2003년 국가기간통신사로 지정된 후 연 300억 원의 국고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로부터 기사를 제공받는 제휴언론사들은 연합뉴스가 세금을 받으면서도 포털을 통해 고객(제휴 신문사)과 경쟁하는 모순된 행태를 보이고 있다며 반발해왔다. 최근 연합뉴스와 전재계약 해지를 통보한 중앙일보의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는 언론사를 상대로 서비스하는 도매상으로서 정부지원을 받고 있지만 포털에선 강력한 소매상으로 존재해 다른 신문사들의 디지털유료콘텐츠전략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연합뉴스는 통신사 설립 취지에 맞게 언론사를 상대로 한 서비스에 충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통신진흥법 제3장 10조에 따르면 공공기관, 언론매체, 기업과 개인 등을 위해 뉴스를 공급한다고 명시돼 있어 온라인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언론생태계’를 위해 재고해야 한다는 맥락이다.

한겨레신문 관계자는 “네이버의 뉴스스탠드 정책에 의해 연합뉴스가 결과적으로 수혜를 입은 것 같다”고 전한 뒤 연합뉴스의 온라인 서비스를 두고 “향후 언론사의 온라인콘텐츠유료화에 문제가 될 텐데 양측의 접점이 안 생긴다”고 말하며 “연합뉴스기사의 포털 전송으로 신문사들이 불편해진 것은 오래전 이야기”라 밝혔다.

   
▲ 5월 2일 오후 네이버뉴스 메인 화면.
 
이에 대해 연합뉴스 관계자는 “네이버에서 상대적으로 연합뉴스에 대한 이용도가 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연합뉴스는 네이버 인링크로 들어가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아무리 우리 기사를 클릭해도 실질적인 수익은 없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가 온라인 전재를 중단해야 한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연합이 포털사이트에서 제외된다 해도 제2의 통신사가 그 자리를 대신해 지금보다 콘텐츠 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밝힌 뒤 “온라인 유료화 전략은 연합뉴스의 문제라기 보단 콘텐츠 차별화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연합뉴스를 우대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일축했다.

한편 점차 이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네이버 모바일뉴스의 경우도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주요 언론사와 네이버가 제휴계약을 맺지 않아 모바일에서 연합뉴스의 영향력은 더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때문에 영향력이 높아진 만큼 연합뉴스의 불공정보도에 대한 우려 또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