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는 새누리당 선거 홍보용 문자를 지나치게 많이 받는다고 생각해 지난 15일 혹시나 당원 가입 여부를 확인해보고 깜짝 놀랐다. 연락 한번 없었고, 자신의 정보를 주지도 않았는데 버젓이 새누리당 당원으로 가입된 것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심지어 당비까지도 세차례 A씨의 휴대폰 비용으로 빠져나간 정황도 있었다.

A씨는 "저는 한나라당이면 치를 떠는 사람"이라며 자신의 황당한 사례를 담은 글을 포털 토론방 다음 아고라에 올렸다.

4. 11 총선을 앞두고 A씨의 사례처럼 자신도 모르게 당원에 가입돼 유령 당원으로 당비까지 빼가는 경우가 드러나 시민들의 피해가 우려된다.

A씨는 포털에 올린 글에서 "보험이나 카드를 가입해도 확인전화가 오는데, 내 주민번호를 도용해 정당가입을 시켜놓고 핸드폰비로 정당비까지 빼가면서 그동안 확인전화 한번 없었다"며 울분을 토했다.

   
 
 

A씨는 자신이 어떻게 당원으로 가입됐는지 알아보기 위해 지역당 사무실로 전화해 확인한 결과 자신의 당원 가입일은 2008년으로 돼 있고, A씨의 아버지가 추천인에게 자신의 허락없이 전화번호를 주면서 당원으로 가입됐다는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A씨의 아버지는 전화번호만 줬을 뿐 정당 가입 여부에 대해서 들어보지도 못했고, 자신도 이같은 내용을 통보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다.

더욱 황당한 것은 임의적으로 당원으로 가입을 시켜놓고 당원 가입 전력을 무효화 시켜달라는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다는 점이다.

A씨의 경우 특히 공무원 시험에 응시해 발령 대기 중인 상황인데 응시원서 작성 당시에 이미 새누리당 당원으로 가입된 전력이 있고, 결국 당 가입 전력을 숨긴 꼴이 됐다. 공무원의 정당 가입은 국가공무원법 상 금지돼 있다.

A씨는 당원 가입 전력을 무효화 해달라고 요구했지만 새누리당은 A씨가 공무원 시험을 보기 전인 지난해 10월로 탈당일을 조정해주겠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A씨는 탈당일 조정이 가능하다면 가입 전력 무효화는 왜 안되느냐고 따졌고 새누리당은 A씨가 당원에 가입된 바로 다음날인 2008년 2월 27일로 탈당일을 조정해줬다.

A씨는 하지만 자신이 2008년 2월 26일 새누리당에 가입하고 2008년 2월 27일 탈당한 기록은 여전히 남아있어 새누리당 홈페이지에서 검색된다면서 억울함을 토로했다.

A씨는 "저는 너무 기분이 찜찜하고 억울하고 정신적으로도 충격을 받아서 여기서 그만 둘 수가 없었다"며 자신이 포털에 글을 올려 공론화 시킨 이유를 전했다.

특히 A씨가 지역당 사무실에 전화했을 때 관계자가 '자신도 이렇게 뭉탱이로 가입되는 회원을 입력하는 것이 싫고 전화로 따지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면서 "직원 말이 사실이라면 같은 문제가 계속 반복되고 시정하지 않고 되풀이되는데 나몰라라 손놓고 있는 새누리당 자체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A씨의 사례가 사실이라면 새누리당이 조직적으로 유령 당원을 모집하면서 개인의 정보를 도용한 의혹이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 될 수 있다.

A씨와 비슷한 사례는 지난 2010년에도 한 지상파 방송의 뉴스로 전파를 타면서 비난이 쏟아졌다.

당시 뉴스에서는 당원에 가입한 사실이 없는 장모씨가 한나라당 당비로 2천원이 결제됐다 문자메시지를 받았다는 내용을 소개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지방 선거를 앞두고 일부 경선 참여자들이 지지 당원 늘리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면서 진상을 조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A씨의 글은 7천명 이상이 조회했다. 누리꾼들은 A씨의 글을 읽고 비슷한 경험을 적는 등 수십 건의 댓글이 달리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실제 공무원 시험에 합격해놓고 자신도 모르게 당원 가입이 돼서 문제가 된 사례도 있다.
 
B 씨는 지난해 12월 부산시 선거관리위원회에 계약직으로 합격을 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한나라당으로부터 선거 홍보 문자메시지가 유독 많이 날라와 한나라당 부산시당에 문의한 결과 자신도 모르게 2007년 10월 한나라당 당원에 가입된 것을 확인했다.
 
B씨의 남편은 누가 입당을 시켰는지 알아보기 위해 입당원서를 달라고 요구하고 A씨와 마찬가지로 입당 전력을 무효화시켜달라고 했지만 한나라당은 끝내 탈당일을 조정해줄 뿐 무효화 요구를 들어주지 않았다.
 
B씨의 남편은 경찰에 사문서 위조 행사와 사전자기록위작죄 혐의로 부산시당을 고소했지만, 입당원서가 없다는 이유로 각하 처리됐다.

A씨는 "저는 다른 정치활동을 한 적도 없고, 한나라당 가입 문제에 대해서도 떳떳하다"면서 "저 말고도 비슷한 유형의 피해자가 많은 것 같은데 정확한 조사가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