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뉴스를 이용하는 시민이라면 하루에도 몇 번씩 기사제목에 낚이고 내용에 허탈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오늘날 종이신문만큼의 영향력을 갖게 된 인터넷신문의 ‘조회 수를 의식한 무분별한 보도’를 막기 위한 방법은 없을까. 

2012년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 등록된 인터넷신문은 총 3216개사다. 2011년에는 2438개사였다. 1년 사이 약 800여곳의 신생 매체가 탄생한 것이다. 인터넷신문은 전통적인 종이신문과 달리 초기 창간 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 소수의 인원으로 다른 기사들을 베껴가며 온라인 트래픽을 올려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종이신문의 영향력이 점차 줄어든 데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1984년부터 실시한 ‘언론수용자의식조사’에 따르면 미디어별 이용률 현황에서 1986년의 경우 응답자의 99.6%가 신문을 이용한다고 답했지만, 25년 뒤인 2011년에는 이용률이 44.8%로 급감했다.

어느덧 뉴스소비의 주요한 공간은 인터넷이 됐다. 언론재단이 20대의 미디어이용률을 분석한 결과 1996년에는 91.7%가 신문을 이용했지만 2011년에는 31.7%만 신문을 봤다. 30대 역시 1996년 94.6%에서 2011년 43.1%로 급속히 감소했다. 20~30대는 대신 PC와 스마트폰으로 기사를 본다.

미디어리서치의 2009년 조사에 따르면 뉴스를 보기 위해 가장 많이 이용한 매체는 TV가 57.7%였고, 인터넷이 19.8%로 두 번째였다. 신문은 14.8%로 3위였다. 인터넷의 비중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3년 현재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 숫자는 어느덧 3천 만 명을 넘어섰고, 스마트폰 이용자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한 뒤 뉴스를 소비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2012년 8월 첫째 주 조선일보 모바일 앱 사용자는 14만명이었고, 모바일 웹 사용자는 66만명(안드로이드폰 사용자 기준)이었다. 약 80만명이 스마트폰으로 뉴스를 보는 셈이다. 한국ABC협회에 공개된 2011년 조선일보 유료부수는 135만부였다. 2002년 당시 조선일보 유료부수가 175만부였던 점에 미뤄보면, 점차 뉴스를 소비하는 플랫폼이 종이에서 인터넷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은 속보경쟁과 조회 수 경쟁으로 자극적이며 미처 사실 확인이 안 된 기사들이 범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낚시성 기사를 모아 보여주는 ‘고로케’란 이름의 사이트도 탄생했다. 이런 가운데 인터넷 언론의 ‘오보’ 문제도 표면화되고 있다. 

   
▲ 인터넷 포털 다음의 '많이본 뉴스'. 해당 사진에 등장하는 기사제목은 기사 내용과 관계가 없다.
 

2011년 언론중재위원회에 따르면 인터넷 뉴스에 대한 언론중재위 조정사례는 전체 조정건수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인터넷 포털 뉴스서비스의 경우 841건으로 2010년 181건에 비해 무려 4.6배 증가했다. 조회수에만 의식하는 인터넷매체가 증가하며 온라인 뉴스의 ‘부실함’ 또한 증가한 것이다.

뉴스다운 뉴스만 걸러낼 방법은 없을까. 이와 관련 인터넷뉴스를 대상으로 ‘오보지수’를 도입해 경각심을 줘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주영기 한림대 교수(언론정보학)는 미국의 사례를 언급하며 “오보의 여부와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 지수 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주영기 교수에 따르면 오보는 크게 객관적 오보와 주관적 오보로 나뉜다. 객관적 오보는 오탈자, 이름, 직책, 나이, 주소, 수치, 날짜나 잘못된 인용 등을 포함한다. 주관적 오보는 기사의 본질을 호도하는 제목이나, 기사 텍스트 내의 지나친 강조 또는 충분치 못한 강조의 경우를 뜻한다. 일정한 편견이 기사 내용에 반영되면 주관적 오보를 범하게 된다.

오보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선 △사실성 △불편부당성 △포괄성 △공정성을 객관적 지표로 삼아야 한다. 주 교수가 제시한 오보지수 측정 도구에 따르면 △정보 출처의 제시 △가치판단 여부 △스테레오타입형 수식어 사용 △모든 이해 그룹의 등장 및 목소리의 공평한 반영 △제목의 적합성 △익명 취재원의 사용 여부 및 빈도 △자료의 타당성 등이 오보 점검 항목 리스트에 포함된다.

주영기 교수는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오보는 기사의 질을 가늠하는 연속적인 척도로 개념 전환이 필요하다”며 “시민들 역시 뉴스의 오보를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 교수는 이어 “소비자의 권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운동이 있는데 이것(오보 지수 평가)도 마찬가지다. 이제 인터넷 뉴스도 공정성이란 기준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오보에 대한) 문제제기 및 여론화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이규연 중앙일보 탐사저널리스트는 “기자는 취재에 주력하고, 뉴스룸 내의 라이터가 스트레이트·해설 등을 쓰는 방식이 수준 높은 기사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만약 취재기자를 따로 두고, 기사작성은 전문적인 라이터에게 넘기면 오보가 줄어들 수 있다. CNN의 경우 라이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영세한 인터넷매체에 라이터를 두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취재를 나가지 않는 기자들도 부지기수다. 때문에 인터넷 언론의 공정성을 추구하고 선정성을 지양하기 위해선 오보지수 개발 논의와 함께 인터넷 뉴스 플랫폼의 역할을 하고 있는 네이버(NAVER)와 다음(DAUM) 등 포털사이트의 자정노력도 필요한 상황으로 보인다. 기자들의 성찰은 모든 논의의 전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