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를 운영하는 NHN이 뉴스캐스트 등 포털 뉴스에 대한 개편 방안에 대해 제휴 언론사를 상대로 여론조사를 했지만, 언론사들 대다수가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언론사들이 이번 여론조사에 대한 항의 차원으로 집단적으로 거부하자는 제안도 한 것으로 알려져, NHN과 언론사 간에 포털 뉴스를 둘러싼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NHN 홍보팀 관계자는 6일 오후 통화에서 “뉴스캐스트 기본형 제휴 언론사 51곳 중에서 여론조사 설문지를 보내 온 곳은 28군데 뿐”이라고 말했다. NHN은 지난달 27일 뉴스캐스트 제휴 언론사 96곳(기본형, 선택형)을 상대로 이메일 여론조사를 벌였고 6일이 최종 시한이었다.

신문협회 소속 조선·중앙·동아일보 등 언론사들은 설문지를 ‘보이콧’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다른 언론사에 ‘보이콧’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NHN이 포털 뉴스와 관련된 토론회를 여는 것도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여론조사가 이렇게 된 상황에서 토론회를 많이 기대하고 있는데 패널을 섭외하는 게 힘든 상황”이라며 “언론사들이 참여를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NHN은 최근 사이비 인터넷 언론과 관련해 ‘포털 책임론’을 제기한 조선, 중앙, 동아일보에도 토론회 패널로 참석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3사는 당일 토론회는 참석하지만 패널로 참여하는 것은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 언론사들이 여론조사, 토론회 참여를 거부한 것은 여러 원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이런 논의의 본질이 사실상 뉴스 ‘유통 권력’을 가진 NHN과의 주도권 다툼이기 때문에, 조선·중앙·동아 등 언론사들은 이번 여론조사에 참여하기보다는 단체로 불참해 ‘단체 행동’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앙, 동아 등은 뉴스캐스트에서 탈퇴하는 것을 신문협회 회원사들과 검토하고 있는 중이다. 조선, 중앙, 동아는 네이버에 뉴스 유통이 과도하게 쏠리고 있는 현실을 개선해 언론사 공동의 포털을 만들자는 취지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3곳 언론사와 달리 중소 언론사들의 경우 NHN과 뉴스 제휴를 끊을 경우 수익 감소가 우려되고 있다. 대선을 앞두고 조선, 중앙, 동아가 '포털 책임론'을 제기하며 네이버와의 뉴스 제휴 중단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에 정치적인 의혹도 제기되고 있어, 중소 언론사들은 수익을 담보할 수 있는 대책을 우선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대다수 언론사들이 이번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NHN의 이번 설문조사 대부분에서 언론사의 문제를 거론하고 있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NHN은 설문조사에서 “언론사가 정성 들여 제작한 기사보다 선정적, 가십성 기사들이 뉴스캐스트에 노출이 많이 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악성코드 문제는 크게 개선되지 않아 특히 일부 매체에서는 반복,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문제 해결을 위한 희망하는 제도는?”, “뉴스캐스트 폐지 의견에 대한 생각은?”, “일부 언론사 뉴스캐스트에 대해 이용자 항의와 불만이 지속되고 있는데, 항의 지표가 많은 매체는 (계약)해지하는 방식에 대한 생각은?” 등을 질문했다.

대다수 질문이 NHN의 책임보다는 언론사의 책임론과 관련돼 있고, 일종의 벌칙을 주자는 규제안에 대한 질문도 있어서, 언론사들로서는 불편한 분위기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09년 NHN이 뉴스캐스트를 만들고 제휴한 언론사들이 뉴스캐스트를 통해 수익을 얻는 상황에서 ‘폐지안’을 거론하는 것에 대해 언론사들의 거부감도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NHN과 언론사들이 갈등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양측이 충분한 대화를 나누고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오히려 NHN과 언론사 간에 포털 뉴스를 두고 ‘갈등’이 불거지고 대화보다는 ‘힘겨루기’ 양상으로 가는 상황이다. 이를 두고 양측의 갈등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합리적인 협상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송경재 경희대 인류사회재건연구원 학술연구교수는 “과도한 포털 집중화가 문제이지만 당분간 이런 상황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상황을 개선하는 것은 언론사와 네이버 양자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송 교수는 “트래픽 때문에 그런 선정적인 기사를 양산하는 미디어, 그걸 관리하지 않는 포털의 책임”이라며 “이 문제는 당사자들이 결국 머리를 맞대고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