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사회란 무엇인가? 누구나 갖는 의문이다. 또 다른 의문도 있다. “정보화 사회에서 우리들의 삶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이를 두고 낙관론과 비관론에 선 사람들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그러나 낙관론에 서있는 사람이든 비관론에 서있는 사람이든 정보화사회로 나아가는 길속에서 사회운동, 시민운동이 나름의 역할을 하지 못할 경우 정보화 사회는 반드시 장미빛은 아니라는 사실을 공감할 것이다.

초고속통신망을 기본 뿌리로 하는 정부당국의 정보화 전략은 산업전산화, 행정전산화, 지역정보화라는 세가지 틀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산화는 자본의 경쟁력 확대강화에 기본목적이 있다. 부차적으로 국민들의 생활의 질을 높이는 몇가지 과제들이 추진되지만 이 또한 ‘경쟁력강화’라는 기본목표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요즘 정보초고속도로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도 다국적기업이 주도권을 잡아가고 있는 것을 보면 우리의 경우도 그리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일례로 PC통신서비스를 살펴보자. 하이텔, 천리안 등 정부재투자기관을 중심으로 전개돼오던 PC통신사업에 본격적으로 재벌의 참여가 이뤄지고 있다. 현대, 삼성, LG등이 참여를 선언했고 많은 그룹들이 뒤를 따르려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최근 PC통신서비스에 성인전용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상업화의 전주곡이다. 결국 우리 눈앞에서 전개되고 있는 정보화의 모습은 ‘상업화’라는 커다란 흐름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시민운동, 사회운동이 정보화 사회속에서 무엇을 할지는 여기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

우선 정보화라는 커다란 흐름속에 시민 사회단체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가 있다. 일종의 ‘시민사회정보화’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필요한 것은 시민 사회단체들의 네트워크 형성이다. 얼마전 코펜하겐에서 열린 사회개발정상회의에서 NGO(Non Government Organization)들의 활약은 두드러졌다. 그 힘의 근원을 찾아보면 이미 국제연대를 만들어 나가는 시민운동과 APC(Association of Progressive Coummunication)라는 국제적인 진보 네트워크가 있음을 알게된다. 각국의 시민운동세력이 항상 정보를 교류하고 연대 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하나는 시민단체의 노하우를 정보화하는 것이다. 이미 YMCA 같은 곳에서 준비를 하고 있지만 보다 더 확대돼야 한다. 비록 수천수만개 정보상품중에 하나라 하더라도 그 정보자체가 정보시장에서 유통되고 시민이 자유롭게 이용하고 얻을 수 있다면 정보의 불균형과 독점에 대항할 수 있는 좋은 수단임엔 틀림 없다.

다음으로 ‘이용자자치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통신공간을 만들어나가는 주체는 사업자나 정보제공자도 아니고 수천 수만의 이용자다. 그런데 현실을 볼 때 통신공동체를 지배하는 룰은 사업자 즉 자본의 논리다. 통신공동체가 상업화에 물들때 기본적인 권리인 통신의 자유가 침해당해도 이용자는 단지 돈을 내는 고객일 뿐이다.

이제 통신공동체에서 빼앗긴 이용자의 권리찾기에 나서야 한다. 전통적인 매체에 대한 수용자운동처럼 가상공간에서의 이용자 자치운동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또하나, 미래 정보화사회는 정보가 넘치는 사회이지만 누구나 정보를 생산해서 유통시킬 수 있는 사회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정보생산자라는 주체적 사고를 갖는 것이 정보화사회에 시민운동이 발전하기 위한 토대가 아닐까 한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