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동아일보가 18대 대통령 선거보도에서 새누리당에 편파적이라는 주장이 끊이지 않고 있다. 도대체 보도가 어느 정도 수준일까.

민주언론시민연합 대선보도 모니터단은 대선보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7일까지 한 달간 조선·중앙·동아·한겨레·경향 등 종합일간지 다섯 곳의 대선보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조중동이 △야권 후보단일화 폄훼 △익명취재원을 통한 야권 분열 조장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띄우기에 집중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조중동은 최근 한 달간 사설에서 문재인·안철수 후보단일화를 두고 △정책선거를 막고 △유권자 권리를 침해하며 △민주주의 발전을 후퇴시킨다고 주장했다. 예컨대 동아일보는 11월 7일자 사설에서 “두 후보가 공유하는 철학은 두 사람이 합쳐야 박 후보를 이길 수 있다는 ‘수의 철학’”이라고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11월 15일자 기사에서 ‘안 후보 측 핵심 관계자’라는 익명 발언을 인용해 “호남지역에서 안 후보가 양보할 것이라는 문자 메시지가 대량 살포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선은 단일화 룰 협상이 깨진 뒤에는 민주당 관계자 말을 인용해 “안 후보 측이 여론조사 흐름이 불리하게 돌아가니까 그 흐름을 끊자는 얘기 아니겠느냐”고 보도했다.

모니터를 진행한 민언련 유민지 활동가는 이 같은 조중동의 보도에 대해 “안 후보 지지층에게는 민주당 불신을 조장하는 한편, 민주당에겐 안 후보 측이 도를 넘었다는 불만을 양산하는 기사가 대부분이었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중앙이 “조직 동원과 여론몰이, 패권적 압박에 의한 단일화방식을 안철수 후보가 승복하기 어려울 것”(11월 16일)이라고 보도하는 식이다.

모니터단에 따르면 지난 11월 23일 안철수 후보 사퇴 이후 26일과 27일 양일간 조중동은 안 후보 사퇴를 ‘문재인 후보와 민주당에 대한 실망’으로 몰아갔다. 조선은 안 후보 측 관계자 말을 인용해 “안 후보가 사퇴 기자회견 직전 캠프 내부 인사들에게 ‘내가 아는 문 후보도 아니었다’는 취지로 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 같은 익명의 관계자 발언은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채 파장이 커지는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조중동의 단일화보도는 19대 총선 당시 단일화 보도와는 사뭇 다르다. 조선일보는 지난 4월 7일 <야권은 3곳 2차 단일화…범(汎) 보수는 제로>라는 기사를 통해 당시 김무성 새누리당 전 의원의 “왜 우파는 (단일화) 못하냐”는 발언을 비중있게 담았다. 중앙일보도 같은 날 <“10곳 뒤집을 수 있다” 우파 단일화 목소리>란 제목의 기사를 통해 사실상 보수층의 단일화전략을 주문했다.

김춘식 한국외국어대 교수(언론정보학) 연구팀은 <신문의 제19대 국회의원선거 보도내용분석>(한국언론진흥재단, 2012)에서 이 같은 사실을 지적하며 “보수신문은 야권 단일화에 따른 보수진영의 단일화를 촉구하거나 단일화 무산의 아쉬움을 드러냈다”고 전했다. 총선 때는 우파 단일화를 주문하던 조중동이 정작 대선에서 야권이 단일화 논의를 할 때는 정략적이라고 비판한 셈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한 달 간 조중동은 ‘박근혜 여성대통령’을 띄우기 위해 노력했다. 박 후보는 지난 10월 27일 “여성 대통령 탄생이야말로 가장 큰 정치쇄신”이라고 주장했다. 이후 ‘박근혜 여성대통령’ 보도건수는 지난 한 달간 한겨레 9건, 경향이 10건으로 나타났으나 조선은 15건, 동아는 22건, 중앙은 13건으로 나왔다.

한겨레·경향이 주로 ‘여성대통령’ 이슈를 단순 언급한 반면, 조중동은 제목에서부터 ‘여성대통령’을 강조하며 적극 부각하는 기사가 3사 합쳐 25건에 달했다. 조선은 10월 30일 사설에서 “대통령이 여성이라고 국방·안보 문제에 대처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고정관념”이라 지적했고, 중앙은 11월 6일 칼럼에서 “여성 대통령이 탄생한다면 그 자체만으로 엄청난 의미”라며 여성 후보인 박근혜 후보를 간접 지원했다.

반면 한겨레는 17일 “박 후보는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향수를 끊임없이 자극하면서 가부장적 국가체제와 결별하지 못하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중동은 ‘투표시간 연장’ 논란에 대해서도 무시로 일관했다. 이는 투표시간 연장에 반대 입장인 새누리당의 이해와 맞아떨어진다. 지난 한 달간 투표시간 연장 관련 보도건수를 분석한 결과 한겨레는 24건, 경향은 40건에 달했으나 조선·중앙·동아는 각각 3건, 5건, 13건에 그쳤다. 유민지 민언련 활동가는 이를 두고 “투표시간 연장이 의제로 떠오르는 것 자체에 거부감을 보인 것”이라 해석했다.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으면 박근혜 후보 공약발표 장면이 담긴 영상으로 연결되는 조선일보 11월 26일자 사진기사.

박근혜 후보 편향보도는 사진과 그래픽에서도 발견됐다. 충남대학교 이승선 교수팀이 지난 11월 22일부터 26일까지 5일간 조중동 및 한겨레·경향을 분석한 결과 조선일보는 11월 26일자 기사에서 박근혜 후보 인터뷰 사진 캡션에 QR코드를 넣어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으면 박근혜 후보의 공약발표 장면이 담긴 영상으로 연결되게끔 했다. 다른 후보의 기사에는 나타나지 않은 이례적인 보도 행태라는 지적이 나왔다.

조선일보는 그래픽에서도 편향성을 나타냈다. 이승선 교수팀이 그래픽 수익자를 분석한 결과 조사기간 등장한 대선 관련 그래픽 7개 중 4개가 박근혜 후보에게 수익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신문사 그래픽의 경우 모두 중립적이거나 어느 후보에게도 수익이 돌아가지 않았다.

조사기간 중 256건 대선 관련 기사의 결과적 수익자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박근혜 후보는 45건(17.6%)의 수익을 가져간 것으로 나타났다. 문 후보는 23건(9.0%)으로 박 후보의 절반 수준이었다. 박 후보에게 수익이 돌아간 기사의 비율은 조선일보(27.3%), 동아일보(21.6%), 중앙일보(18.2%), 한겨레신문(14.3%) 순이었다.

이런 가운데 익명 취재원 보도 관행은 자의적 분석에 이용되고 있었다. 조선일보는 11월 26일자 기사에서 “야권이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 채 연일 ‘단일화 타령’만 하다 보니 거부감이 커졌다”, “단일화 효과보다 역 시너지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을 익명 취재원을 통해 전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